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태장동67

벼풀명나방(벼포충나방) 2019.8.3. 원주 태장동 2020. 12. 30.
갈대노랑들명나방 귤빛 몸색이 예쁘다.2019.8.3. 원주 태장동 2020. 2. 5.
어린밤나방 앞날개의 무늬가 화려하다.2015.8.6. 원주 태장동 2020. 2. 5.
외대버섯속 2019.7.29. 원주 태장동 2020. 1. 22.
배나무쐐기나방 공원 가로등 주변에서 발견했다.2019.8.3. 원주 태장동 신나무 잎에 여러 마리가 붙어 있다.2020.8.23. 원주 대덕리 2019. 12. 27.
방물벌레 2008.7.7. 원주 2011.7.29. 제천 2019.8.1. 원주 주산리 노린재목 물벌레과에 속한 수서곤충이다. 2019.8.4. 원주 주산리 2020.3.11. 원주 대덕리 2020.3.12. 원주 대덕리 2020.3.16. 원주 대덕리 2020.3.20. 원주 대덕리 2021.7.10. 원주 태장동 2019. 12. 6.
갈색말거머리 2019.8.1. 원주 태장동 이제는 녀석을 만나는 일이 반갑다. 2019.8.15. 원주 태장동 표선 송천의 현무암 아래에 붙어 있던 개체이다. 2020.1.12. 제주 어위폭포 2020.3.12. 원주 대덕리 2019. 12. 1.
애기물방개 작은 녀석이지만 형태나 행동이 물방개와 똑같다. 2019.8.1. 원주 태장동 물속에서는 워낙 빠르게 도망가고 작은 녀석이라 채집하여 기록하였다. 2020.3.20. 원주 대덕리 산속 둠벙에 여러 개체가 보인다. 유충도 처음 관찰한다. 2020.6.14. 원주 주산리 2020.6.20. 원주 주산리 바닥에 내려앉아 쉴 때는 항상 이렇게 숨을 만한 곳을 찾는다. 유충이 먹이사냥을 했다. 2020.6.22. 원주 주산리 논 가장자리에서 발견했다. 2020.7.25. 원주 호저면 2021.9.25. 강원 고성 2019. 8. 7.
참깨 농사에 관심이 없던 때에는참깨와 들깨를 구분하지 못하였다.2005.7.26. 원주 호저면여름 무더위 습한 날씨 속에 조용히 꽃 피워올렸다.자세히 들여다보아야 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2019.7.20. 원주 태장동 2019. 7. 21.
노란길민그물버섯 갓 아래의 노란색 주름이 돋보이는 녀석이다. 2015.8.6. 원주 태장동 2018. 11. 14.
밤나무 튼실하게 잘 영글었다. 2018.9.30. 인제 연가리 2020.9.20. 원주 태장동 2018. 10. 6.
붉은무늬푸른자나방 앞날개와 뒷날개에 붉은 무늬가 보인다. 또 검은 점 4개가 보인다. 2011.8.6. 원주2019.8.3. 원주 태장동 2018. 8. 15.
노랑목저녁나방 눈에 잘 들어오는 색을 지녔다. 2014.7.27. 원주 태장동 2018. 8. 15.
황여새 하천 보 주변에 물 마시러 온 무리 황여새 속에 홍여새 몇 마리가 관찰된다. 주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물가로 날아온 듯하다. 2018.2.1. 원주 태장동 2018. 2. 1.
개맥문동 도감을 한참 뒤적이다 이름 찾기를 포기했던 녀석인데 '모야모' 에서 쉽게 답을 주셨다. 이름을 듣고 보니 정말 맥문동 같다. 2014.7.28. 원주 태장동 2017. 11. 25.
콩풍뎅이 전형적인 풍뎅이의 몸인데, 유난히 반들거리는 검은색 몸에 배 옆이나 끝쪽의 흰색 무늬와 털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참콩풍뎅이와 차이가 있다. 2017.8.2. 제천 고명동 2018.8.19. 제천 고명동 2019.7.29. 원주 태장동 2017. 8. 28.
애기나방 몸이 통통한 녀석이 암컷이다. 알의 모습 2005.7.2. 원주 2012.6.9. 원주 태장동 2016.6.12. 원주 대덕리 2016.6.17. 원주 대덕리 2016.6.30. 원주 대덕리 배의 노란 띠와 날개의 투명 무늬가 독특하다. 2017.6.18. 원주 호저면 2019.6.30. 서원주역 2020.6.20. 원주 호저면 2021.7.3. 원주 대덕리 2017. 7. 22.
어리쌕쌔기 벼에 붙어 있던 녀석을 담아두었었는데 도감을 보니 이름도 독특한 어리쌕쌔기라는 녀석이다. 2013.8.16. 원주가로등 아래에 붙어 있던 약충이다.2019.8.3. 원주 태장동 2016. 8. 19.
방아깨비 2001. 원주 2004.8.24. 원주 2007.8.13. 원주 2008.8.14. 원주 2011.8.15. 원주 2011.10.9. 원주 2015.7.29. 원주 녀석을 손으로 잡으면 긴 뒷다리를 방아 찧듯이 움직인다. 위험이 지속되면 뒷다리를 떼내고 달아난다. 2016.7.10. 원주 늦은 오후 자갈밭에서 산란하는 녀석을 발견했다. 어쩐지 도망가지 않고 가까이 접근을 허락하더라. 2017.9.3. 원주 대덕리 2017.9.10. 제천 고명동녀석들의 자세도 이상하고 움직임도 없다.균에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2019.7.29. 원주 태장동 균에 감염되어 생을 마감한 녀석이다.풀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저리 말라 있다.2020.8.16. 원주 대덕리 2016. 8. 11.
산불 해질 무렵 붉은 하늘에 시커먼 구름이 밀려온다. 하지만 구름은 아파트 단지 뒤 산에서 발생한 연기이다. 누군가가 부주의하여 또 산불이 발생한 모양이다. 2016.7.2. 원주 태장동 2016. 7. 5.
긴날개쐐기노린재 발견 순간 처음 만나는 녀석임을 알고 제대로 기록하려 했으나 날은 어둑하고, 녀석도 예민하다. 장님노린재과에서 한참을 헤매다가 시간이 좀 걸려 이름을 찾았다. 2016.6.26. 원주 대덕리 2019.8.3. 원주 태장동 2023.8.27. 원주 2016. 6. 30.
쥐똥나무 아파트 주변 울타리로 식재되어 있다. 꽃이 지고 나면 작은 검은 열매가 달리는데 이것이 쥐의 똥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별박이자나방을 비롯해 여러 곤충들이 찾아드는 나무이기도 하다. 2016.5.29. 원주 태장동 2016.6.4. 강원도자연학습원 2016. 6. 3.
검정날개재니등에 녀석의 이름을 찾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파리목에 속한 등에 종류라는 건 짐작했는데 잘 검색이 되지 않아 금방 이름을 붙여주지 못했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5. 8. 25.
미국선녀벌레 2014.7.27. 원주 온 몸에 하얀 가루가 보인다. 식물의 즙을 빨아먹고 사는 매미목에 속한 녀석들로 여기저기 너무 많이 보인다. 녀석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시커멓게 변한 식물들의 모습과, 하얀 배설물 가루 등이 남아있어 지저분하다. 2015.7.28. 제천 2017.7.30. 제천 고명동 2017.8.2. 제천 고명동 약충의 모습2018.7.6. 원주 대덕리 2019.7.9. 학교 2018.7.22. 원주 대덕리 2018.8.19. 제천 고명동 2019.7.29. 원주 태장동 2019.8.1. 원주 주산리 2020.7.5. 원주 주산리 2020.7.25. 원주 호저면 2020.7.30. 원주 호저면 2015. 8. 9.
굴뚝나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카메라 렌즈만 향하면 바로 옆으로 날라 제대로 포착하기 어려운 녀석이다. 2010.7.22. 원주 호저면 2011.8.5. 원주 2012.7.25. 원주 약간 밝은 몸색을 지닌 녀석 2012.7.27. 원주 한여름 숲속에서 흔히 만나는 다소 큰 녀석이다. 이름처럼 날개 윗면과 아랫면이 굴뚝 연기를 접한 듯 검다. 2013.7.20. 원주 태장동 2015.7.3. 원주 호저면 2017.7.8. 원주 대덕리 2017.9.2. 원주 대덕리 2018.7.7. 원주 대덕리 모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기록했다. 2018.8.12. 함백산 2019.7.20. 원주 주산리 2019.7.23. 제주 가세오름 오름 정상부는 녀석들의 천국이었다.엄청 많다.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4. 10. 13.
꽈리허리노린재 농가 주변 텃밭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녀석이다. 2011.8.21. 원주 호저면 알의 모습 보석처럼 영롱하다. 채집하여 관찰 기록하였다. 2014.6.11. 원주 태장동 1령 약충의 모습 2014.6.15. 원주 태장동 2령 약충의 모습 2014.6.21. 원주 태장동 2014.8.23. 양평 이름에 걸맞게 꽈리 잎 뒷면에서 녀석들을 찾았다. 알과 약충, 짝짓기까지 관찰했다. 2016.6.19. 원주 호저면 2017.9.2. 원주 대덕리 2018.9.2. 원주 호저면 2021.7.29. 원주 대덕리 2014. 8. 27.
송이먼지벌레 땅바닥을 살피다가 만난 녀석이다.작은네눈박이먼지벌레와 흡사하나다리의 색도 다르고, 딱지날개의 모양도 약간 다르다.가슴등판도 딱지날개의 폭보다 좁고, 머리의 길이가 다소 길다.2014.7.20. 원주 태장동 2014. 8.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