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전계곡20 미역줄나무 2011.8.27. 원주 덩굴성인 녀석이다. 씨앗이 달린 열매의 모양이 특징적이다. 세 개의 날개가 달려 있다. 2017.7.27. 진부 장전계곡 높은 산지에서 만날 수 있는 녀석이다. 2018.8.12. 함백산 2019.8.5.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18. 1. 24. 큰기름새 잎 가운데 흰 줄이 있다. 꽃차례가 바로 서 있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21.8.4. 제천 고명동 2021.10.31. 인제 2017. 9. 1. 북쪽맵시방패벌레 처음 발견했을 때는 노린재 종 추가로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 방패벌레류다. 검색을 해 보니 가장 근접한 녀석이 있어 일단 이름 붙인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23. 머루잎뾰족혹파리혹 임도길을 살피다가 개머루 잎 위에 붉은 뿔이 달린 것을 확인했다. 색도 생김도 도드라지고 자극적이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9. 난티나무 2006.9.30. 청태산 독특한 모양의 잎이 특징적인 녀석이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9. 쥐손이풀 이질풀, 둥근이질풀, 쥐손이풀 종류에 머리 아파했는데, 인터넷의 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어 금방 이름을 찾았다. 꽃잎의 분홍 줄이 3개다. 2017.8.3. 원주 신림면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8.18. 인제 연가리 2017.9.2. 원주 대덕리 2017. 8. 8. 농발접시거미 작지만 배의 무늬가 독특한 녀석을 만났다. 2017.7.27. 진부 장전계곡 2017. 8. 4. 좀깨잎나무 2010.8.22. 원주 좀깨잎나무, 거북꼬리, 모시풀 등의 구분에 머리 아파 포기하고 있다가 이제야 자료를 올린다. 2017.7.27. 치악산휴양림 보기엔 풀 같아도 반관목으로 목본에 해당되는 녀석이다. 2017.8.3. 원주 신림면 계곡 올라가는 길과 임도길 옆으로 녀석들이 지천이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1. 쉬땅나무 많이 보던 흔한 식물인데 그래서인지 사진이 없다. 2017.7.27. 진부 장전계곡 꽃이 시들기 전에 다시 방문해 자료화했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1. 진빨간꽃버섯 이끼 계곡 사진으로 유명한 장소에서 광택이 있는 빨간 버섯을 관찰했다. 대의 색은 주황빛이다. 광택이 있는 빨간색이 무척이나 화려하다. 2017.7.27. 진부 장전계곡 2017. 7. 28. 구릿대 계곡 주변에서 많이 보이며, 키도 크고, 줄기도 튼실한 녀석이다. 2014.8.15. 검룡소 2017.7.27. 진부 장전계곡 임도 길 옆으로 녀석들이 많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8.8.12. 함백산 2018.9.29. 인제 연가리 2016. 6. 19. 호랑꽃무지 여기저기서 흔하게 만났던 녀석인데 이제서야 올리게 되었다. 딱지날개의 얼룩덜룩한 무늬 때문에 '호랑'이라는 이름이 붙은 녀석이다. 2011.7.21. 원주 2016.6.5. 강원도자연학습원 왜당귀꽃에 달라붙은 녀석이다. 2017.6.11. 학교 노루오줌 꽃에서 두 녀석이 짝짓기 중인데 한 녀석이 계속 집적거린다. 필사적으로 달라붙는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6. 6. 9. 흰물봉선 계곡 옆 습한 지역에 물봉선이 종류별로 깔려 있다. 2014.8.15. 검룡소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4. 8. 17. 사상자 산형과에 속한 녀석들은 종류도 많고 너무 혼동되어 그동안 포기하고 있었는데 홍줄노린재를 떼로 발견하고 나서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소산경(작은 우산 모양의 꽃줄기)의 수와 꽃과 열매의 수, 그리고 총포엽의 수를 세어보아야 정확한 동정이 가능하단다. 2014.7.29. 원주 행구동 2014.7.30. 원주 호저면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4. 7. 30. 노루오줌 지난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날짜는 정확하지만 관찰 장소는 그때그때 기록해 두질 않아 이렇게 넓게 간다. 흔한 녀석이라도 기록하는 습관이 학습하는 입장에서는 새삼 중요함을 깨닫는다. 2013.7.6. 강원도 2014.8.16. 정선 만항재 2015.7.25. 청태산자연휴양림 2015.8.11. 홍천 삼마치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9.6.22. 가평 유명산 2019.8.13. 치악산휴양림 2020.7.12. 설악산 2021.7.27. 함백산 2014. 4. 1. 꽃향유 향유와 꽃향유는 꽃이 모두 한쪽 방향으로만 핀다. 향유에 비해 꽃의 색이 짙고 더 빽빽하게 핀다. 2003.10.5. 원주 옆에서 바라본 꽃의 모습이다. 한쪽 방향으로만 핀 꽃의 모습이 확연히 드러난다. 뒷면에서 바라본 꽃의 모습 2013.10.13. 횡성 잎의 모습만 있으니 동정이 어렵다. 인터넷의 도움을 받았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3. 9. 17. 배초향 진한 박하향을 지닌 녀석으로 향유에 비해 꽃이 사방으로 핀다. 생선 비린내를 없애는데 사용하거나 기름을 짜서 활용한다. 2011.8.27. 오대산 2014.8.23. 양평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9.8.5. 함백산 2020.7.21. 치악산자연휴양림 2020.8.29. 정선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21.9.12. 횡성 청일 2013. 9. 17. 탈장님노린재 앞가슴등판 가운데에 검은색 원 무늬가 한 쌍 있다. 눈처럼 보인다. 특징적인 녀석이라 혼동할 여지는 없다. 2013.7.25. 원주 태장동 2014.6.29. 치악산휴양림 가끔씩 보는 녀석이지만, 생각만큼 사진으로 잘 기록하지는 쉽지 않다. 검은색 바탕의 몸에 제대로 포인트를 주었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어두운 계곡 참당귀 꽃 위에 앉아 있다. 2018.9.30. 인제 연가리 2019.8.4. 원주 주산리 2013. 8. 23. 거꾸로여덟팔나비 날개를 펴고 앉아 있는 모습을 잘 관찰하면 거꾸로 된 여덟 팔자 무늬가 보인다. 2011.7.21. 치악산휴양림 가까이서 먹이활동을 하는 착한 녀석을 만났다. 이곳엔 늘 이 녀석이 많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17.8.8. 진부 장전계곡 벌등골나물에서 만났다.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 2021.7.22. 치악산휴양림 2012. 7. 8. 밑들이메뚜기 짝짓기 모습 얼굴을 확대해 보니 씹어먹는 턱의 위력이 느껴진다. 날개가 퇴화되고 붉은 빛의 짧은 날개만 남아 있다. 주로 산지에서 만날 수 있다. 2010.7.10. 원주 호저면 만항재에서 만난 메뚜기. 꽤 여러 마리를 볼 수 있었는데, 대다수가 모두 이런 모양이다. 날개가 거의 발달하지 않고 선홍빛인 것으로 보아 밑들이메뚜기로 생각되는데 탈피에 실패한 것인지, 추운 기후에 견디지 못한 것인지... 자연은 항상 예측불허다. 도심이 30도 넘는 무더위로 밤잠을 설칠 때, 이곳은 기온이 18-22도 정도였다. 2010.8.22. 만항재 자연과 생태에서 나온 '곤충, 크게 보고 색다르게 찾자!'라는 책을 보니 메뚜기만 죽게 하는 병원균이 있다고 한다. "하나같이 눈에 잘 띄는 높은 곳의 풀줄기를 꼭 붙들고 있.. 2012. 6.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