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호저면461

꽃다지 봄에 만날 수 있는 흔한 잡초이지만, 이 녀석도 엄연한 이름이 있다. 애기똥풀과 더불어 들판을 샛노랗게 수놓은 풍경은 참 싱그럽다. 이 녀석과 비슷하지만 흰색의 꽃이라면 냉이꽃일 확률이 높다.^^ 냉이와 더불어 들판의 봄을 가까이 느끼게 해 주는 녀석이다. 봉오리가 올라왔다. 일찍 꽃을 피운 녀석도 보인다. 2014.3.1. 원주 호저면 2014.3.15. 원주 호저면 2016.4.15. 학교 2018.4.15. 원주 호저면 2022.4.2. 상지대 2012. 8. 19.
검정테광방아벌레 어릴 적에는 방아벌레라는 명칭보다 똑딱벌레라는 말에 더 익숙했다. 가슴등판과 딱지날개 사이를 구부렸다 튕기며 도망가는 모습이 특징적이라 똑딱벌레라 불렸던 모양이다. 이 녀석은 딱지날개 가장자리에 검은 테두리가 있으며, 가슴등판의 가운데에 검은색 세로줄이 있다. 딱지날개의 귤색이 참 예쁜 녀석이다. 2012.7.27. 호저면 2011.7.5. 호저면 2011.6.30. 호저면 비 그친 뒤 아직도 물방울이 잎에 달려 있다. 2013.7.7. 원주 2019.7.20. 원주 주산리 2021.7.23. 원주 대덕리 2021.7.29. 원주 대덕리 2012. 8. 19.
허리무늬대모벌의 사냥 대모벌류는 이렇게 거미를 사냥하여 땅에 구멍을 파고 집어넣은 다음, 그 몸에 산란하여 나중에 부화된 알이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자기 몸만한 거미를 번쩍 들고 이동도 한다. 정말 순식간에 사냥 마취하고, 미리 뚫어놓은 구멍으로 옮겨간다. 2012.7.27. 원주 호저면 2012. 8. 19.
곰개미 애벌레를 자신의 집으로 옮겨가고 있는 개미의 모습 자신보다 큰 먹이이다보니 옮겨가는 일이 만만치 않은 듯 하다. 2007년 2007.7.5. 호저면 부슬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곰개미 한 마리는 푸른부전나비의 꼬리를 물고 자기 역할에 충실하다.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한다.2019.7.20. 원주 주산리 2012. 8. 18.
깜둥이창나방 나방이지만 주로 낮에 활동하며 여러 꽃에 모여드는 녀석이다. 날개 가운데에 반투명한 부분이 있으며 적황색의 점이 흩어져 있다. 개망초 등 여러 꽃이나 습지에 잘 날아온다. 한낮, 토끼풀 위에 앉아 쉬고 있다. 2011.6.19. 호저면 2016.6.12. 원주 대덕리 2018.6.16. 원주 대덕리 2019.6.29. 원주 매호리 2020.5.25. 학교 2012. 8. 18.
썩덩나무노린재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들이 모여 있다. 2011.7.6. 학교 약충의 모습 2011.7.9. 호저 월동중인 녀석 같진 않은데... 눈 위에 죽어 있는 모습. 2011.1.17. 원주 약충의 모습 2011.10.5. 학교 2011.8.13. 제천 산초나무 잎 뒤에서 부화한 녀석들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10. 원주 행구동 2018.10.16. 학교 2020.8.23. 원주 대덕리 2012. 8. 18.
주둥이노린재 애벌레의 체액을 빨아먹고 있다. 2011.8.15. 호저면 약충 2011.7.5. 호저면 나무를 기어가는 녀석의 모습을 발견했다. 뭔가 이상하다 싶더니 작은 애벌레를 사냥해 먹고 있다. 2013.7.25. 원주 태장동 쥐방울덩굴 주변에서 꼬리명주나비 애벌레를 사냥하여 흡즙하고 있다. 2016.6.30. 원주 호저면 2019.7.6. 원주 호저면 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9.8.3. 원주 태장동 2019.10.20. 원주 대덕리 2020.4.14. 학교 2012. 8. 18.
큰뱀허물쌍살벌 뱀허물쌍살벌보다 전체적으로 색이 옅고 더듬이 사이의 오각형 부분에 검은색 세로줄이 없다. 집도 뱀허물처럼 길게 짓지 않고 나뭇잎이나 처마 아래, 바위 아래 등에 둥근 모양으로 짓는다. 사진은 참나무 잎에 지은 집이다. 2011.8.15. 원주 호저면 모두 같은 녀석이다. 한 녀석이 비실비실하기에 원없이 기록했다. 더듬이 사이 오각형 부분의 검은색 세로줄이 확실히 없다. 2012.9.23. 백운산 자연휴양림 나뭇잎 뒤에 붙인 집의 형태가 원형이다. 한 녀석만 보인다. 2014.6.14. 황둔자연휴양림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8. 원주 행구동 등산로 가까운 바위에 집을 마련했다. 2016.8.27. 치악산 이제는 둥지의 형태만 봐도 쉽게 구별이 된다. 2017.8.18. 인제 연가리 2.. 2012. 8. 15.
꼬리조팝 곤충 만나러 숲에 갔더니 만개해 있다. 작은 꽃바구미들은 그 속에서 사랑을 나누고 벌과 나비들은 꿀을 빤다. 2012. 7. 28.
삼하늘소 날기 위해 날개를 펴는 순간을 운좋게도 포착하였다. 2006.7.21. 원주 작지만 회색과 검은색의 조화가 멋지다. 정면에서 바라본 녀석의 얼굴 2009.6.24. 원주 법흥사 경내에서 만난 녀석 오랜만의 만남은 늘 그렇듯 반갑다. 2012.6.16. 주천 예민하지 않은 개체라 크게 담을 수 있었다. 2013.6.15. 원주 신림면 딱지날개에 검은색 줄무늬가 없는 녀석도 보인다. 2014.6.8. 원주 호저면 정면에서 가까이 바라본 하늘소류의 얼굴은 언제 봐도 특징적이고 멋지다. 2015.7.29. 원주 호저면 녀석들의 짝짓기 장면을 훔쳐보았다. 2016.6.6. 원주 대덕리 2016.6.17. 원주 대덕리 2017.7.8. 원주 대덕리 2017.7.8. 원주 대덕리 한쪽 날개가 손상되어 있던 녀석이다... 2012. 7. 7.
밀감무늬검정장님노린재 약충의 모습 얼핏 보면 진딧물처럼 보인다. 2012.6.7. 학교 성충의 모습 2011.7.4. 호저면 2013.6.15. 원주 신림면 어깨등판 앞쪽이 황색을 띠는 녀석도 있다. 2013.6.29. 원주 태장동 회색가루를 뒤집어 쓴 약충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주변 풀밭은 노린재들의 천국이다. 2014.5.31. 원주 태장동 2015.6.4. 학교 가슴등판의 밀감무늬, 황색이 제대로 나타나 있는 녀석이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7.5. 학교 2020.6.7. 제천 2012. 7. 7.
거미 부화 쑥잎 위에 부화된 거미 새끼들, 바글바글하다. 2008 2012.6.9. 호저면 2012. 7. 3.
희미무늬알노린재 2007.7.22. 원주 무척 작은 녀석들이지만 번식을 향한 행동은 변함이 없다. 2011.7.5. 호저면 점무늬 모양과 더듬이의 마디수로 알노린재과를 구분할 수 있단다. 황백색 점이 매우 작아서 보일 듯 말 듯 하다. 2010.7.18. 호저면 2012. 7. 3.
뱀허물쌍살벌 벌집의 모양이 뱀의 허물 벗은 모습과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008년 2010.10.30. 원주 호저면 이제 막 짓기 시작한 집을 발견했다. 2018.7.29. 치악산휴양림 일본잎갈나무 묘목에 붙어 있다. 2020.6.7. 제천 산책로 바로 옆 풀숲에 벌집이 보인다. 길 옆으로 옷깃이라도 스친다면 녀석들에게 혼줄이 날 듯 싶다. 2020.7.21. 치악산휴양림 하천 수변부 수초 줄기에 붙어 있다. 2022.5.29. 제천 2012. 7. 1.
알락꼽등이 집안이나 야외의 어둡고 습한 곳에서 발견된다.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에 주로 활동한다. 2007년 2013.9.20. 원주 호저면 2012. 7. 1.
행사 촬영 갔던 철원에서 만난 모습. 이제는 풀어놓고 키우는 닭을 만나기 어렵다. 비좁은 닭장이 아닌 자연의 품에서 자연스럽게 자라렴. 2011.8.4. 제법 사나워보이던 녀석2008.1.14. 원주 호저면 마을 주변 논에서 이리 저리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미꾸라지를 찾고 있다.가만히 관찰해보니 미꾸라지와 개구리, 작은 곤충들을 잡아먹고 있다.2014.3.1. 원주 호저면 2012. 7. 1.
기린초 산 가장자리에서 피어난 모습. 2010.6.27. 호저 바위 절벽에 피어난 모습 2012.6.17. 황둔 2013.7.6. 원주 꽃 지고 난뒤 씨앗 빠져나간 모습 별이 총총히 매달려 있다. 2016.10.12. 원주 2012. 7. 1.
긴알락꽃하늘소 마타리꽃이 여기저기 피어있는 곳에서 우연히 발견하였다. 아직 사진으로 담지 못한 녀석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란..... 등의 무늬로 비슷한 녀석들과 구분한다. 2007년 2011.6.5. 홍천 삼마치 벌채한 나무를 쌓아놓은 곳에서 짝짓기에 여념이 없는 녀석을 발견했다. 꽁지를 잘 관찰해 보면 녀석들의 사랑의 비밀을 알 수 있다. 2013.5.31. 학교 산수국 위에서 먹이활동 중인 녀석 2014.6.29. 치악산휴양림 여기저기 탈출공이 보이긴 하는데, 이곳에서 나온 녀석인지는 잘 모르겠다. 2016.6.5. 원주 호저면산초나무에 앉아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2019.7.13. 영월 도원리 2012. 7. 1.
우리목하늘소 이렇게 구도를 잡으니 모습이 참 독특하다. 머리에 난 더듬이가 뿔처럼 유난히 강조되어 보인다. 2007년 숲속 길가에 수액이 흐르는 참나무 주변에서 만났다. 위장이 뛰어나 얼핏 보고 지나다보면 찾기 쉽지 않다. 더듬이가 무척 굵고 길다. 2013.8.9. 원주 호저면 크기도 크고 성격도 얌전한 녀석이다. 덕분에 얼굴을 자세히 기록한다. 2020.5.17. 학교 섬강 옆 버드나무 위를 기고 있다. 2022.5.5. 원주 2012. 7. 1.
불짜게거미 다리에 꽃가루를 묻힌 꿀벌 사냥에 성공한 모습 등의 무늬가 외계인 모습과 닮았다. 도감을 보니 등의 무늬가 머리 부분을 제외하고 아랫부분이 '不'자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2007년 파리와 거미와의 먹이 다툼이라고 해야 할까? 살아남기 위한 먹이 다툼은 치열하다. 2012.6.9. 원주 호저면 2013.6.9. 원주 태장동 배갑의 색이 노란 녀석만 보다가 붉은 녀석을 만나니 다른 녀석 같아 보인다. 2016.5.22. 학교 2016.6.6. 원주 대덕리 주황색과 노란색 유형을 한 장소에서 다 만났다. 2017.6.11. 주천 2016.7.10. 원주 2018.8.19. 제천 고명동 2020.6.22. 원주 주산리 개미를 사냥했다. 2021.8.4. 제천 고명동 2012. 6. 29.
산호랑나비 마치 독이 있는 것처럼 화려한 색으로 치장하고 자신을 보호한다. 식초식물인 미나리잎을 먹고 있는 모습이다. 호저에서 촬영하였다. 2007.8.12. 원주 호저면 뒤늦은 시기인데 산형과 식물에 붙어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2013.10.27. 원주 신림면 구릿대에서 발견한 녀석 왕성하게 식사중이다. 2015.8.22. 원주 신평리 애벌레는 여러 번 관찰했지만 성체는 처음 만난다. 2016.7.10. 원주 대덕리 왜당귀에서 발견했다. 2017.6.16. 학교 벌초를 하러 갔다가 발견한 녀석 2017.9.17. 제천 고명동 2018.9.2. 원주 대덕리 2012. 6. 29.
아시아실잠자리 연초록의 색으로 치장하고, 동그란 두 눈이 인상적인 녀석이다. 아시아실잠자리 암컷으로 추정된다. 2007년 위에서 담아본 아시아실잠자리 수컷의 모습. 2008년 2004.7.25. 원주 호저면 말매미충을 먹고 있는 모습 2010.7.10. 원주 호저면 2010.7.30. 호저면 미성숙 암컷의 모습 2010.8.10. 호저면 미성숙일 때는 주황색이다가 성숙하면 녹색으로 변한다. 2010.7.10. 원주 호저면 2010.7.30. 호저면 말매미충을 잡아먹고 있는 모습 작은 실잠자리들에게 잡혀 먹는 말매미충을 자주 관찰할 수 있다. 암컷의 모습 2010.7.30. 호저면 수컷의 모습 2010.7.22. 원주 호저면 작은 저수지 주변 풀밭에서 눈 밝은 학생 하나가 녀석을 찾았다. 작은 연초록의 녀석들이 빛을 받.. 2012. 6. 29.
점박이수염하늘소 더듬이가 굵고 몸 길이의 2배가 넘는다. 딱지 날개 가운데 뒤쪽에 흰색의 무늬가 한 쌍 있다. 6-8월에 활엽수 벌채목에 모여 산다. 2008.6.21. 원주 고산리 2014.6.14. 황둔자연휴양림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21.7.22. 치악산휴양림 2023.6.10. 남원 2012. 6. 29.
왕거위벌레 암컷의 모습. 짝짓기 후 산란을 위해서인지, 밤나무잎에 많이들 앉아 있다. 그중 한 녀석을 가까이 담아보았다. 수컷의 모습. 머리부분이 유난히 길쭉해서 특이한 곤충이다. 좀더 긴 녀석이 수컷이고, 보다 짧은 녀석이 암컷이다. 나뭇잎을 재단하고 잘 말아올려 알집을 만드는 특징이 있다. 2007.7.5. 원주 호저면 2009.6.21. 원주 호저면 참나무 잎을 재단하고 말아 알집을 만든다. 완성까지 2-3시간 가량 걸린다고 한다. 2010.7.30. 원주 호저면 2014.7.20. 원주 태장동 2015.8.6. 원주 고산리 2020.5.28. 학교 2012. 6. 28.
털두꺼비하늘소 봄이 되면 여기저기서 녀석들의 모습이 보인다. 생긴 건 거무튀튀하고 이상해도 하늘소인데, 예쁘지 않아선가? 녀석들의 사체를 자주 발견할 수 있다. 2007년 2011.4.17. 원주 호저면 학교 주변에서 많이 관찰된다. 2013.5.31. 학교 2013.6.14. 학교 2016.5.2. 학교 졸음이 밀려오는 따뜻한 날씨에 녀석도 조는 듯 움직임이 별로 없다. 2017.4.15. 원주 호저면 2018.9.22. 원주 대덕리잘린 나무가지 쌓여 있는 곳에 많이 보인다.여러 쌍이 짝짓기 중이다.2020.5.11. 학교짝짓기 중인가 했더니 산란 중이다.산란된 구멍2020.5.13. 학교 2020.5.25. 학교 2012. 6. 28.
산박하 2008.9.16. 원주 2009.8.30. 원주 이름처럼 박하향은 나지 않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작고도 예쁜 꽃이다. 꽃향은 없지만 이름의 여운은 길게 남는 녀석이다. 2012.9.23. 원주 호저면 2013.9.17. 원주 호저면 꽃이 다 떨어지고 남은 모습도 예쁘다. 2013.10.4. 횡성 예쁘게 핀 녀석을 발견했다. 빛도 적당하다. 2017.9.16. 제천 고명동2019.8.5. 함백산 2012. 6. 28.
할미꽃 2010.5.22. 치악산휴양림 날아가기 직전의 씨앗들 씨앗과 열매가 함께 보인다. 2004.5.16. 원주 시골 화단에 몇 송이 피어난 녀석을 보았다. 2014.3.30. 원주 호저면 무덤가 여기저기 녀석들이 한창이다. 2014.4.19. 제천 2012.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