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천438

물까마귀 Cinclus pallasii 계곡은 아직 한 겨울인듯 보이지만 봄의 기운을 품고 흐른다.녀석들도 육추를 대비하며암수 함께 둥지장소 주변에서활발히 먹이활동 중이다.2025.2.21. 제천가까운 장소에서 둥지 재료인 이끼를 얻는다.물 속에서 식물 뿌리도 물고 나왔다.둥지 재료 중 하나이다.석축에 붙은털깃털이끼와 식물 뿌리를 채집했다.나무 아래에 붙은또다른 이끼도 채집했다. 털깃털이끼를 부리 가득 물고 날아간다. 녀석은 지금 둥지 보수 중이다.2025.2.25. 제천10미터가 넘는 높은 폭포 주변에둥지를 마련한 모양이다.재료를 물고 위아래로 날아다닌다. 2025.2.26. 구례 아직 녹지 않은 얼음 속에녀석은 둥지를 완성 중이다.참 은밀하다.가까운 주변에서 이끼를 취한다.통째로 물어 뽑은 다음묻은 흙은 털어낸다.먹이를 패대기치듯재료를 털.. 2025. 2. 25.
중국먼지벌레 Nebria (Sadonebria) chinensis 다 고만고만하게 비슷한 녀석들이라내 실력으로는 동정이 어렵다.도움을 받고 검색을 해 보니겹눈 사이에 붉은 색 무늬가 있다고 한다.특징이 확실하다. 2024.10.5. 제천 2024. 11. 29.
Stimulopalpus japonicus (비늘다듬이벌레과) 고속도로 암거 벽에 붙어 기어다닌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듯하다.아직 국명은 없다.2024.10.5. 제천 2024. 11. 6.
물까마귀 Cinclus pallasii 번식 장소 주변에서 여전히 먹이활동 중이다.대략의 거리를 재어보니둥지장소에서 먼 거리는 200m 정도이다.수변부 얕은 물에서 사냥을 한다. 2024.11.3. 제천2025.1.18. 영주하천의 얼지 않은 구간에서 먹이활동 중이다.2025.1.22. 봉평암수가 함께 있다.수컷이 암컷보다 몸이 더 크다.잠깐 구애 행동을 하더니이내 가까운 거리에서 먹이활동을 한다.주변에서 번식할 듯하다.2025.2.4. 함양 2024. 11. 6.
팥배나무좀 Xylosandrus crassiusculus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동정이 어려운 종류다.어두운 고속도로 암거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도움을 받아 이름을 붙인다. 2024.5.26. 제천 2024. 7. 7.
산목대장먼지벌레 Odacantha (Heliocasnonia) aegrota 2011.7.29. 제천 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 정말 오랜만에 만난다.2024.6.14. 원주 2024.7.25. 원주 2024. 6. 18.
멧강구 Ligidium koreanum 모처럼 접사렌즈를 들고곤충 보려고 하니비가 쏟아진다.예보보다 이른 시간이다.고속도로 밑 암거에서 비 그치기를 기다리는데암거 벽에 녀석들이 많이 보인다.쥐며느리 비슷해 보이는데뭔가 다르다.바닷가에서 자주 만났던갯강구를 닮았다.2024.5.26. 제천 2024. 5. 29.
물까마귀 Cinclus pallasii 부리에 이끼를 잔뜩 물고 있다. 녀석은 둥지 제작 중이다. 돔형의 둥지 외부를 이끼를 쌓아 멋지게 만들었다. 그런데 저 정도의 둥지를 만드려면 도대체 몇 번이나 이끼를 물어 날라야 할까 둥지 재료인 이끼의 종류도 궁금하지만 제작에 소요된 이동 횟수도 궁금해진다. 2023.3.10. 제천 새끼 4마리를 열심히 먹여살리고 있다. 그닥 깨끗한 물은 아니다. 둥지 아래 다소 깊은 물에 작은 물고기들이 많이 튀어오르는데 녀석은 어류에 관심도 없다. 2024.4.7. 횡성 2024. 3. 12.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하천 주변에서 만났다.특유의 소리를 듣고 녀석의 존재를 파악했다.2024.1.10. 제천덤불 속을 너무 좋아한다.2025.1.17. 영월 2024. 1. 13.
설악거품벌레 Aphilaenus nigripectus 녀석의 이름을 찾느라 검색품을 많이 들였다. 매미충에서 찾았으니 그럴 수밖에... 결국 거품벌레 종류라는 것을 알았다. 연황색의 띠무늬가 특징적이다. 2022.5.26. 제천 2024. 1. 9.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일본잎갈나무에 바글거린다.벌목 후 심은 묘목에도 잔뜩 붙어있다.2020.6.7. 제천숲에 한창 산란 중이다.이 나무 저 나무 가리지 않는다.2020.6.27. 원주 자작나무 수피에 산란중이다. 2024.8.5. 진부 2024. 1. 3.
옛하루살이 Siphlonurus chankae 2020.3.22. 원주혼동되는 녀석이다.옛하루살이로 일단 추정한다.2023.3.11. 제천 2024. 1. 3.
올리브곰보바구미 Pimelocerus perforatus 오돌토돌한 표면에 검은 색의 무늬가 도드라진다. 무늬 패턴을 비교하여 이름을 찾았다. 2022.5.26. 제천 2023. 12. 10.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Achlaenius) micans 2008.6.22. 원주 2011.8.13. 제천 끝무늬먼지벌레와 생김이 비슷하여 구별이 까다롭다. 딱지날개의 무늬 차이로 일단 추정한다. 2020.8.9. 서귀포 2023. 10. 14.
각다귀 일종 등화에 날아온 작은 각다귀 종류인데 한 녀석 몸에 응에 여러 마리 붙어 있다. 2023.8.26. 제천 2023. 9. 27.
거미류 탈피각 온전한 형태로 매달려 있다. 2023.8.26. 제천 2023. 9. 15.
남방점긴날개멸구 Rhotana maculata 날개 끝의 검은색 네 점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예쁜 멸구는 처음이다. 2023.8.26. 제천 2023. 9. 13.
멋쟁이딱정벌레 Coptolabrus jankowskii jankowskii 야간 등화 중 바닥에서 녀석을 찾았다. 뭐 먹을 게 있을까 하고 왔다가 이렇게 모델을 한다. 2023.8.26. 제천 2023. 9. 1.
맵시애기물결자나방 Eupithecia absinthiata 야간 등화에 날아왔다. 조명 아래에서는 온통 금빛으로 보이던 작은 녀석이다. 배마디 중앙에 밝은 줄무늬가 보인다. 2023.8.26. 제천 2023. 9. 1.
흑점박이애기물결자나방 Eupithecia quadripunctata '한국나방도감'을 통해 비슷한 녀석을 찾았다. 배 부분이 적갈색을 띠고 있다. 2023.8.26. 제천 2023. 8. 30.
복숭아명나방 Conogethes punctiferalis 2023.8.7. 원주 이 녀석은 이름 그대로 복숭아에 산란한다.이따금 복숭아에서 발견되는 흔적들은녀석들의 것이다.2023.8.26. 제천 2024.6.14. 원주 2023. 8. 28.
꼬마수염나방 Herminia grisealis 야간 등화시 차 앞유리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 2023.8.26. 제천 2023. 8. 28.
네눈박이푸른자나방 Thetidia albocostaria 2005.8.27. 원주 앞날개와 뒷날개에 흰색 점무늬가 한 쌍씩 있어 '네눈박이'로 이름 지어진 듯하다. 2023.8.26. 제천 2023. 8. 28.
네점노랑물명나방 Potamomusa midas 2022.6.12. 원주 유충일 때는 물속에서 생활하며 부착 이끼류를 먹는다고 한다. 뒷날개 끝의 검은 점무늬가 선명하다. 이름에는 '네점'인데 실제로는 작은 점까지 5개이다. 2023.8.26. 제천 2023. 8. 28.
흰꼬리잎말이나방 Archips nigricaudana 생김을 보면 잎말이나방 종류인 것은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이름을 찾다보면 비슷비슷한 녀석들이 많다. 쉽지 않다. 2023.8.26. 제천 2023. 8. 28.
날베짱이 Sinochlora longifissa 날개 기부 옆면에 흰색과 검은색의 줄무늬가 선명하다. 더듬이와 앞다리의 붉은색도 눈에 금방 들어온다. 2023.8.26. 제천 2023. 8. 28.
귀매미 Ledra auditura 앞가슴등판이 위로 솟아오른 재미있는 녀석이다. 정면과 45도 각도여야만 그 생김이 제대로 표현된다. 야간 등화로 만났다. 2023.8.26. 제천 2023.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