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함백산67

검은테떠들썩팔랑나비 줄꼬마인지 수풀꼬마인지 검은테인지 서로 비슷비슷하게 느껴진다. 결국 날개 가장자리의 일정한 검은 테를 보고 이 녀석으로 동정한다. 혹 잘못 되었다면 지적을 부탁드린다. 2007년 2021.7.27. 함백산 2012. 8. 18.
참나물 생김새가 거의 비슷한 재배해서 먹는 반디나물과는 향과 맛이 차원이 다르다. 산간 습지에 무리지어 자라며, 줄기가 붉은빛을 띤다. 2010.8.22. 정선 만항재 계곡 능선 여기저기 많이 보인다. 붉은 줄기와 줄기 마디를 잘 살펴야 찾을 수 있다. 2016.5.15. 인제 연가리 2018.8.12. 함백산 2012. 7. 3.
산박하 2008.9.16. 원주 2009.8.30. 원주 이름처럼 박하향은 나지 않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작고도 예쁜 꽃이다. 꽃향은 없지만 이름의 여운은 길게 남는 녀석이다. 2012.9.23. 원주 호저면 2013.9.17. 원주 호저면 꽃이 다 떨어지고 남은 모습도 예쁘다. 2013.10.4. 횡성 예쁘게 핀 녀석을 발견했다. 빛도 적당하다. 2017.9.16. 제천 고명동2019.8.5. 함백산 2012. 6. 28.
산꼬리풀 2010.8.22. 정선 만항재 꽃의 형태와 이름이 잘 어울린다. 2018.8.12. 함백산 2019.8.5.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12. 6. 28.
노랑무늬붓꽃 2010.5.9. 오대산 정상부 능선에 무리지어 관찰된다. 아주 오랜만이다. 2023.5.14. 함백산 2012. 6. 24.
미역취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2008.9.21. 원주 2017.9.10. 제천 고명동 2018.8.12. 함백산 2012. 6. 21.
짚신나물 숲길 언저리에 피어 있는 노오란 여름꽃. 옛날 걸어다니는 길 옆에 있다가 사람들이 지나가면 그 짚신에 붙어 따라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009.8.10. 원주 2009.8.10. 원주 호저면 2011.8.15. 원주 2013.8.15. 원주 호저면 2014.8.10. 원주 행구동 2015.8.11. 홍천 삼마치 2017.7.30. 제천 고명동 2017.8.2. 제천 고명동 2018.7.29. 치악산휴양림 꽃이 떨어진 자리에 씨앗이 맺혔다. 찐득한 점액질이 있어 옷이나 신발에 잘 달라붙는다. 2018.8.12. 함백산 2021.7.27. 함백산 2012. 6. 18.
산비장이 정선 카지노를 지나고 정암사를 지나 오른 해발 1332m의 만항재 여러 야생화들이 즐비하다. 2010.8.22. 만항재 2014.8.16. 정선 만항재 2014.8.23. 양평 2018.8.12. 함백산 2012. 6. 14.
고려엉겅퀴 흔히 곤드레나물이라고 한다. 2008.9.21. 원주2018.8.12. 정선 함백산 2020.8.29. 정선 함백산 2012. 6. 14.
천남성 뿌리는 옛날 사약의 재료로 쓰였다고 한다. 한방에서 약재로 소량 쓰이기도 한다. 2008.4.13 2010.5.21. 2009.5.24 2007.6.2 열매의 모습. 완전히 익으면 붉게 변한다. 2007.7.17 붉게 변한 열매 2004.9.27 2017.4.15. 원주 호저면 2023.5.14. 함백산 2012. 6. 13.
수리취 2008.9.21. 청태산 2005.9.4. 용평면 이 녀석도 취나물의 일종이다. 처음엔 엉겅퀴의 종류로 생각했었다. 예전에 잎으로 떡을 해 먹었다. 2010.8.22. 정선 만항재 2008.9.21. 청태산 2018.8.12. 함백산 개시호와 함께 자란 모습 정상부 능선에서 산자락을 배경으로 키를 키운 녀석 2021.7.27. 함백산 2012. 6. 5.
솔나물 샛노란 꽃색이 눈에 확 들어오는 녀석이다 2004.6.29. 원주 2018.8.12. 함백산2019.8.5, 함백산 해안사구에 많이 자라났다.내륙에서 보던 녀석들보다 더 크고 잎도 실하다.2020.4.25. 강릉 2012. 6. 5.
쥐오줌풀 이름 참 특이하다. 모양과 색은 저리도 이쁜데, 왜 이름은 예쁘지 않은 것일까? 코를 대고 냄새를 맡아보라. 어떤 냄새가 코를 찌르는가? 2007년 2015.5.10. 치악산휴양림 2016.5.15. 인제 연가리 2023.5.14. 함백산 2012.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