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거미114

나무껍질게거미 2016.5.11. 학교 뒷산 입구의 뽕나무 수피에서 녀석을 발견했다. 2016.5.12. 학교 2016. 5. 17.
무당거미 생을 마감하기 전 알집을 만든 녀석 2015.10.9. 서울숲 2016.7.10. 원주 대덕리 암수 함께 있는 모습 작은 녀석이 수컷이다. 2016.10.11. 원주 대덕리 2017.9.2. 원주 대덕리 꼬리명주나비가 걸려 있다. 2018.9.2. 원주 대덕리 2019.9.8. 학교 2019.9.20. 학교 2016. 4. 12.
중국연두게거미 줄연두게거미와 중국연두게거미의 구분이 쉽지 않다. 생김이 거의 비슷한 녀석이라 동정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이 녀석은 끝을 치켜든 배와 그 주변에 노란 테두리가 확실히 보여 중국연두게거미로 보인다. 2008.9.16. 원주 배의 노란 테두리와 분홍색 다리색이 드러난다. 2013.9.17. 원주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20.5.25. 학교 2014. 10. 13.
줄연두게거미 배가 뚱뚱한 암컷으로 윗면에 십자 형태의 무늬가 선명히 드러난다. 2011.6.5. 원주 성숙한 수컷의 경우 이렇게 배 주변에 암갈색의 띠가 생겨난다고 한다. 2012.6.17. 원주 참나리 꽃봉오리 뒤에 숨어 있다. 2018.7.22. 원주 대덕리 2019.6.8. 경북 봉화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4. 10. 13.
오각게거미 2006.5.30. 원주 2007.8.6. 원주 개망초에 앉은 모습을 보면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2011.9.4. 원주 배 부분의 형태를 유심히 들여다보면 이름이 보인다. 사다리꼴 형태에 삼각형 부분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여 전체적으로 5각형의 형태를 나타낸다. 2013.7.6. 원주 2017.7.30. 제천 고명동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9.6.16. 치악산휴양림 떠나지 않고 저리 소중히 지키고 있는 게 무얼까?자식에 대한 녀석의 헌신이 느껴진다.2019.7.11. 원주 대덕리 2014. 10. 13.
살깃깡충거미 Mendoza elongata '살깃'은 화살의 깃을 의미하는 말로 배에 있는 세 쌍의 흰 무늬가 마치 화살의 깃처럼 배열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검은 몸 바탕에 흰색의 무늬가 도드라진다. 2010.7.22. 원주 아직은 무늬가 선명치 않다. 더듬이다리가 흰색이고, 머리가슴 테두리에 흰 띠가 보인다. 2014.7.26. 원주 2016.6.17. 원주 암컷의 모습 2016.8.1. 원주 2017.9.2. 원주 2020.8.16. 원주 수변공원에서 만났다. 갈대 또는 달뿌리풀 군락에서 주로 생활한다. 2020.9.9. 원주 2021.7.19. 원주몸색이 연해 한참을 들여다보았다. 탈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하다. 2023.10.22. 원주 2014. 10. 13.
사마귀게거미 Phrynarachne katoi 몸의 오돌토톨한 돌기 부분이마치 몸에 난 사마귀와 비슷해서붙여진 이름 같다.짙은 갈색과 흰색의 새똥 무늬를 띠고 있다.   몸의 생김 자체가 위압적인 녀석이다. 게를 닮아 게거미인데이 녀석은 그중에서도킹크랩 같은 느낌이 난다.2011.10.9. 원주 아주 작은 녀석을 발견했다.확대해보니 이 녀석도 사마귀게거미로 보인다.2014.7.26. 원주 2015.8.6. 원주   2020.9.9. 원주 2021.7.21. 원주 2014. 10. 13.
꼬마호랑거미 호랑거미보다 크기가 다소 작다.2009.8.17. 원주 아직 어린 녀석으로 보인다.2010.7.28. 원주 2018.5.20. 원주 대덕리 2014. 10. 12.
호랑거미 늘 가까이 있는 녀석이지만 꼬마호랑거미라 생각하고 제대로 기록하지 못한 녀석이다. 배등면의 무늬가 많이 다른데 왜 유심히 살피지 않았던 것일까? 2013.9.20. 원주 호저면 수컷의 모습 2016.6.5. 원주 2016.7.2. 원주 호저면 암컷의 모습 2016.7.5. 원주 2019.7.6. 원주 대덕리 2019.8.2. 원주 호저면 2020.7.25. 원주 호저면 2014. 10. 12.
흰띠까치깡충거미 Rhene albigera 오른쪽 첫째 다리가 떨어져 나간 녀석이다.털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일정한 무늬를 이루고 있어독특한 깡충거미로구나 생각했는데이제서야 이름을 찾아본다.까치깡충거미와 많이 혼동된다.2014.7.13. 원주 2014. 9. 29.
까치깡충거미 Rhene atrata 무척이나 작은 녀석으로갈색털이 많다.털이 벗겨진 머리가슴 부위에검은색이 두드러진다.2013.7.3. 원주 수컷의 모습탱자나무에서 발견했다.2019.6.24. 원주 암컷의 모습2020.7.5. 원주 2024.5.24. 원주 2014. 9. 28.
주홍거미 Eresus kollari 추석을 앞두고 조상님 벌초 갔다가 산소에서 발견한 녀석이다.처음 보는 순간 배와 다리의 오렌지색이 예사롭지 않았다.온 몸이 검은색, 흰색, 오렌지색의 털로 덮여 있으며전국에 서식하나 귀한 편에 속하는 녀석이다.조상님으로부터 좋은 추석선물을 받았다. 수컷의 모습2014.8.27. 제천같은 장소에서 검은색의 커다란 녀석을 발견했을 때느낌 상으로 암컷이라고 생각했다.집에 돌아와 사진자료를 검색해 보니제대로 된 자료가 보이질 않는다.암컷 보기가 무척이나 어렵다는데 정말 운이 좋다.암컷의 모습2017.7.30. 제천 자료로 공부를 한 후 봉분을 살피다가드디어 암컷의 굴을 찾았다.봉분 잔디 속에 이렇게 거미줄을 치고 있다.한 봉분에 몇 군데 거미줄이 보인다.그중 하나를 조심스레 걷어내보니그물 안쪽에 먹이로 보이는딱.. 2014. 8. 28.
어리수검은깡충거미 Mendoza pulchra 수컷의 모습검은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선명하다.멋쟁이들은 화려한 색이 없이이렇게 무채색으로 멋을 낸다.2013.8.15. 원주  암컷의 모습수컷에 비해 다소 밋밋한 모습이다.2013.8.1. 원주역시나 강변 달뿌리풀에서 만났다.2023.10.15. 원주 2013. 10. 26.
고리무늬마른깡충거미 Sitticus fasciger 깡충거미류에서 산길깡충거미, 털보깡충거미, 홀아비깡충거미, 까치깡충거미, 고리무늬깡충거미, 다섯점깡충거미 등은 털이 많고 서로 비슷해 많이 혼동된다. 배갑의 무늬를 유심히 살펴야 비로소 정확한 동정이 된다. 2011.4.14. 원주 시골집 벽에 붙어 기어다니던 녀석이다. 2018.9.26. 원주 2019.5.14. 원주 2020.4.13. 원주 2013. 10. 21.
불개미거미 온 몸이 검은색에 가까운 어두운 적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2011.6.6. 원주 수컷의 모습2014.5.31. 원주 암컷의 모습이름처럼 개미를 닮았다.2019.9.20. 학교 2013. 10. 20.
산길깡충거미 Asianellus festivus 작은 녀석이 더 큰 나방을 사냥했다 깡충거미류의 사냥 실력은 정말 알아준다. 2013.8.1. 원주 개미 한 마리를 사냥했다. 2010.7.18. 원주 2016.9.13. 원주 암컷의 모습 2017.9.2. 원주 수컷의 모습 2019.10.19. 원주 2013. 10. 18.
큰줄무늬깡충거미 Plexippoides annulipedis 더듬이다리의 흰 털과 머리가슴, 배 가장자리의 흰 털이눈에 확 들어온다.2012.6.9. 원주 2008.5.3. 영월  정면에서 보았을 때두 눈 사이에도 흰 줄이 있다.2008.6.21. 원주오랜만에 관찰했다.2020.5.28. 학교 2013. 9. 28.
흰눈썹깡충거미 Evarcha albaria 배의 윗면 갈색을 제외하고는온 몸이 검다.흰눈썹이 눈에 확 들어온다.수컷의 모습2012.6.17. 원주암컷의 모습2016.7.26. 원주2021.8.10. 원주 2013. 9. 22.
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Telamonia vlijmi 깡충거미류도 참 다양하다. 수컷의 모습 2012.6.26. 원주 2009.6.23. 원주 암컷의 모습 2006.6.25. 원주 탈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색이 옅은 녀석으로 보인다. 2010.10.12. 원주 2017.8.3. 원주 2020.5.28. 학교 2020.6.1. 학교 2013. 9. 22.
큰새똥거미 Cyrtarachne inaequalis 참나무류 잎 아래알집 2개를 붙여 놓고 있다.알집이 둥그렇지 않고독특한 모양이다.  등쪽에서 보면사마귀 얼굴 같은 역삼각형의 몸 양옆에둥그런 눈 모양의 무늬가 있다.2013.8.15. 원주       알집의 모양이 독특해금방 발견했다.역시나 녀석이 주변에서 지키고 있다.2015.8.22. 원주  2017.9.1. 원주 2018.9.22. 원주 알집은 보이는데,이 녀석은 어디 있는 걸까?2019.8.29. 원주    알집을 발견했다. 주변을 탐색하니 녀석이 보인다.2020.8.22. 제천  2020.8.23. 원주 2013. 8. 25.
아기스라소니거미 알집을 지키고 있는 모습. 크기는 작지만 사냥은 날렵하다. 2009.6.21. 원주 호저면 파리 종류를 사냥한 거미 2012.6.26. 원주 호저면 2013.6.9. 원주 태장동 2013.6.29. 원주 2013.7.3. 원주 2017.6.11. 원주 대덕리 2017.7.21. 원주 대덕리 알집을 지키고 있다.2019.6.15. 원주 매호리 2012. 8. 25.
거미류 풀가 주변을 살피다 보면 여기저기 참 많이 보이는 거미들의 모습. 무늬와 생김새가 각양각색이다. 2007년 2012. 8. 18.
거미와 바구미 바구미에게 다가서고 있는 거미를 발견하였다. 호기심일까? 사냥일까? 2012. 8. 18.
생존 천적의 공격에 간신히 살아남은 작은 거미. 네 쌍의 다리가 성치 않다. 2007년 2012. 7. 3.
거미 부화 쑥잎 위에 부화된 거미 새끼들, 바글바글하다. 2008 2012.6.9. 호저면 2012. 7. 3.
사냥 개미 사냥에 성공한 거미. 2007년 2012. 7. 1.
갈색눈깡충거미 처음 본 깡충거미 종류,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다른 깡충거미보다 특이하다. 수컷의 모습 2007년 몸집이 작고 다리가 무척이나 길다. 전면의 두 눈이 참 독특하고 깜찍하다. 암컷의 모습 2009년 사냥 모습을 관찰했다. 가운데의 큰 눈이 주변의 작은 눈과 비교하니 정말 갈색이다. 2013.7.3. 원주 2012.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