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거미106

들풀거미 Agelena limbata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1.7.23. 원주 2024. 3. 11.
거미 일종 강변 자갈밭에서 만났다. 정확한 이름은 찾지 못했다. 애접시거미 일종으로 추정된다. 2023.9.30. 원주 호박돌 아래에 알집을 붙여놓았다. 2023.10.22. 원주 2024. 1. 3.
노랑염낭거미 Clubiona japonicola 하천 자갈밭을 배회하던 녀석이다. 도감을 설명을 보면 물가 초원 등에서 많이 보인다고 하며 벼과식물에 집을 만든다고 하니 강변의 달뿌리풀 군락과 자갈밭이 있는 이 곳이 녀석의 서식지로 적합해 보인다. 일단 노랑염낭으로 추정한다. 2023.10.22. 원주 2023. 12. 2.
모래톱늑대거미 Pardosa lyrifera 추정 오른쪽 옆구리에 기다란 알을 붙인 녀석이다. 자신의 알로는 보이지 않는데 어느 녀석이 기생한 것일까? 아직 녀석의 이름도 정확하지 않다. 2023.10.22. 원주 2023. 11. 26.
엄지유령거미 Pholcus extumidus 수컷의 모습 더듬이다리가 눈에 잘 들어온다. 펜션 벽 주변에 여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더듬이다리를 보면 금방 암수를 파악할 수 있다. 2023.10.28. 봉평 2023. 11. 19.
다섯점마른깡충거미 Attulus penicillatus 강가 자갈밭 달뿌리풀 군락 아래에서 다섯점마른깡충거미로 추정되는 녀석이 갈대매미충붙이를 사냥했다. 2023.10.2. 원주 2023. 10. 18.
응애 일종 몸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듯 보인다. 다리도 짧다. 2023.10.2. 원주 2023. 10. 5.
응애 일종 2014.7.27. 원주 다리가 긴 녀석이다. 그래서 이동 속도가 빠르다. 위에서 내려다보니 밝은색의 줄이 보인다. 세부 동정은 어렵다. 2023.9.30. 원주 늑대거미류에 붙어 체액을 빨고 있다. 이 녀석의 알일까? 바닥의 돌을 뒤집으니 이렇게 알과 함께 있다. 2023.10.22. 원주 2023. 10. 5.
흰줄무늬깡충거미 Sitticus albolineatus 섬강 자갈밭 여기저기 톡톡 튀어 다닌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흰색의 줄무늬가 잘 보인다. 수변 자갈과 모래 주변에서 잘 관찰된다. 한 쌍의 흰 점무늬가 크고 도드라지는 녀석이다. 2023.9.25. 원주 2023.10.2. 원주 2023.10.15. 원주 2023.10.22. 원주 2023.10.25. 원주 2023. 9. 27.
모래톱늑대거미 Pardosa lyrifera 추정 섬강 자갈밭과 모래톱에서 빠르게 바닥을 기어다니던 녀석이다. 바닥에서 관찰되는 거미는 죄다 이 녀석이었다. 개체수가 많다. 2023.9.10. 원주 2023. 9. 27.
고리무늬마른깡충거미 Sitticus fasciger 시골집 벽에서 작은 녀석이 더 작은 녀석을 사냥했다. 2023.9.8. 원주 2023. 9. 21.
말꼬마거미 Parasteatoda tepidariorum 시골집 콘크리트 담벽에 거미줄을 치고 꽈리허리노린재를 사냥했다. 2023.9.8. 원주 2023. 9. 16.
팔공접시거미 Strandella pargongensis 처음 보는 녀석이다. 도움을 받아 이름을 단다. 2023.6.10. 남원 2023. 9. 15.
북방게거미 Xysticus kurilensis 추정 이따금 게거미류의 사냥 장면을 관찰한다. 포획부터 섭식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된다. 관찰과 기록의 즐거움을 한껏 누리지만 정작 중요한 사실은 포식자와 피식자의 이름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럴 때 포스팅은 망설여진다. 일단 용기내어 한 녀석의 이름이라도 추정한다. 2023.8.20. 원주 2023. 9. 6.
홀아비깡충거미 Attulus avocator 시골집 벽에 붙어 있던 깔따구 종류를 사냥했다. 2020.6.4. 원주 2023. 8. 27.
털보깡충거미 Carrhotus xanthogramma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는 녀석이다. 2019.7.16. 학교 섬에서는 처음 만났다. 2019.7.24. 제주 2021.7.3. 원주 수컷의 모습 2022.4.22. 학교 2022. 9. 12.
산길깡충거미 Asianellus festivus 다리의 검은 띠무늬가 도드라진다. 특징 잘 잡으라고 포즈도 제대로다. 2022.8.14. 원주 2022. 8. 24.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Telamonia vlijmi 암컷이 나방 애벌레 한 마리 사냥했다. 2022.8.14. 원주 2022. 8. 24.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Telamonia vlijmi 하천 갈대밭에서 예민하지 않은 녀석을 만났다. 2022.5.29. 제천 2022. 6. 7.
별늑대거미 동그란 알덩이를 배에 붙이고 다니다 알이 부화하면 새끼들을 등에 업고 다니는 것으로 유명한 늑대거미류의 알집 만들기 과정이다. 환삼덩굴 위에 작은 계란 프라이를 만들었다. 한참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바닥에 거미줄을 치고 그 위에 노란 알덩이를 산란한 후에 360도 방향으로 쉼없이 돌며 실을 짜내 알덩이를 덮는다. 거미줄로 어느 정도 알덩이를 덮으면 환삼덩굴에서 떼내어 배에 붙이고 덩이를 돌려 둥글게 모양을 만든다. 그리곤 이내 사라진다. 녀석들의 배에 붙은 둥근 알덩이와 새끼 어부바는 여러 번 관찰했지만 이리 앙증맞은 계란 프라이는 처음 관찰한다. 2021.8.12. 원주 대덕리 2021. 8. 13.
흰털논늑대거미 특징이 확연히 드러나는 녀석이다. 이름이 제대로다. 2020.6.22. 원주 주산리 2021. 8. 8.
붉은무늬꼬마거미 검색을 통해 일단 이름을 추정한다. 2020.4.21. 학교 2021. 7. 24.
언청이범게거미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20. 12. 30.
민갈거미 2020.7.30. 원주 호저면 2020. 12. 30.
넉점가재거미 끝검은말매미충을 사냥했다. 2020.6.7. 제천 봉양읍 2023.8.19. 원주 2020. 9. 11.
세줄깡충거미 농가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처음 만나는 깡충거미 종류다.2020.8.9. 제주 표선면 2020. 9. 8.
여덟혹먼지거미 2020.5.16. 원주 호저면 2020.5.24. 원주 호저면 건물 벽에 붙은 녀석을 제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찰해보니사냥한 것들의 껍질과 허물을 쌓아둔 것이 지속적으로 커지며 녀석의 모습도 다소 변한 것 같다.2020.6.6. 원주 호저면 2020.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