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흑산도106 도요들 방파제 부근에검은가슴물떼새,붉은갯도요, 노랑발도요, 알락도요함께 모여 있다.화각 밖으로는뒷부리도요와 꼬마물떼새도 보인다.2024.5.6. 흑산도 2024. 5. 25. 귀제비 Cecropis daurica 비바람이 거센 날이다.바람 때문에 우산도 무용지물이다.이동중인 녀석들도 이렇게섬의 모텔에서 휴식 중이다.2024.5.5. 흑산도 2024. 5. 25. 장다리물떼새 Himantopus himantopus 여유롭게 먹이활동 중인 모습이따금 만나지만긴 다리는 정말 매혹적이다.부럽다.2024.5.4. 흑산도 2024. 5. 18. 메추라기도요 Calidris acuminata 비온 뒤 물이 고인 곳에서먹이를 찾고 있다.2024.5.6. 흑산도 2024. 5. 18. 붉은갯도요 Calidris ferruginea 한 녀석이 관찰된다.좀도요와 함께 먹이활동을 하며 돌아다닌다.2024.5.6. 흑산도 2024. 5. 18. 검은턱할미새 Motacilla alba ocularis 날아가지 않고한 자리에 오래 머물기에관찰하며 기록했다.버려진 물고기 주변으로파리류가 꼬이니녀석도 덩달아 신이 났다.2024.5.4. 흑산도 2024. 5. 18. 검은가슴물떼새 Pluvialis fulva 4마리를 관찰했다.날씨 탓인지여러 종의 도요가 나타났다.2024.5.6. 흑산도 2024. 5. 18. 칼새 Apus pacificus 가까이 스쳐지나가긴 하지만너무 빨라 사진 담기는 힘든 녀석이다.2024.5.6. 흑산도 2024. 5. 16. 제비딱새 Muscicapa griseisticta 한 장소에서 여러 마리 관찰된다.비 그치니 출현 양상이 사뭇 다르다. 2024.5.6. 흑산도 2024. 5. 16. 붉은어깨도요 Calidris tenuirostris 모두 17개체다.비바람에 내려앉은 듯하다.어제까지 보이지 않던 녀석들이다.2024.5.5. 흑산도 2024. 5. 13. 쇠붉은뺨멧새 Emberiza pusilla 2024.4.27. 어청도갈색 얼굴이 돋보이는 녀석이다.흔하지만 언제 만나도 반갑다.2024.4.28. 어청도푹 젖은 녀석이다. 2024.5.5. 흑산도 2024. 5. 12. 무당새 Emberiza sulphurata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는깃색을 지닌 녀석이다. 초록숲을 닮았지만은근히 화려한 깃으로눈에 금방 들어온다. 2024.5.4. 흑산도 2024. 5. 11. 황로 Bubulcus ibis 2024.5.4. 흑산도방목하는 소가 있어이런 모습을 볼 수 있다.곤충을 주 먹이로 하는 황로는황소의 몸에 붙은 벌레들을 제거해 주고황소의 배설물에 모여든 곤충으로 배를 채운다. 황소의 등에 올라타둘 다 휴식하고 있는 모습이 자연스럽다.마음 편안해지는 풍경이다. 2024.5.6. 흑산도 2024. 5. 11. 제비물떼새 Glareola maldivarum 3마리를 만났다.다소 경계가 심하다.2024.5.4. 흑산도비 내리는 날이렇게 한 곳에 모여 있다.모두 4마리가 관찰된다. 2024.5.5. 흑산도 여전히 같은 자리에서 만났다.오늘은 도망도 가지 않는다.2024.5.6. 흑산도 2024. 5. 11. 흰배뜸부기 Amaurornis phoenicurus 하늘에서 갑자기 시커먼 녀석이 툭 떨어진다.검은지빠귀려나 쌍안경을 드니하얀 얼굴이 보인다.잠깐 전신을 보여 주더니이내 바닥으로 내려가 보이지 않는다.2024.5.6. 흑산도 2024. 5. 9. 회색바람까마귀 Dicrurus leucophaeus 최초 발견한 사람이 있어녀석을 만날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거리가 멀어 아쉽다.2024.5.4. 흑산도 2024. 5. 9. 흰얼굴아기오리 Nettapus coromandelianus 같은 날 섬탐조를 하던 젋은 친구들이 찾은 귀한 녀석이다.소식을 듣고 이렇게 기록할 수 있었다.암컷의 모습2024.5.6. 흑산도 2024. 5. 8. 노랑머리할미새 Motacilla citreola 연령이 다른 두 녀석이 관찰된다.역시나 예쁘다.인위적 환경이지만잘 적응하며 머물고 있다.2024.4.27-28. 군산2024.5.4. 흑산도 2024. 4. 29.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흰꼬리수리 어린 녀석과독수리 한 마리가 앉아 눈싸움 중이다. 결국 까마귀를 버티지 못한흰꼬리수리 어린 녀석이 이렇게 날아간다. 2024.2.7. 원주 기상대 주변을 둘러보다 돌아오던 중예리 초지 방향으로 날아가던 녀석이다.발을 보니 무언가 사냥한 듯하다.사냥감을 들고 날아가는 것으로 보아번식 가능성이 있다 판단된다. 이곳은 녀석의 최초 국내 번식지이다.2024.5.6. 흑산도 2024. 3. 3.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하천 주변에서 측범잠자리 종류를 사냥했다.마아키측범잠자리로 추정된다.2023.5.13. 원주 많이 자랐다.2023.5.29. 원주 2024.5.4. 흑산도 2023. 6. 6. 쇠솔딱새 Muscicapa dauurica 모처럼의 연휴 기간비바람과 풍랑주의보로 흑산도 탐조는 물건너갔고다음날 표가 남은 어청도행을 선택했으나이또한 통제로 인해 들어갈 수 없었다. 꿩대신 닭이라고새만금 방조제를 건너고군산군도를 둘러보다이 녀석들을 만났다. 신시도의 경작지 부근에갓 이동해 온 100여 마리의 무리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다.이처럼 대규모의 무리는 처음 관찰한다.거센 비바람 속에서도필사적으로 먹이를 찾고 있었다.촬영을 위해 반쯤 열어둔 차창으로비바람이 거세게 들이친다.2023.5.6. 신시도내 지역에서는 처음 만난다.두 녀석이 지분거리는 걸 보니번식도 할 듯하다.2023.6.24. 원주2024.5.6. 흑산도 2023. 5. 7. 노랑눈썹멧새 Emberiza chrysophrys 아주 흔하게 관찰된다.2020.5.1-3. 소청도2023.4.23. 어청도2024.4.27. 어청도 2024.4.28. 어청도 2024.5.6. 흑산도 2020. 5. 10. 각시뒷노랑수염나방 섬 전역에 너무 많아 궁금했던 녀석이다.머물고 있던 철새들도 녀석들을 사냥했다.2019.4.21. 흑산도 2020. 1. 19.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달팽이 종류 중 크기가 큰 녀석이다.줄무늬가 인상적이다.2005.8.16. 원주생태관찰로 이곳저곳 많이도 관찰된다.2020.8.9. 제주 섬에서 만나 녀석이라 그런지내륙 개체보다 큰 느낌이다.한 눈에 바로 보인다.2024.5.6. 흑산도 2020. 1. 1. 할미새사촌 Pericrocotus divaricatus 교회 옆 팽나무 숲에여러 마리가 관찰된다. 모두 머리가 회색인 암컷들이다.2019.5.12. 어청도2024.5.4. 흑산도 2019. 5. 18. 유리딱새 Luscinia cyanura 2019.4.20-21. 흑산도섬에서는 흔하게 만나는 녀석이지만 초록을 배경으로 하니 정말 예쁘다. 2019.4.27. 외연도 2020.4.25. 강릉 2020.5.1-2. 소청도2023.4.22-23. 어청도2024.4.28. 어청도 2019. 5. 17. 흰눈썹긴발톱할미새 Motacilla flava simillima 학교 옆 동백나무 묘목을 심어놓은 곳에 여러 녀석들이 촐랑거리며 먹이활동 중이다.어린 녀석도 보인다. 고인 물에 목욕을 하고깃털이 젖어 있다. 2019.4.27-28. 외연도 2019.5.11. 어청도2024.5.4. 흑산도 2024.5.6. 흑산도 2019. 5. 1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