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림면32 꽃범의꼬리 2013.10.27. 원주 신림면 2017. 11. 25. 오구마각시매미충 색과 무늬가 달라 이름을 찾지 못하다가 곤충나라에서 도움을 주셨다. 이름도 독특하다. 고구마도 아니고... 2017.8.3. 원주 신림면 2017. 9. 10. 검정접시거미 나뭇가지 사이에 접시형 그물이 있다. 작은 녀석이다. 2017.8.3. 원주 신림면 2017. 8. 10. 쥐손이풀 이질풀, 둥근이질풀, 쥐손이풀 종류에 머리 아파했는데, 인터넷의 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어 금방 이름을 찾았다. 꽃잎의 분홍 줄이 3개다. 2017.8.3. 원주 신림면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8.18. 인제 연가리 2017.9.2. 원주 대덕리 2017. 8. 8. 좀깨잎나무 2010.8.22. 원주 좀깨잎나무, 거북꼬리, 모시풀 등의 구분에 머리 아파 포기하고 있다가 이제야 자료를 올린다. 2017.7.27. 치악산휴양림 보기엔 풀 같아도 반관목으로 목본에 해당되는 녀석이다. 2017.8.3. 원주 신림면 계곡 올라가는 길과 임도길 옆으로 녀석들이 지천이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1. 벌완두 덩굴식물로 갈퀴나물류와 많이 혼동되는 녀석인데,작은 턱잎이 2장으로 보이고, 측맥과 주맥의 각도가 90에 가까운 듯하여 일단 이 녀석으로 동정했다.2013.10.27. 원주 신림면 2014. 11. 9. 왕바다리 날씨가 선선해져서 그런지 녀석들의 활동이 그리 활동적이진 않다. 덕분에 가까이에서 관찰한다. 2014.10.18. 원주 신림면 암자 단청에 집을 지은 녀석들 2015.6.21. 원주 반곡동 2018.6.23. 원주 대덕리 바위에 집을 단단히 부착하였다. 2018.8.7. 인제 연가리 얼굴 정면의 모습을 보고 동정하였다. 2018.11.10. 원주 호저면 2014. 11. 2. 큰개별꽃 개별꽃 종류도 여러 가지이다.이 녀석은 꽃잎이 6장에 가늘고 긴 잎의 형태를 지녔다.큰개별꽃 아니면 숲개별꽃으로 보이는데일단은 피침형의 잎으로 보아 큰개별꽃으로 동정하였다. 2014.4.12. 원주 신림면 2014. 8. 14. 광대수염 2005.6.5. 원주 호저면 가늘고 긴 꽃받침이 수염같아 보여서 붙여진 이름 같다. 2008.6.22. 원주 호저면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2014.4.19. 원주 신림면 2015.5.10. 원주 호저면 2016.5.15. 인제 연가리 2014. 8. 14. 윤판나물 2013.5.4. 안동 봉정사 아래로 향해 핀 노란 꽃이 수수하면서도 아름답다. 백합과에 속한 외떡잎식물로 봄에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2014.4.19. 원주 신림면 2018.4.15. 원주 호저면 2014. 7. 1. 삿갓나물 2008.5.10. 원주 6-8장의 잎이 우산처럼 돌려나 있다. 식용으로 쓰이는 우산나물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우산나물은 돌려난 잎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약재로 쓰이긴 하나 독성이 있어 식용은 안 된다. 2014.4.19. 원주 신림면 2018.6.13. 원주 대덕리 2014. 7. 1. 민들레 성황림 안에서 총포가 뒤로 젖혀지지 않은 녀석을 발견했다. 참 오랜만에 만난 토종민들레이다. 서양민들레 천국인 현실에서 모처럼 만난 녀석이라 그런지 대견하다. 꽃이 서양민들레보다 풍성해 보이지 않고 모양도 약간 다르다. 총포 부분을 확실히 기록해 둔다. 2014.4.12. 원주 신림면 2014.4.19. 원주 신림면 처가 마당 구석에 토종이 보인다. 특징이 아주 잘 나타난다. 2017.4.10. 원주 호저면 아래의 서양민들레와 구별이 확실하다. 잎도 많이 다르다. 2017.4.15. 원주 호저면 2014. 4. 19. 은행나무 열매의 모습 침엽수인 이 녀석의 정체는 잎의 세로결을 살펴보면 잘 나타난다. 공해에 강하며, 씨앗을 보호하기 위해 노랗게 익은 열매는 역한 냄새를 풍긴다. 이 역한 과육을 제거해야만 비로소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열매가 나타난다. 2006.7.25. 학교 봉정사의 은행나무 모습 오래된 큰 나무 아래에 새끼친 가지들이 둘러 있다. 2013.5.4. 안동 성림체험학습장 안의 은행나무 모습 노랗게 제대로 물이 들었다. 2013.10.26. 원주 신림면 2013. 11. 27. 갈대 물가 주변에서 흔히 자라며 꽃의 전체적인 모습이 단정치 않다. 2013.10.27. 원주 신림면 2013. 11. 16. 자주가는오이풀 오이풀보다 잎이 가늘며 흰꽃이 피는 가는오이풀에 비해 옅은 자주색의 꽃이 핀다. 2013.10.27. 원주 신림면 2013. 10. 30. 가는오이풀 오이풀보다 잎이 가늘다. 흰색의 꽃이 피어나며 꽃차례가 길다. 2013.10.27. 원주 신림면 2013. 10. 30. 오이풀 기다란 줄기 위에 자주색 꽃이 달려있다. 잎에서 오이향이 난다. 2013.10.27. 원주 신림면 한창 개화중인 녀석들이다. 초록 줄기 위에 자주빛 꽃이 도드라진다. 2017.8.2. 제천 고명동 2017.9.16. 제천 고명동 2018.8.10. 제천 고명동 2013. 10. 30. 노박덩굴 노란색의 껍질이 정확히 삼등분되어 벌어지면 빨간 열매가 탐스럽게 모습을 드러낸다. 껍질처럼 열매도 삼등분되어 있다. 줄기가 굵고 열매가 많이 달려 덩굴이 아닌 줄 알았다. 2013.10.26. 원주 신림면 잎이 올라오고 있다. 봄이다. 2018.4.2. 외연도 2018.12.25. 원주 고산리 2013. 10. 28. 산국 요즘 한창이다. 감국에 비해 꽃의 크기가 작으며 쓴 맛이 난다. 감국에 비해 잎이 조금 더 넓은 편이나 야외에서의 구별은 쉽지 않다. 10원짜리 새 동전과 비교했을 때 이보다 꽃이 작다. 2013.10.6. 원주 호저면 2013.10.27. 원주 신림면 계곡 주변에서 모처럼 소담스러운 녀석을 만났다. 2013.10.13. 횡성 청일면 2013. 10. 8. 멸가치 길가 옆에 넓은 잎이 잔뜩 깔려 있다. 2006.7.22. 원주 신림면 2007.8.26. 원주 꽃의 모양 열매 표면에 작고 끈적한 털이 있어 잘 달라붙는다. 번식에 효과적이다. 2004.8.29. 원주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8.8.7. 인제 연가리 2013. 9. 28. 달맞이꽃 생각해보니 웹에서 사용하는 닉네임이 달맞이꽃인데 정작 이 녀석의 사진은 별로 없다. 등잔 밑이 어두웠던 것일까 내년에는 많이 담아두어야겠다. 2013.8.15. 원주 태장동 2013.9.26. 학교 2013.10.27. 원주 신림면 2014.8.8. 원주 행구동 2014.8.10. 원주 행구동 2014.9.10. 원주 호저면 2018.8.19. 제천 고명동 2018.9.13. 원주 2020.9.29. 학교 2013. 9. 3. 뿔나비 성황림 주변 축축한 오솔길에 녀석들이 대량 발생했다. 시기가 잘 맞은 것인지 이렇게 많은 녀석들은 처음이다. 정말 발에 밟힐 듯 하다. 날개를 접고 숲 바닥에 앉아 있으면 낙엽과 비슷하여 확실히 위장이 된다. 녀석들의 군무도 정말 환상적이다. 2013.6.15. 원주 신림면 2016.5.2. 원주 대덕리 2019.6.22. 가평 유명산 2019.10.19. 원주 매호리 2022.4.2. 상지대 2013. 6. 17. 도롱뇽 치악산 아래 농로 개울가 여기저기 많이 보인다. 2011.4.23. 원주 신림면 지인의 집 앞 개울에 부화한 녀석들 아가미가 있어 개구리 올챙이와 확연히 다르다. 2008.5.3. 주천 이 녀석만으로는 꼬리치레인지 다른 녀석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하지만 선명한 아가미의 모습은 녀석이 도롱뇽임을 말해준다.2013.6.16. 치악산국립공원 인근 과수원 샘물에 녀석들이 10여 마리 살고 있다.오랜만에 만나니 귀엽다. 2019.7.20. 원주 주산리 2019.8.1. 원주 주산리 2013. 3. 11. 밀감무늬검정장님노린재 약충의 모습 얼핏 보면 진딧물처럼 보인다. 2012.6.7. 학교 성충의 모습 2011.7.4. 호저면 2013.6.15. 원주 신림면 어깨등판 앞쪽이 황색을 띠는 녀석도 있다. 2013.6.29. 원주 태장동 회색가루를 뒤집어 쓴 약충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주변 풀밭은 노린재들의 천국이다. 2014.5.31. 원주 태장동 2015.6.4. 학교 가슴등판의 밀감무늬, 황색이 제대로 나타나 있는 녀석이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7.5. 학교 2020.6.7. 제천 2012. 7. 7. 으름밤나방 애벌레 무늬가 특이한 으름밤나방 애벌레의 모습. 매달려 있는 자세가 독특하다. 2007.7.16. 신림면 2017.9.3. 원주 대덕리 2012. 7. 1. 두쌍무늬노린재 곤충 중에서도 꽤 많은 종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노린재라고 하는데... 도감을 뒤적여보아도 얼핏 200여 종이 넘어간다. 하여 새로운 녀석들을 발견하고 촬영할 때마다 그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2007년2014.10.18. 원주 신림면 2012. 6. 29. 풀솜대 지장보살이라고도 한다. 흰색의 작은 꽃이 원뿔 모양으로 피어난다. 2010.5.8. 원주 호저면 2014.4.19. 원주 신림면 2016.5.15. 인제 연가리 2012. 6. 2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