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거미114

소천영롱거미 Micaria dives 크기는 무척 작지만광택이 정말 예술인 녀석이다.개미거미 종류라 생각했다가수리거미과에 속한 녀석임을 알았다.2024.7.30. 원주 2024. 11. 17.
별연두꼬마거미 Chrysso foliata 나무 껍질에작고 하얀 거미가 붙어 있다.처음 보는 녀석이라열심히 사진을 찍는다.앞다리가 무척 길다.2024.10.19. 원주 2024. 10. 27.
비단왕거미 Araneus variegatus 나무 껍질 사이의 홈에 몸을 붙이고 있던 녀석이다.배의 노란색 무늬가 특징적이라금방 눈에 들어왔다.처음 만난다. 2024.10.19. 원주 2024. 10. 27.
산길깡충거미 Asianellus festivus 산길을 걷다산길깡충거미를 만났다.유혈목이 사체에 꼬인큰검정뺨금파리들 중 한 녀석이렇게 생을 마감했다. 자기 몸보다 큰 녀석을잘도 사냥했다.수컷의 모습2024.10.12. 원주 2024. 10. 23.
수검은깡충거미 Mendoza canestrinii 강변 갯버들 잎이 붙어 있다. 안에 있는 녀석의 정체가 궁금해진다. 조심스레 열어 보니 온통 애기 거미들이다. 금방 나타난 어미를 통해 녀석들의 이름을 파악한다. 열린 잎을 다시 붙이기 위해 열심히 거미줄 작업 중이다. 관찰자 덕분에 고생이다. 배 끝을 실룩거리며 좌우로 왔다갔다 한다. 2024.8.7. 원주 2024. 8. 19.
털보깡충거미 Carrhotus xanthogramma 털보깡충거미 암컷이깨다시긴날개멸구를 사냥했다.먹잇감에 만족한 것인지촬영에 그리 예민하지 않다. 2024.8.9. 횡성 2024. 8. 14.
부석왕거미 Araneus ishisawai 거미보다거미줄에 걸린 커다란 나비가금방 눈에 들어왔다.나비는 은판나비인데이걸 사냥한 녀석은오렌지색과 흰색 조합이 선명하다. 덕분에 어렵지 않게 이름을 찾았다. 2024.7.14. 정선계곡 길 옆에무척 큰 녀석이 보인다.2024.10.19. 원주 2024. 8. 8.
사마귀게거미 Phrynarachne katoi 킹크랩이 연상되는 형태이니게거미 종류인 것은 확실하다.녀석의 몸에 난 오돌토돌한 돌기가사람 피부에 난 사마귀처럼 보인다.2024.7.25. 원주 2024.7.31. 원주 2024. 7. 27.
들풀거미 Agelena limbata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1.7.23. 원주 2024. 3. 11.
거미 일종 강변 자갈밭에서 만났다. 정확한 이름은 찾지 못했다. 애접시거미 일종으로 추정된다. 2023.9.30. 원주 호박돌 아래에 알집을 붙여놓았다. 2023.10.22. 원주 2024. 1. 3.
노랑염낭거미 Clubiona japonicola 하천 자갈밭을 배회하던 녀석이다. 도감을 설명을 보면 물가 초원 등에서 많이 보인다고 하며 벼과식물에 집을 만든다고 하니 강변의 달뿌리풀 군락과 자갈밭이 있는 이 곳이 녀석의 서식지로 적합해 보인다. 일단 노랑염낭으로 추정한다. 2023.10.22. 원주 2023. 12. 2.
모래톱늑대거미 Pardosa lyrifera 추정 오른쪽 옆구리에 기다란 알을 붙인 녀석이다. 자신의 알로는 보이지 않는데 어느 녀석이 기생한 것일까? 아직 녀석의 이름도 정확하지 않다. 2023.10.22. 원주 2023. 11. 26.
엄지유령거미 Pholcus extumidus 수컷의 모습 더듬이다리가 눈에 잘 들어온다. 펜션 벽 주변에 여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더듬이다리를 보면 금방 암수를 파악할 수 있다. 2023.10.28. 봉평 2023. 11. 19.
다섯점마른깡충거미 Attulus penicillatus 강가 자갈밭 달뿌리풀 군락 아래에서 다섯점마른깡충거미로 추정되는 녀석이 갈대매미충붙이를 사냥했다. 2023.10.2. 원주 2023. 10. 18.
응애 일종 몸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듯 보인다. 다리도 짧다. 2023.10.2. 원주 2023. 10. 5.
응애 일종 2014.7.27. 원주 다리가 긴 녀석이다. 그래서 이동 속도가 빠르다. 위에서 내려다보니 밝은색의 줄이 보인다. 세부 동정은 어렵다. 2023.9.30. 원주 늑대거미류에 붙어 체액을 빨고 있다. 이 녀석의 알일까? 바닥의 돌을 뒤집으니 이렇게 알과 함께 있다. 2023.10.22. 원주 2023. 10. 5.
흰줄무늬깡충거미 Sitticus albolineatus 섬강 자갈밭 여기저기 톡톡 튀어 다닌다.위에서 내려다보면흰색의 줄무늬가 잘 보인다.수변 자갈과 모래 주변에서 잘 관찰된다.한 쌍의 흰 점무늬가 크고도드라지는 녀석이다.2023.9.25. 원주2023.10.2. 원주  2023.10.15. 원주 2023.10.22. 원주 2023.10.25. 원주2024.9.22. 원주 2023. 9. 27.
모래톱늑대거미 Pardosa lyrifera 추정 섬강 자갈밭과 모래톱에서 빠르게 바닥을 기어다니던 녀석이다. 바닥에서 관찰되는 거미는 죄다 이 녀석이었다. 개체수가 많다. 2023.9.10. 원주 2023. 9. 27.
고리무늬마른깡충거미 Sitticus fasciger 시골집 벽에서 작은 녀석이 더 작은 녀석을 사냥했다. 2023.9.8. 원주 2023. 9. 21.
말꼬마거미 Parasteatoda tepidariorum 시골집 콘크리트 담벽에 거미줄을 치고 꽈리허리노린재를 사냥했다. 2023.9.8. 원주 2023. 9. 16.
팔공접시거미 Strandella pargongensis 처음 보는 녀석이다. 도움을 받아 이름을 단다. 2023.6.10. 남원 2023. 9. 15.
북방게거미 Xysticus kurilensis 추정 이따금 게거미류의 사냥 장면을 관찰한다. 포획부터 섭식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된다. 관찰과 기록의 즐거움을 한껏 누리지만 정작 중요한 사실은 포식자와 피식자의 이름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럴 때 포스팅은 망설여진다. 일단 용기내어 한 녀석의 이름이라도 추정한다. 2023.8.20. 원주 2023. 9. 6.
홀아비깡충거미 Attulus avocator 시골집 벽에 붙어 있던 깔따구 종류를 사냥했다. 2020.6.4. 원주 2023. 8. 27.
털보깡충거미 Carrhotus xanthogramma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는 녀석이다. 2019.7.16. 학교섬에서는 처음 만났다.2019.7.24. 제주2021.7.3. 원주수컷의 모습2022.4.22. 학교 갈색날개매미충을 사냥했다. 2024.7.31. 원주 2022. 9. 12.
산길깡충거미 Asianellus festivus 다리의 검은 띠무늬가 도드라진다. 특징 잘 잡으라고 포즈도 제대로다. 2022.8.14. 원주 2022. 8. 24.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Telamonia vlijmi 암컷이 나방 애벌레 한 마리 사냥했다.2022.8.14. 원주2024.10.4. 횡성바닥 낙엽에서 만났다.2024.11.3. 제천 2022. 8. 24.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Telamonia vlijmi 하천 갈대밭에서 예민하지 않은 녀석을 만났다. 2022.5.29. 제천 2022.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