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중국먼지벌레 Nebria (Sadonebria) chinensis 다 고만고만하게 비슷한 녀석들이라내 실력으로는 동정이 어렵다.도움을 받고 검색을 해 보니겹눈 사이에 붉은 색 무늬가 있다고 한다.특징이 확실하다. 2024.10.5. 제천 2024. 11. 29. 장다리파리 일종 수변부에서 관찰했다.더듬이가 독특하다.전체적인 생김으로 보아일단 장다리파리 종류로 추정한다. 2024.9.8. 원주 2024. 11. 28. 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 2024.9.22. 원주 강변 단풍잎돼지풀에여럿 관찰된다.색과 무늬가 다채롭다.2024.9.24. 원주 2024. 11. 28. 회색긴파리매 Philodicus integer 강변 모래밭에서 관찰했다.개체수가 많다.2024.7.6. 원주 2024.7.20. 원주 2024. 11. 17. 애남가뢰 Meloe (Meloe) auriculatus 남가뢰와는 더듬이 모양이 다르다.좀남가뢰와 애남가뢰 구분에 어려움이 있다.일단 추정한다. 2024.10.20. 원주 2024. 11. 17. 십자무늬긴노린재 Tropidothorax cruciger 이렇게 매개곤충을 통해식물은 꽃가루를 전달한다.약충의 모습2024.9.22. 원주 성충의 모습2024.10.12. 원주 2024. 11. 17. Stimulopalpus japonicus (비늘다듬이벌레과) 고속도로 암거 벽에 붙어 기어다닌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듯하다.아직 국명은 없다.2024.10.5. 제천 2024. 11. 6. 줄무늬감탕벌 Orancistrocerus drewseni drewseni 시골 화단 맨드라미꽃을 찾아왔다.녀석 덕분에맨드라미꽃을 자세히 관찰한다. 2024.8.24. 원주 2024. 11. 6. 어리별쌍살벌 Polistes mandarinus 가슴등판 뒤쪽의노란색 점무늬가 6개다.2024.8.9. 횡성작은 벌집에 잔뜩 달라붙었다.2024.9.7. 횡성 아직 우화하지 못한 새끼들을지키고 있는 듯하다.2024.10.4. 횡성 2024. 11. 6.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약충 2024.10.4. 횡성 기온이 내려가니이렇게 떼로 모여있다. 2024.10.12. 원주 2024. 11. 3. 울도하늘소 Psacothea hilaris hilaris 왜 원주에서는 안 보일까하는 생각으로올 여름 주변에 보이는 뽕나무를스캔하며 다녔다.찾을 때는 그리도 안 보이더니이렇게 우연히 만난다.점심 먹으러 식당 가는 길발 아래 녀석이 빌빌거린다.기록도 해야 하고그냥 두면 밟힐 것이 뻔하기에잠시 채집해 두었다가가까운 뽕나무에 놓아주었다.물론 기다렸던 만남인 만큼공들여 기록한다.2024.10.30. 원주 2024. 10. 31. 뒷창참나무노린재 Urostylis lateralis 자주 만나는 연초록이 아닌몸색도 단풍이 든 녀석이다.이 가을에 잘 어울린다.녀석의 자세 덕분에생식기도 제대로 관찰한다. 2024.10.26. 원주 2024. 10. 31. 썩덩나무노린재 Halyomorpha halys 산초나무 열매에 앉아흡즙하는 녀석이다.녀석의 빨대가 인상적이다. 2024.8.12. 원주 2024. 10. 31. 중국별뚱보기생파리 Ectophasia rotundiventris 키 큰 마타리꽃에 앉아열심히 식사중인 녀석이다.배 끝의 검은색 무늬가 특징적이다. 2024.9.7. 횡성 2024. 10. 31. 좀집게벌레 Anechura japonica 귀한 녀석은 아닌데자세가 남다르다.어라라녀석들의 짝짓기는 처음 본다.2024.10.20. 원주 2024. 10. 27. 깜장버섯입치레반날개 Pseudoxyporus melanocephalus 붉은색 때문에작지만 금방 눈에 들어오는 녀석이다. 처음 관찰한다. 2024.10.19. 원주 2024. 10. 26. 홍딱지반날개 Platydracus (Platydracus) brevicornis 몸에 노란색이 있어노랑털검정반날개인 줄 알았다.크기도 비슷한 녀석이다. 2024.7.31. 원주 2024. 10. 26. 대모파리 Dryomyza formosa 처음 만나는 녀석이 있어 노력한 끝에 겨우 몇 장 기록했다. 이름을 찾다 보니 더듬이와 연결된 긴 털의 둘레에 난 가는 털이 동정 포인트란다. 사진을 확대하니 다행히 털이 보인다. 2024.10.4. 횡성 2024. 10. 25. 꽃등에 일종 (Syrphidae) 금빛으로 빛나는 녀석이다. 노란 털이 많다.여러 마리 모여서 열심히 식사중이다.2024.9.7. 횡성 2024. 10. 25. 기생파리 일종 (Tachinidae) 기생파리 종류인데몸빛이 무척 밝다.새로운 녀석을 만났다.아직 이름은 찾지 못했다. 2024.9.7. 횡성 2024. 10. 25. 나방 애벌레 일종 기껏 사진으로 기록해 놓고이렇게 이름을 모르면아쉬움이 남는다.채집해 올 걸...사육해 볼 걸...후회가 남는다.언제쯤 이름을 달 수 있을까?2024.8.5. 진부 2024. 10. 25. 풀색톱날무늬밤나방 Antivaleria viridimacula 보호색이 뛰어난 녀석이다.연초록 색이 예쁘다. 2024.10.19. 원주 2024. 10. 20. 산버섯벌레 Triplax japonica 산느타리에 붙어 있던 녀석들이다.느타리버섯벌레와 비슷하나머리와 가슴등판의 색이 같다. 2024.10.19. 원주 2024. 10. 20. 황털개미 Lasius umbratus 오솔길 쥐 사체에작은 노란 녀석들이 바글거린다.검색을 통해 이름을 추정한다. 2024.10.12. 원주 2024. 10. 13. 발해다리장님노린재 Plagiognathus amurensis 갈색부터 검은색까지색변이가 많은 녀석이라고 한다.강변 환삼덩굴과 가시박 군락에 바글거린다.비록 몸색은 차이가 있지만다리의 검은색 점 무늬는 같아 보인다.일단 추정한다. 2024.9.22. 원주 2024. 10. 12. 꼽등이 Tachycines (Tachycines) coreanus 시골집 마당에서 모처럼 큰 녀석을 만났다.2024.10.4. 원주 2024. 10. 12. 갯노린재 일종 (Saldidae) 같은 위치에서 관찰된약충과 성충의 모습이다.2024.9.8. 원주 2024. 10. 12. 이전 1 2 3 4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