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선태류34

서리이끼 Rhacomitrium canescens 도감을 들여다보며 그림 맞추기를 하였다. 잎끝에 흰색이 많고 잎 상부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인 것이 도감의 설명과 맞아떨어진다. 하지만 서리이끼 종류도 여러 가지라 일단은 추정한다. 2023.12.9. 횡성 2023. 12. 10.
새우이끼 Bryoxiphium norvegicum subsp. japonicum 줄기 상부 잎의 맥이 마치 새우의 더듬이처럼 길다. 군데군데 삭이 많이 달려 있다. 삭의 모습 서식지 모습 2023.12.9. 횡성 2023. 12. 10.
나무연지이끼 Venturiella sinensis 향나무 기둥 일부에 이끼가 붙어 있다. 연초록 도토리가 빼곡하다 . 2023.9.30. 학교 2023.11.4. 학교 2023. 10. 3.
새우이끼 Bryoxiphium norvegicum subsp. japonicum 계류 옆 바위 절벽이 온통 이끼로 덮여 있다. 빽빽하게도 자리잡았다. 중간에 듬성듬성 고란초도 보인다. 확대하니 둥근 삭도 보인다. 줄기 상부 잎의 맥이 수염처럼 길게 나와 있다. 2023.4.9. 횡성 2023. 4. 12.
아기들솔이끼 Pogonatum inflexum 하천 옆 커다란 암반 위에 갈색 이끼류가 눈에 들어온다. 바짝 마른 모습이다. 잎이 곱슬머리마냥 둥글둥글 말려 있다. 2023.3.18. 제천 2023. 3. 26.
큰명주실이끼 Anomodon giraldii 젖은 연초록의 몸이 싱그럽다. 가느다란 줄기에 작은 잎이 보이고 새잎이 동글동글 뭉쳐 있다. 2020.2.29. 원주 2020. 3. 18.
그늘대호꼬리이끼 Thamnobryum plicatulum 그림 맞추기로 일단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0. 3. 18.
담뱃잎이끼 Hyophila propagulifera 주변의 다른 이끼에 비해 색이 더 연한 연둣빛이다. 잎의 가장자리가 말려 있다. 도감을 보고 그림 맞추기로 일단 추정한다. 2020.2.29. 원주 2020. 3. 17.
물가털깃털이끼 Calliergonella lindbergii 도감의 사진과 검색 이미지를 보고 그림 맞추기로 일단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0. 3. 17.
톳이끼 Hedwigia ciliata 2020.2.8. 원주 2020.2.29. 원주 2020. 3. 16.
아기들덩굴초롱이끼 Plagiomnium acutum 들덩굴초롱이끼와 육안으로 구별이 어렵다고 도감에 나와 있는데 잎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더 길쭉하고 가늘어 보인다. 일단 아기들덩굴초롱이끼로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0. 2. 27.
물가침부리이끼 Eurhynchium hians 그림 맞추기로 일단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3.3.18. 제천 2023.3.26. 원주 2020. 2. 26.
세줄이끼과 Porellaceae sp. 전체적인 모습만 보면 도감의 밴잎세줄이끼와 흡사한데 잎이 크게 나온 사진이 없어 추정도 어렵다. 2020.2.13. 원주 2020.3.5. 인제 2020. 2. 26.
큰세줄이끼 Porella grandiloba 도감을 보고 그림 맞추기로 일단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0. 2. 26.
덩굴초롱이끼 Plagiomnium maximoviczii 잎 표면이 물결모양으로 주름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는데 도감의 사진과 일치한다고 판단된다. 2020.2.13. 원주 2020. 2. 26.
가는세줄이끼 Porella gracillima 도감을 보고 그림 맞추기를 통해 일단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0. 2. 26.
리본이끼 Metzgeria lindbergii 엽상체가 발달한 태류식물에 속한 녀석으로 엽상체의 끝 부분은 두 갈래로 분지해 있다. 가운데 잎맥이 뚜렷하다. 긴털리본이끼와 오동정 논란이 있다. 2020.2.13. 원주 2020. 2. 14.
수염이끼 Fauriella tenuis 바위 표면이 온통 초록색이다. 안경을 벗고 노안의 눈을 가까이 하자 비로소 생김이 보인다. 옆에 있는 산주목이끼와 비교해 보면 크기를 알 수 있다. 양치식물에도 같은 이름의 식물이 있다고 하니 선태류인 이끼와 혼동하지 말자. 2020.2.13. 원주 2020. 2. 14.
작은봉황이끼 Fissidens gymnogynus 봉황이끼과에 속한 것은 확실한데 이제 막 자라기 시작하는 작은 모습이라 특징을 구별할 정도로 확대 촬영이 어렵다. 검색과 그림 맞추기를 통해 일단 추정한다. 2020.2.13. 원주 2021.9.23. 횡성 2020. 2. 14.
둥근날개이끼 Plagiochila ovalifolia 젖어 있으니 광택도 있고, 생김도 독특해 쉽게 구별된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돌기(치돌기)가 있다. 2020.2.13. 원주 2020. 2. 14.
패랭이우산이끼 Conocephalum conicum 확대해보니 엽상체의 모습이 독특하다. 2020.2.13. 원주 2023.3.26. 원주 2020. 2. 14.
꼬리이끼과 Dicranaceae sp. 도감을 보고 검색을 해 봐도 잎이 말린 상태라 세부적인 동정은 어렵다. 파도꼬리이끼, 초록꼬리이끼 등과 비슷해 보인다. 2020.2.8. 원주 2020. 2. 12.
산주목이끼 Plagiothecium nemorale 2020.2.8. 원주 2020.2.13. 원주 2023.3.26. 원주 2020. 2. 9.
털깃털이끼 Hypnum plumaeforme 2020.2.8. 원주 2020.2.13. 원주 2023.3.26. 원주 2020. 2. 9.
돌주름곱슬이끼 Ptychomitrium linearifolium 잎이 마르면 곱슬하게 꼬이는 녀석이다. 계곡 바위 여기저기 덩어리로 붙어 있다. 2020.2.8. 원주 잎이 가늘고 길다. 삭도 가늘고 길며, 삭모가 반 정도를 덮고 있다. 2020.2.13. 원주 2020.2.27. 원주 2023.3.26. 원주 2020. 2. 9.
쥐꼬리이끼 Myuroclada maximowiczii 생긴 모양이 쥐의 꼬리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2020.2.8. 원주 2020.2.13. 원주 2020.2.29. 원주 2020.3.5. 인제 2023.3.26. 원주 2020. 2. 9.
참지네이끼 Frullania muscicola 나무 껍질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 2019.2.27. 원주 확대하니 이제서야 모습이 제대로 보인다. 노란색의 촛농지의 옆에 자라고 있다. 2020.2.27. 원주 2020.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