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긴조롱박먼지벌레 Scarites (Parallelomorphus) terricola pacificus 시골집 마당에 나타난 녀석이다.전에 만났던 큰조롱박먼지벌레가4cm 정도의 크기였는데이 녀석은 2cm 정도의 크기다.몸에 광택도 강하다.일단 추정한다.2024.10.4. 원주 2024. 10. 12.
반원무늬애기잎말이나방 Epiblema sugii 지난 겨울 붉은머리오목눈이의 먹이 활동을 관찰하다가 강가 단풍잎돼지풀 군락에서 줄기를 물어 뜯고 애벌레를 빼내 먹는 녀석을 운 좋게 포착했다. 줄기 안에 애벌레가 있는 것을 어떻게 알고 저리 기막히게 빼 먹는지 애벌레의 정체가 너무 궁금하여 단풍잎돼지풀 마른 줄기를 한가득 채집하여 시골 집으로 가져왔다. 2023.12.17. 여주 줄기 하나하나 손으로 쪼개어 자세히 확인하니 월동하는 애벌레가 제법 나왔고, 녀석들의 정체 파악을 위해 사육을 시도했으나 아파트의 건조한 실내 환경으로 인해 실패하고 애벌레의 정체 파악은 물 건너가는 듯했다. 2023.12.25. 원주 내내 마음에 걸려 벼르다가 이번에는 커다란 사육망을 구해 자연 상태에서 월동 애벌레의 우화를 지켜보기로 계획했다. 같은 장소를 방문하여 단풍잎돼.. 2024. 10. 9.
어리곤봉자루맵시벌 Habronyx (Habronyx) elegans 추정 맵시벌의 가늘고 긴 다리에진드기 두 마리 붙어 있다.그래서인지 잘 날지 못한다.가까운 거리만 날아다닌다. 2024.8.1. 횡성 2024. 9. 29.
밤색주둥이바구미 Cyrtepistomus castaneus 생김은 왕주둥이바구미와 흡사한데머리와 딱지날개에 가시털이 보인다.도움을 받아 이름을 붙인다. 2024.8.14. 원주 2024. 9. 29.
미니날개큰쐐기노린재 Himacerus (Himacerus) apterus 몸의 크기에 비해 날개가 앙증맞다.날아다니기보다 잎을 어슬렁거리며먹잇감을 찾는다.옆에서 바라보니 몸에 잔털이 많다.2024.8.14. 원주 2024. 9. 29.
큰줄흰나비 Pieris melete 계곡옆 숲길을 따라녀석들이 오르내린다.두 녀석이 지분거리는데담배풀 군락에서 흡밀 중이다.2024.8.1. 횡성 2024. 9. 29.
푸른무늬재주나방 Ptilodon ladislai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검은색 줄무늬 패턴으로 이름을 찾았다. 2024.8.14. 원주 2024. 9. 25.
각시톱무늬자나방 Pingasa aigneri 앞뒤 날개의 검은 톱날 무늬가 인상적이다.눈에 잘 들어온다.2023.6.10. 남원 2024. 9. 25.
쑥제비말매미충 Mileewa (Elemia) ussurica 날개 일부를 제외하고는전체적으로 갈색이다.처음 만난다.2024.9.7. 횡성 2024. 9. 23.
금강산귀매미 Neotituria kongosana 초록색 약충은 자주 만났지만이렇게  붉은 테두리 제대로 물든 녀석은 처음이다. 2024.9.7. 횡성 2024. 9. 23.
거위벌레 Apoderus jekelii 빨간 딱지날개가 인상적이다. 날개 제대로 폈다. 2024.8.11. 영월 2024. 9. 23.
우리큰우묵날도래 Hydatophylax formosus 추정 다른 날도래류에 비해 늦게 우화하는 녀석인가 보다.2005년에 처음 관찰했는데8-9월에 관찰이 집중된다.크기도 크고광택이 있는 갈색 날개를 지녀초록숲에서는 금방 눈에 들어온다. 2024.9.7. 횡성 2024.10.4. 횡성 2024. 9. 10.
등줄어리쌕쌔기 Xizicus (Eoxizicus) coreanus 아주 흔하게 관찰되는 녀석은 아닌 듯하다.메뚜기목의 다른 녀석들에 비해관찰 빈도가 낮다. 가슴등판을 보면쉽게 동정되는 녀석이라눈에는 금방 들어온다. 2024.8.14. 원주 2024. 9. 10.
흰점줄들명나방 Bradina atopalis 흡사한 녀석이 있어이제서야 이름을 붙인다.2011.8.6. 원주 2024. 9. 10.
극동왕침노린재 Epidaus tuberosus 약충 잎 뒷면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크기는 아주 작지만색이 튀어 눈에 들어왔다. 2024.8.14. 원주 2024. 9. 9.
대만어리사마귀붙이 Necyla formosana 지난 번 만난 녀석과 색이 다르다.오렌지색이 보이지 않는다.2021년에 국명이 붙여진 녀석이다.2024.8.14. 원주 2024. 9. 9.
버들꼬마잎벌레 Plagiodera versicolora 화단의 삼색버드나무 잎 뒷면에 산란된 알알에서 깨어난 어린 애벌레의 모습 알껍질을 먹고 있다. 자랄수록 애벌레의 몸색이 짙다. 잎을 가해한 흔적이 선명하다.번데기의 모습번데기에서 갓 나온 모습 형태는 성충과 같으나 딱지날개가 반투명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짙어진다.성충의 모습 암수 생식기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저기 짝짓기 중인 쌍이 많다. 이렇게 장소가 겹치니 결국 한 쌍이 떨어진다. 2024.8.24. 원주 2024. 8. 27.
큰남생이잎벌레 Thlaspida biramosa biramosa 산책로 작살나무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이따금 한 마리씩은 만났지만 여러 개체를 흔하게 만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마침 기회다 싶어 녀석의 얼굴을 제대로 기록하려 했다. 오랜 시간의 기다림이 필요하다. 흙바닥에 무릎 꿇고 땀에 절은 엉덩이 붙이고 두어 시간 고생한 끝에 선명한 얼굴을 만났다.애벌레의 얼굴은 더 관찰이 힘들다. 이렇게 자신의 배설물을 쌓아 꼬리로 들어올린 다음 몸을 덮어 보호한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영락없는 배설물이다.번데기의 모습 2024.8.11. 영월 2024. 8. 24.
홍배꼬마꽃벌 일종 Sphecodes sp. 꽃범의꼬리에 벌 한 마리 날아왔다.꿀 빨려고 온 녀석인데첫마디를 제외하고는 배가 빨갛다.2024.8.12. 원주 2024. 8. 22.
장미등에잎벌 Arge pagana pagana 공들여 관리 중인 화단 장미 줄기에 녀석이 배끝을 대고 있다. 산란 중이다. 노란 배가 빵빵하다. 여기저기 잎을 갉아먹는 녀석들이 많다. 배끝의 모습산란한 줄기의 흔적산란한 줄기를 조심스레 펼쳐 보니 이렇게 길쭉하고 노란 알이 차곡차곡 쌓여 있다. 알의 형태 장미꽃을 기다리는 주인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애벌레는 오직 먹는 중이다. 2024.8.12. 원주 올해 많이도 발생했다。 줄기 하나에 네 녀석이 산란중이다。 장미꽃 제대로 필 수 있을까어린 애벌레의 모습 오직 먹는 일에 열중이다。줄기 속에 박혀있던 산란관의 모습 톱날 비슷한 생김이다。 2024.8.24. 원주 2024. 8. 21.
각다귀파리매 Leptogaster basilaris 작고 짧은 짱구파리매는 자주 만났지만배가 이렇게 길쭉한 녀석은 처음 만난다.얼마나 배가 긴지날개가 다 덮지 못한다.거미 종류를 사냥했다.빨대 꽂고 흡즙하고 있다.거미의 머리가슴만 온전하다. 2024.7.31. 원주 역시 거미류를 사냥했다.2024.8.11. 영월 2024. 8. 21.
긴꼬리산누에나방 Actias artemis 애벌레 성충인 팅커벨은 자주 만났지만 애벌레의 모습은 처음 관찰한다. 초록 몸에 갈색 머리가 인상적이다. 배마디의 가시털로 인해 얼핏 보면 쐐기나방류로 착각할 만하다. 사진 찍고 보니 뮤지컬 배우가 캐릭터 옷을 입은 듯하다. 2024.8.11. 영월 2024. 8. 21.
큰눈노랑가지나방 Ophthalmitis albosignaria 애벌레 가래나무 잎을열심히 먹고 있던 녀석이다.부풀어오른 배마디가 독특하다. 잎 가운데 주맥에 매달려 사각 사각 잘도 갉아먹는다.부푼 배마디와기주인 가래나무로어렵지 않게 동정한다. 2024.8.5. 진부 2024. 8. 21.
초록파리 Isomyia prasina 이름 그대로초록색 몸이 돋보이는 녀석이다. 2024.8.9. 횡성2024.8.11. 영월 2024. 8. 19.
참길앞잡이 Cicindela (Cicindela) transbaicalica 모래밭을 돌아다니는 녀석들이한동안 보이지 않더니만오늘 성충 몇 마리 관찰된다. 해질녘이고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니이렇게 모래밭에 구멍을 파기 시작한다. 2024.8.13. 원주 2024. 8. 19.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높이가 적당한 곳에서 거사 중이라생식기 결합 자세가 제대로 보인다.2024.7.13. 단양 뒷다리 넓적마디에 검은 무늬가 보인다.수컷이 배 끝에서 생식기를 꺼내 무작정 들이대지만암컷은 딱지날개를 펴며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중이다. 2024.7.21. 원주 2024. 8. 19.
버들꼬마잎벌레 Plagiodera versicolora 강변 갯버들에는참 많은 녀석들이 모여든다.물론 시기를 달리해서로 경쟁을 피하는 듯하다.요즘은 이 녀석이 바글거린다. 2024.8.8. 원주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