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함백산68

금강산밑들이 Panorpa kongosana 정상 부근에서 만난 녀석이다. 무늬 패턴이 독특하다. 2021.7.27. 함백산 2023. 12. 30.
민눈양지꽃 Potentilla rosulifera 5장의 꽃잎이 통통한 하트 모양이다. 암술과 수술이 있는 가운데 부분은 살짝 붉은 빛이다. 2023.5.14. 함백산 2023. 10. 25.
인가목 정상 부근에서 만났다. 길쭉한 빨간 열매가 인상적이다. 꽃은 해당화를 닮았다 하는데 시기가 늦어 열매만 관찰한다. 2021.7.27. 함백산 2021. 8. 5.
왜청벌 광택이 있는 몸색이 둘로 나뉘어 구분된다. 2020.8.29. 정선 함백산 2021. 3. 21.
뱀눈그늘나비 정상 부근에서 처음으로 만났는데좀처럼 거리를 주지 않는 예민한 녀석이다.2020.8.29. 정선 함백산 2020. 12. 28.
결절구멍장이버섯 이름을 찾으려고 도감의 그물버섯목을 뒤졌으나 나오지 않는다.알고 보니 구멍장이버섯 종류다.모르면 이렇게 손발이 고생이다.2020.8.29. 정선 함백산 2020. 9. 8.
밀짚색무당버섯 2020.8.29. 정선 함백산 2020. 9. 7.
꾀꼬리버섯 노란색을 보고 느낌이 왔다.비슷한 색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리라.2020.8.29. 정선 함백산 2020. 9. 7.
Synuchus속(납작먼지벌레류) 2018.8.12. 함백산 2020. 3. 31.
말나리 잎이 돌려나기 방식이다. 꽃이 앞을 보고 피어났다. 2019.8.5. 정선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23.5.14. 함백산 2020. 1. 22.
떡벌 정선 함백산 정상 바위에서 발견한 녀석인데짝짓기 중인지 두 녀석이 붙어 있다.온 몸이 온통 황색과 연황색의 털로 덮여 있다.뒤영벌, 머리뿔가위벌과 비슷해 잘 모르겠다.도움을 받아 뒤영벌과의 떡벌로 동정한다. 뒤영벌에 기생하는 종류라고 한다.2019.8.5. 함백산 2019. 12. 27.
참가시노린재 가시노린재와 비슷해 보이나앞가슴등판 양옆의 가시가 둥글지 않고 뾰족하다.2019.8.5. 정선 함백산 2020.8.29. 함백산 2019. 12. 22.
무당버섯속 Russula sp. 수원무당버섯은 자루에도 분홍색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버섯은 없고, 자루도 다소 가늘고 긴 편이다.2019.8.5. 고한 2019. 10. 12.
바위채송화 밭 주변에서 흔히 만나는 돌나물꽃과 닮았다. 높은 산 정상 바위 주변에서 만났다. 2019.8.5.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19. 8. 15.
옛우엉바구미 추정 딱지날개가 넓고 길이가 짧다.엉겅퀴 등에 잘 날아온다고 한다.2019.8.5. 함백산 2019. 8. 15.
번개오색나비 정상 오르는 가파른 능선에서 만났다.생각보다 크기가 크다.2019.8.5. 함백산 2019. 8. 8.
산수풀떠들썩팔랑나비 오랜만에 팔랑나비류 종추가했다.2019.8.5. 함백산 2019. 8. 7.
흰점빨간긴노린재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 색과 무늬가 화려하다.정상부 산형과 식물에서 여러 마리를 만났다.바람이 너무 불어 손으로 줄기를 잡고 간신히 초점을 맞추었다.2019.8.5. 함백산 2019. 8. 7.
돈무늬팔랑나비 새로운 녀석을 만났다.게다가 예쁘기까지 하다.또 날개 윗면과 아랫면을 모두 담았다.날개 아랫면의 원 무늬 때문에 '돈무늬'로 이름 붙여진 녀석이다.2019.6.16. 치악산휴양림 정상 부근에 여러 마리가 관찰된다.여전히 예쁘다.2019.8.5. 함백산 2019. 6. 16.
산톱풀 화단에서 자란 톱풀은 자주 보았지만 야생에 피어 있는 녀석은 처음 만난다. 잎이 잘 보이지 않아 특징이 드러나진 않지만 혀꽃의 크기와 꽃의 수로 일단 동정한다. 2018.8.12. 함백산 2018. 10. 26.
선백미꽃 가늘고 끝이 뾰족한 씨앗주머니가 맺혀 있어 누군가 찾아보았다. 시기가 맞지 않아 예쁜 꽃은 놓쳤다. 2018.8.12. 함백산 2018. 9. 8.
감탕벌 일종 감탕벌 종류인데 검색해봐도 일치하는 녀석이 보이지 않는다. 가슴에 황색점이 없고 배에 노란띠가 하나 더 있지만 전체적인 모습으로는 황테감탕벌과 비슷하다. 함백산 정상 바위에 앉아 있던 녀석이다. 2018.8.12. 함백산 2020.8.29. 함백산 2018. 9. 7.
모시대 2014.8.16. 만항재 그냥 모시대로 보인다. 2015.7.25. 청태산자연휴양림 도라지모시대 같기도 하다. 잔대는 암술대가 꽃밖으로 길게 나와 있는데 이 녀석은 꽃밖으로 살짝만 나와 있다. 잔대에 비해 꽃이 크고 잎은 어긋나기 방식이다. 모시대와 도라지모시대의 구분은 자료를 살펴봐도 의견이 분분해 일단은 미뤄둔다. 2018.8.12. 함백산 2019.8.5. 함백산 2018. 9. 2.
잔대 가느다란 4장의 잎이 돌려나기 형태이다. 2010.8.22. 만항재 종처럼 달려 있는 꽃이 참 예쁘다. 2014.8.16. 원주 2018.8.12. 함백산 2018. 9. 2.
흰송이풀 얼핏 보면 꽃이 피다 만듯한 느낌이다. 2018.8.12. 함백산 꽃차례를 보면 물레나물과도 비슷하다. 바람개비 모양이다. 2019.8.5. 함백산 2020.8.29.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18. 8. 28.
매발톱나무 매발톱 꽃은 진작 알고 있었지만 매발톱 나무는 처음 만난다. 그래서 잎과 열매만 대략 찍었다. 하지만 알고 보니 녀석의 줄기에 돋아난 새 발가락처럼 생긴 굵은 가시가 포인트다. 그래서 매발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올해 안에 꼭 다시 제대로 기록할 예정이다. 2018.8.12. 함백산 2018. 8. 28.
나래박쥐나물 잎의 모양이 특징적이다.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잎자루에 톱니모양의 거치가 없다. 2018.8.12. 함백산 2018.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