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생태기타53

기수갈고둥 Clithon retropictum 하천 조사를 하다 녀석을 만났다. 좁은 지역에 무리지어 서식하고 있다. 패각의 무늬가 독특해 금방 눈에 들어온다. 2024.2.3. 보성 2024. 2. 8.
민달팽이류 늦은 밤 은밀히 움직이고 있던 녀석이다. 서늘한 날씨에도 아직까지 관찰된다. 2023.10.28. 봉평 2023. 11. 25.
등골나물 충영(벌레혹) 벌등골나물로 보이는데 벌레혹이 달린 것은 처음 관찰한다. 2023.8.20. 원주 2023. 8. 27.
찔레별사탕혹벌 충영 오솔길 가장자리 찔레잎에 붉은 색 별사탕이 매달려 있다. 이건 뭐지 하고 찾아보니 혹벌의 벌레집이다. 2023.8.7. 원주 2023. 8. 11.
철쭉 민떡병 떡병은 부풀어오른 모양인 반면 민떡병은 이렇게 잎에 황초록의 무늬를 남긴다. 지리산 정령치 능선 산철쭉에서 관찰했다. 2023.6.10. 남원 2023. 7. 9.
북방새진드기 Ornithonyssus sylviarum 추정 2022.4.21. 제천 물까마귀 번식 상황을 조사차 옹벽 배수구 둥지를 확인했는데 이 녀석들이 득시글거린다. 이끼 둥지를 만진 내 손에도 잔뜩이다. 카메라를 가지고 와 일단 기록은 했는데 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 천상 다시 찾아가 채집하여 제대로 기록해야겠다. 2023.3.11. 제천 채집하여 해부현미경으로 확대해 촬영해 보았다. 반투명한 몸에 시바견 얼굴 모양의 검은 무늬가 보인다. 구글링해서 비교해 보니 Ornithonyssus sylviarum (북방새진드기)과 흡사해 보인다. 검색한 내용을 번역해 보니 조류 진드기는 조류에 의해 옮겨지고 사람 가까이 둥지를 틀 때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지붕 아래, 홈통 옆의 틈, 환기를 위한 개구부 등 둥지 장소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하나의 조류 둥지에 .. 2023. 3. 12.
글로키디움(glochidium) 대륙송사리 지느러미에 달라붙은 모습 납자루 어항에 말조개, 작은말조개, 펄조개 등을 함께 사육하고 있는데 며칠 전 모래 속에 숨어 있던 민물조개 한 녀석이 방정하듯 출수공으로 무언가를 뿌옇게 내뿜더니 오늘 이렇게 물고기마다 지느러미에 작은 유생을 붙여 놓았다. 떡납줄갱이 지느러미에 달라붙은 모습 2022.2.1. 사육 2022. 2. 2.
민달팽이류 노랑쥐눈물버섯을 먹고 있는 모습 다음날 아침 버섯 네 송이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 있었다. 2020.8.9. 제주 표선면 귤밭 주변에서 많이 보이는 녀석이다. 몸색도 연한 귤빛이다. 2020.8.10-11. 제주 표선면 2020. 8. 17.
제주밤달팽이 Bekkochlamys quelpartensis 버섯 위에서 발견했다. 달팽이집 뒤로 길게 몸이 나와 있다. 2020.8.9. 제주 2020. 8. 17.
제주배꼽털달팽이 Plectotropis quelpartensis 비가 오니 귤밭의 현무암 돌담 주변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확대해서 보니 가시처럼 생긴 털이 톱니처럼 나 있다. 나층의 수가 혼동이 되긴 하지만 일단 추정한다. 2020.8.10. 제주 2020. 8. 16.
부산입술대고둥 비가 오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니나무나 돌담, 집 벽 등 여러 곳에서 이 녀석들을 만난다.교래자연휴양림 생태관찰로에서 처음 만났을 때누가 고둥을 빼 먹고 나무 위에 꽂아두었나 싶었다.궁금해서 들고 보니 살아 있는 녀석이라 신기했다.생긴 모습은 바다 고둥류와 비슷한데 행태는 달팽이와 같다.나층의 수를 세 보니 9층으로 보이는 녀석도 있고, 10층도 있는데제주에서 많이 보이는 녀석으로 검색되어 일단 추정한다.2020.8.10-11. 제주 표선면 2020. 8. 16.
갈퀴노래기 Anaulaciulus sp. 이제서야 이름을 붙인다. 2005.9.11. 원주 2020.8.29. 고한 2020. 8. 3.
그리마 2012.7.27. 원주 호저면 2016.10.8. 원주 생김이 그래서 잘 찍지 않게 되는 녀석이다.그래도 몇 장 자료가 있기에 이름을 올린다.어릴 적 '돈벌레'라고 불리며 시골집 여기저기 돌아다니던 녀석인데어른들은 돈을 불러들이는 녀석이라고 잡지 못하게 했던 기억이 있다.자료를 찾아보니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이다.오래된 시골집과 같이 각종 벌레들에 노출된 환경에서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녀석들의 활약은 분명 도움이 되었으리라.그래서 아마도 어른들은 지혜롭게도 잡지 말라고 하신게 아닌가 싶다. 2018.9.16. 원주 호저면 2020. 8. 2.
철쭉떡병 화단 연산홍 잎에 뭔가 붙어 있다.잎의 일부분이 하얗게 부풀어 떡모양을 나타내는데독성이 있어 만지거나 먹으면 안 된다고 한다.2020.7.1. 원주 호저면 2020. 8. 2.
황주까막노래기 다른 노래기 종류에 비해 크기가 크고몸의 마디 옆에 노란 띠가 있어 구별이 쉽다.2020.7.9. 원주 호저면 2020. 7. 29.
큰이마공벌레 공벌레는 등에 아무 무늬가 없는데 이 녀석은 밝은 줄무늬가 보인다. 일단 추정한다.2020.7.1. 원주 호저면 2020. 7. 26.
노래기 일종 산속 옹달샘에 빠진 녀석이다.2020.3.26. 원주 주산리 2020. 4. 1.
두릅나무 충영 2019.6.8. 경북 봉화 2020. 3. 16.
달팽이아재비 오름을 내려오다 고사리류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연초록의 반투명 패각이 너무 예쁘다.검색을 통해 이름을 일단 추정한다.2019.7.22. 제주 다랑쉬오름 2020. 2. 12.
동양달팽이 Nesiohelix samarangae 달팽이 종류 중 크기가 큰 녀석이다. 줄무늬가 인상적이다. 2005.8.16. 원주 생태관찰로 이곳저곳 많이도 관찰된다. 2020.8.9. 제주 2020. 1. 1.
명주달팽이 추정 무늬의 변이는 있지만 흔하게 보이는 달팽이 종류라 일단 명주달팽이로 이름 붙인다.2013.7.7. 원주 반곡동 2020. 1. 1.
서해비단고둥 2019.9.29. 서천 유부도 2019. 11. 17.
오가피나무이혹 올해는 시골집 뒤뜰의 오가피나무 상태가 영 아니다. 2019.6.23. 원주 호저면 2019. 10. 27.
왕지네 시골집 안에서 발견된 녀석이다.생각보다 크기가 크다.2019.10.4. 원주 호저면 2019. 10. 6.
쑥뾰족혹파리혹 쑥잎진딧물혹과 잘 구분이 되지 않으나 뾰족한 모양으로 일단 추정한다. 2018.10.16. 학교2020.6.14. 학교 2018. 10. 26.
동죽 민박집에서 오전부터 뻘에서 채취한 조개 아직까지는 많은 양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조개가 난다. 2018.10.9. 유부도 2018. 10. 13.
바지락 바지락칼국수만 먹을 줄 알았지 이렇게 싱상하게 살아있는 녀석들을 캐는 건 처음 경험한다. 2014.10.3. 화성 백미리 2018.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