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악산20 평평귀버섯 2020.7.12. 설악산 2020. 9. 7. 요강나물 시기가 맞지 않아 독특한 생김의 꽃은 보지 못하고이렇게 씨방만 관찰한다.그래도 씨방 아래에 시든 꽃이 붙어 있다.2020.7.12. 설악산 2020. 7. 29. 조록싸리 등산로 주변에 많이 보인다.2020.7.12. 설악산 2020. 7. 29. 참조팝나무 대청봉 인근 여기저기 만개했다. 2020.7.12. 설악산 2023.6.11. 남원 2020. 7. 20. 고깔갈색먹물버섯(고깔쥐눈물버섯) 작은 버섯이 빽빽하게 붙어 있다. 접사렌즈로 가까이 눈맞춤하니 너무 예쁘다. 발생한 지 얼마 안된 어린 녀석들도 함께 보인다. 2020.7.12. 설악산 2020.8.1. 용인 2020. 7. 18. 눈잣나무 중청대피소와 대청봉 사이의 군락.잣까마귀의 서식지이기도 하다.2020.7.12. 설악산 2020. 7. 17. 설악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에 잠시 숨을 돌리며 얽힌 사연을 생각해 본다.대청봉에서 내려다본 중청대피소와 헬기장의 모습눈잣나무와 잣까마귀의 서식지이다.15년 만에 다시 찾았다.날도 화창하고 대청봉 아래 운무도 멋지다.2020.7.12. 설악산 2020. 7. 17. 잣까마귀 Nucifraga caryocatactes 새끼가 어미를 졸라 먹이를 받아 먹고 있다. 한여름의 산행, 그것도 15년 만이다. 나를 대청봉 정상으로 이끈 것은 바로 이 녀석이다. 기다란 부리로 눈잣나무 열매를 따서 하나하나 빼 먹는다. 2020.7.12 .설악산 2020. 7. 16. 버들솔새 Phylloscopus plumbeitarsus 녀석을 만나러 간만에 산을 올랐다. 한 곳에 진득하니 앉지 않고 부산스레 움직여 포착이 정말 어려웠다. 2020.6.21. 설악산 2020. 6. 23. 노랑허리솔새 Phylloscopus proregulus 작고 부산스런 녀석이지만 색이 참 예쁜 녀석이라 사랑스럽다. 2020.5.1. 소청도 2020.6.21. 설악산 2020. 5. 6. 일엽초 계곡 옆 바위에 붙어 있다.우단일엽초와는 달리 털이 없이 매끈하다.2019.8.9. 인제 연가리 바위에 낀 이끼 틈에서 발견했다.겨울에는 이렇게 독특한 모습으로 잎이 말려 구부러져 있다.2020.2.8. 치악산휴양림 2020.3.5. 인제 연가리 2020.7.12. 설악산 2019. 9. 16. 덕다리버섯 Laetiporus sulphureus 명아주개떡버섯과 생김은 비슷하나질기지 않고 부드럽다.2019.6.22. 가평 왕벚나무 가지 사이에 발생했다.2019.10.16. 학교 모습을 보고 명아주개떡버섯 아니면덕다리버섯이구나 생각했다.만져보니 야들야들한 것이 부드럽다.2020.7.12. 설악산 2019. 7. 7. 붉은터리풀 오래전 등산시 발견했던 녀석인데 이제서야 이름을 불러준다. 2005.6.25. 설악산 2017. 11. 26. 고무버섯 수피에 검은색이 보여 뭔가 했더니 이상하게 생긴 버섯 모양이다. 찾아보니 녀석도 버섯이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20.7.12. 설악산 2017. 7. 30. 관중 흔하게 만나는 녀석들인데, 자료화를 하지 않았다. 2016.5.15. 인제 연가리 2020.7.12. 설악산 2020.8.9. 제주 교래자연휴양림 2023.5.14. 함백산 2023.7.23. 울릉도 2016. 5. 21. 노루오줌 지난 자료를 정리하다 보니 날짜는 정확하지만 관찰 장소는 그때그때 기록해 두질 않아 이렇게 넓게 간다. 흔한 녀석이라도 기록하는 습관이 학습하는 입장에서는 새삼 중요함을 깨닫는다. 2013.7.6. 강원도 2014.8.16. 정선 만항재 2015.7.25. 청태산자연휴양림 2015.8.11. 홍천 삼마치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9.6.22. 가평 유명산 2019.8.13. 치악산휴양림 2020.7.12. 설악산 2021.7.27. 함백산 2014. 4. 1. 솔새사촌 Phylloscopus fuscatus 작고 재빠른 녀석인데다 덤불 속으로 돌아다녀서제대로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멀지만 그래도 이번엔 흔적을 담았다.2013.4.28. 마도 해질녘 마을 주변 텃밭 울타리 주변에서 관찰했다.꽤 많은 녀석들이 관찰된다.츳츳 거리며 덤불 속으로 다니고 있다.2013.5.17. 굴업도그늘진 곳이라 그런지 녀석의 색이 다르게 느껴진다.회색빛이 강한 등에 아랫면도 노란 기운이 보인다.눈썹선과 부리의 길이, 꼬리의 길이로 보아섬휘파람새보다는 솔새사촌으로 보인다는 고마운 조언을 들었다.2015.5.1. 소청도 츳츳 소리는 가까이 들리는데작고 부산스런 녀석들의 형체는좀처럼 눈에 보이질 않는다.간신히 몇 장 기록했다.2015.5.16. 신진도/마도 좀처럼 모습을 노출하지는 않지만츳츳거리는 소리로 자신의 존재를 드.. 2013. 5. 5. 범꼬리 설악산 대청봉 주변에서 촬영하였다. 바람에 흔들리는 꽃의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다. 2005.6.25오랜 세월이 흘러도 그 자리 잘 지키고 있다.대견하다.2020.7.12. 설악산 2012. 6. 9. 산조팝 조팝나무에 비해 키고 작고, 크기도 작다. 설악산 권금성 오르는 길에 만났다. 2007년 2012. 6. 4. 권금성 케이블카 설악산 신흥사. 케이블카에서 촬영하였다. 설악산 권금성을 오르는 케이블카 내려다본 속초시 전경 케이블카 탑승장에서의 풍경 2012. 4.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