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표선면26

민무늬알락노랑불나방 2020.8.9. 제주 표선면 2020. 12. 30.
세줄깡충거미 농가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처음 만나는 깡충거미 종류다.2020.8.9. 제주 표선면 2020. 9. 8.
날개뾰족명나방 2020.8.9. 제주 표선면 2020. 9. 6.
작은갈고리밤나방 애벌레 노란색과 주황색으로 포인트를 준듯한 몸색이다.2020.8.8. 제주 매오름2020.8.11. 제주 표선면 2020. 9. 4.
담배거세미나방 농가 뒤 고구마 잎과 줄기에 많이 보인다.2020.8.9. 제주 표선면 2020. 9. 4.
검정무늬주홍불나방 불나방과에 속한 녀석인데좀 작은 듯하다.2020.8.10. 제주 표선면 2020. 8. 31.
흰줄태극나방 앞날개에 있는 태극무늬가 압권이다.날개에 굵은 흰 줄무늬가 보인다.2020.8.9. 제주 표선면 2020. 8. 31.
귤나무 꽃의 모습 2020.8.9-10. 제주 표선면 2020. 8. 18.
민달팽이류 노랑쥐눈물버섯을 먹고 있는 모습 다음날 아침 버섯 네 송이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 있었다. 2020.8.9. 제주 표선면 귤밭 주변에서 많이 보이는 녀석이다. 몸색도 연한 귤빛이다. 2020.8.10-11. 제주 표선면 2020. 8. 17.
별거저리 몸이 길쭉하고 딱지날개에 줄무늬가 선명하다.2020.8.10-11. 제주 표선면 2020. 8. 17.
부산입술대고둥 비가 오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니나무나 돌담, 집 벽 등 여러 곳에서 이 녀석들을 만난다.교래자연휴양림 생태관찰로에서 처음 만났을 때누가 고둥을 빼 먹고 나무 위에 꽂아두었나 싶었다.궁금해서 들고 보니 살아 있는 녀석이라 신기했다.생긴 모습은 바다 고둥류와 비슷한데 행태는 달팽이와 같다.나층의 수를 세 보니 9층으로 보이는 녀석도 있고, 10층도 있는데제주에서 많이 보이는 녀석으로 검색되어 일단 추정한다.2020.8.10-11. 제주 표선면 2020. 8. 16.
산개구리류 알 폭포 바로 위 현무암에 고인 물에 알덩이 하나 놓여 있다. 2020.1.12. 제주 표선면 어위폭포 2020. 1. 22.
톱날노린재 2019.7.23. 제주 표선면숙소 주변에 어슬렁거리던 녀석이다.2019.7.24. 제주 표선면 2020.8.9. 제주 표선면 2019. 8. 2.
계요등 습지센터 주차장쪽 돌담에 소복하니 꽃이 피었다.잎을 비비면 닭똥 냄새 비슷한 냄새가 난다고 한다.그래서 이름도 닭 '계'에 오줌 '뇨'를 썼다. 집에서 사진을 편집하다 보니 꽃 아래에 뭔가 있다.확대해 보니 요즘 소식이 올라왔던 '예덕장님노린재'이다.안타깝게도 미처 발견하지 못해 제대로 된 기록을 하지 못했다.어쩌나, 다시 제주를 갈 수도 없고...2019.7.22. 제주 동백동산 2020.8.8-9. 제주 표선면 2019. 8. 1.
장수풍뎅이 정말 흔하게 만났던 녀석이다.수컷의 모습2019.7.24. 제주 표선면 암컷의 모습2020.8.9. 제주 표선면 2019. 7. 31.
렌지소똥풍뎅이 애기뿔소똥구리를 찾다가 덤으로 만난 녀석이다.가슴 양 옆의 돌기 형태가 인상적이다.2019.7.23. 제주 표선면 2019. 7. 28.
물결밤나방 등쪽에 검은 무늬가 보인다. 꼬리 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진다. 2016.4.6. 원주 대덕리2020.1.12. 제주 표선면 2018. 10. 28.
얼룩갈고리나방 2009.6.24. 원주 앞날개 끝부분이 갈고리 모양으로 휘어 있다. 흰 날개에 검은색과 하늘색 무늬가 보인다. 2011.8.6. 원주내륙에서 만난 녀석들과 다소 차이가 있는 듯 보인다.예쁜 하늘색이 어디로 갔다.2020.8.9. 제주 표선면 2018. 8. 15.
머루박각시 2011.7.28. 원주 2011.8.5. 원주 컴퓨터에 쌓여만 있던 자료들을 시간 날 때마다 조금씩 동정하고 있다. 2016.7.31. 황둔 2020.8.9. 제주 표선면 2022.7.2. 제천 2023.6.10. 남원 2018. 8. 11.
주홍서나물 꽃이 아래로 쳐진 모양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산 귀화식물로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서 서식하던 녀석인데 이제는 중부지방을 비롯한 전역에서 관찰되고 있는 듯하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19.7.23. 제주 표선면 2017. 7. 28.
왕귀뚜라미 2005.7.26. 원주 약충의 모습 몸 가운데 흰 띠가 선명하다. 2006.6.25. 원주 2010.7.30. 원주 2010.8.15. 원주 머리 부분에 V자 모양의 갈색 띠가 도드라진다. 크기가 크고 자주 발견된다. 2013.8.3. 원주 2016.7.26. 원주 여기저기 흔하게 많이 관찰된다. 2017.7.16. 원주 대덕리 산란관이 제대로다. 2017.10.2. 여주 성충들이 바글거린다. 2018.9.29-30. 인제 연가리 2019.9.28. 충남 서천 2020.8.9. 제주 표선면 2020.8.11. 제주 표선면 2021.8.12. 원주 2016. 9. 17.
애사슴벌레 수액이 많이 흐르는 참나무류에서 녀석을 다수 관찰했다. 아무 생각없이 넓적사슴벌레라 생각했었는데, 자료를 찾아보니 이 녀석이다. 수컷의 경우는 일단 큰턱의 생김을 보면 종류가 구분된다. 2015.6.27. 제천 흙속에서 나온 작은 녀석 암컷의 딱지날개에는 세로줄이 나 있어 구분된다. 2015.7.28. 제천 2020.8.9. 제주 표선면 2015. 6. 30.
고려비단벌레 폐목에서 빠져나오려 무던히 애를 쓰던 녀석이다.한참을 지켜보아도 탈출 구멍이 작아 빠져나오지 못한다.2014.7.19. 청태산자연휴양림 숙소 주변에서 바닥을 기던 녀석을 발견했다.굳이 찾아다니지 않아도 잘 둘러보면 주변에 곤충이 보인다.2019.7.24. 제주 표선면 2014. 8. 27.
두견이 뻐꾸기류의 동정은 주로 울음소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눈에 보이는 모습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실제 야외에서는 식별이 쉽지 않다. 이 녀석도 울음소리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크기가 작고 배의 검은색 줄무늬가 굵고 간격이 넓다. 2011.5.14. 흑산도 여기저기 녀석들의 소리가 많이 들린다.2019.7.23. 제주 표선면 2012. 10. 7.
떼허리노린재 2007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한 녀석보다는 떼로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짝짓기도 떼로 한다. 2012.6.7. 학교2020.8.9. 제주 표선면 2012. 7. 7.
넓적사슴벌레 요즘 취미로 곤충을 기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비싼 값에 판매되기도 한다. 먹이도 충분히 주고, 사랑으로 보살펴 녀석들의 생태를 관찰한다고 하나 그래도 인공사육통보다는 자연이 최고다. 2005.7.15. 고성 건봉사 수액이 흐르는 참나무 껍질 아래에서 발견했다. 2013.8.15. 원주 호저면 큰 녀석이라 채집하려고 기다렸으나 눈치를 챘는지 고개만 삐끔 내민다. 2015.6.27. 제천 2015.7.28. 제천 2019.7.25. 제주 표선면 2020.8.11. 제주 표선면 2021.8.11. 원주 대덕리 2012.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