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교533

썩덩나무노린재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들이 모여 있다. 2011.7.6. 학교 약충의 모습 2011.7.9. 호저 월동중인 녀석 같진 않은데... 눈 위에 죽어 있는 모습. 2011.1.17. 원주 약충의 모습 2011.10.5. 학교 2011.8.13. 제천 산초나무 잎 뒤에서 부화한 녀석들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10. 원주 행구동 2018.10.16. 학교 2020.8.23. 원주 대덕리 2012. 8. 18.
주둥이노린재 애벌레의 체액을 빨아먹고 있다. 2011.8.15. 호저면 약충 2011.7.5. 호저면 나무를 기어가는 녀석의 모습을 발견했다. 뭔가 이상하다 싶더니 작은 애벌레를 사냥해 먹고 있다. 2013.7.25. 원주 태장동 쥐방울덩굴 주변에서 꼬리명주나비 애벌레를 사냥하여 흡즙하고 있다. 2016.6.30. 원주 호저면 2019.7.6. 원주 호저면 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9.8.3. 원주 태장동 2019.10.20. 원주 대덕리 2020.4.14. 학교 2012. 8. 18.
큰뱀허물쌍살벌 뱀허물쌍살벌보다 전체적으로 색이 옅고 더듬이 사이의 오각형 부분에 검은색 세로줄이 없다. 집도 뱀허물처럼 길게 짓지 않고 나뭇잎이나 처마 아래, 바위 아래 등에 둥근 모양으로 짓는다. 사진은 참나무 잎에 지은 집이다. 2011.8.15. 원주 호저면 모두 같은 녀석이다. 한 녀석이 비실비실하기에 원없이 기록했다. 더듬이 사이 오각형 부분의 검은색 세로줄이 확실히 없다. 2012.9.23. 백운산 자연휴양림 나뭇잎 뒤에 붙인 집의 형태가 원형이다. 한 녀석만 보인다. 2014.6.14. 황둔자연휴양림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8. 원주 행구동 등산로 가까운 바위에 집을 마련했다. 2016.8.27. 치악산 이제는 둥지의 형태만 봐도 쉽게 구별이 된다. 2017.8.18. 인제 연가리 2.. 2012. 8. 15.
다리무늬침노린재 Sphedanolestes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냄새보다는 침으로 자신을 방어하고 공격한다. 손으로 함부로 만지다간 쏘이게 된다. 2007년 무당벌레 사냥에 성공해 체액을 빨아먹으려 하고 있다. 2008년 2011.6.19. 원주 짝짓기 모습 2011.7.5. 원주 2011.7.16. 원주 침노린재류 중 관찰 빈도가 높은 녀석 중의 하나이다. 2014.5.31. 원주 2015.7.19. 원주 2016.6.19. 원주 2016.7.10. 원주 2017.6.11. 영월 약충의 모습 2018.9.26. 원주 2019.6.8. 봉화 2019.6.16. 원주 2019.7.9. 학교 2019.7.23. 제주 다리에 오렌지색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지금까지 봐왔던 녀석들은 검은색과 흰색의 띠 무늬였는데 이 녀석은 오렌지 색으로 멋을 부렸다. 지역적 변이로 봐야하.. 2012. 7. 8.
밀감무늬검정장님노린재 약충의 모습 얼핏 보면 진딧물처럼 보인다. 2012.6.7. 학교 성충의 모습 2011.7.4. 호저면 2013.6.15. 원주 신림면 어깨등판 앞쪽이 황색을 띠는 녀석도 있다. 2013.6.29. 원주 태장동 회색가루를 뒤집어 쓴 약충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주변 풀밭은 노린재들의 천국이다. 2014.5.31. 원주 태장동 2015.6.4. 학교 가슴등판의 밀감무늬, 황색이 제대로 나타나 있는 녀석이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7.5. 학교 2020.6.7. 제천 2012. 7. 7.
북쪽비단노린재 Eurydema gebleri gebleri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그것도 성장 시기가 다른 녀석들이 함께 있다. 비록 가뭄으로 기주식물은 바짝 말랐지만, 녀석들의 움직임은 신속하다. 잘 찾아보면 홍비단노린재도 보인다.^^ 2012.6.26. 원주 2011.6.30. 원주 짝짓기 모습 2014.6.8. 원주 2014.7.2. 원주 겨자채 잎을 너덜너덜하게 만들어놓았다. 북쪽비단노린재도 함께 있다. 2019.6.23. 원주 2020.5.25. 학교 2012. 7. 3.
두점애기비단나방 이름이 녀석의 특징을 잘 알려주고 있다. 짝짓기 중이라 근접할 수 있었다. 2011.8.21. 치악산휴양림 2019.6.29. 원주 매호리 2019.7.9. 학교 2019.7.13. 영월 도원리 2021.7.29. 원주 대덕리 2012. 7. 2.
붉은산꽃하늘소 남색초원하늘소와 더불어 여름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늘소 중의 하나이다. 환삼덩굴 위에 올라있는 제법 큰 녀석을 담아보았다. 2005.7.7. 원주 2008.6.21. 원주 산초 나무 꽃 위에서 짝짓기 중인 녀석들의 모습 2013.7.25. 원주 태장동 2015.8.11. 홍천 삼마치 왜당귀꽃에 앉아 섭식하는 녀석 2017.6.22. 학교 2017.8.8. 진부 장전계곡 나리분지의 섬바디에 녀석들이 여럿 보인다. 2018.7.24. 울릉도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2. 7. 2.
깃동잠자리 날개끝에 검은색의 무늬가 있다. 잠자리 종류는 가슴 주변의 무늬와 날개의 무늬로 주로 동정한다. 깃동잠자리류는 깃동, 들깃동, 산깃동 등으로 나뉘는데... 이 녀석은 흔한 깃동잠자리이다. 2011.7.21. 치악산휴양림 2016.10.8. 원주 대덕리 2017.9.16. 제천 고명동 2017.9.26. 학교2019.8.13. 치악산휴양림 2012. 7. 2.
나팔꽃 2008.9.26. 원주 늦은 오후라 꽃은 말렸지만잎의 모양은 잘 구분된다.2014.9.16. 학교 2012. 7. 1.
긴알락꽃하늘소 마타리꽃이 여기저기 피어있는 곳에서 우연히 발견하였다. 아직 사진으로 담지 못한 녀석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란..... 등의 무늬로 비슷한 녀석들과 구분한다. 2007년 2011.6.5. 홍천 삼마치 벌채한 나무를 쌓아놓은 곳에서 짝짓기에 여념이 없는 녀석을 발견했다. 꽁지를 잘 관찰해 보면 녀석들의 사랑의 비밀을 알 수 있다. 2013.5.31. 학교 산수국 위에서 먹이활동 중인 녀석 2014.6.29. 치악산휴양림 여기저기 탈출공이 보이긴 하는데, 이곳에서 나온 녀석인지는 잘 모르겠다. 2016.6.5. 원주 호저면산초나무에 앉아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2019.7.13. 영월 도원리 2012. 7. 1.
우리목하늘소 이렇게 구도를 잡으니 모습이 참 독특하다. 머리에 난 더듬이가 뿔처럼 유난히 강조되어 보인다. 2007년 숲속 길가에 수액이 흐르는 참나무 주변에서 만났다. 위장이 뛰어나 얼핏 보고 지나다보면 찾기 쉽지 않다. 더듬이가 무척 굵고 길다. 2013.8.9. 원주 호저면 크기도 크고 성격도 얌전한 녀석이다. 덕분에 얼굴을 자세히 기록한다. 2020.5.17. 학교 섬강 옆 버드나무 위를 기고 있다. 2022.5.5. 원주 2012. 7. 1.
벌호랑하늘소 두 개의 '여덟팔'자 무늬, 두 개의 가로띠 무늬는 황색이다. 땅벌과 모양이 비슷하며 야산 기슭 숲길 주변에서 산다. 2008년공터 벌채목 쌓아둔 곳에서 오랜만에 만났다.온 몸이 잔털로 가득하다.2020.5.17. 학교 2020.5.22. 학교2020.5.27. 학교 2012. 6. 30.
산호랑나비 마치 독이 있는 것처럼 화려한 색으로 치장하고 자신을 보호한다. 식초식물인 미나리잎을 먹고 있는 모습이다. 호저에서 촬영하였다. 2007.8.12. 원주 호저면 뒤늦은 시기인데 산형과 식물에 붙어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2013.10.27. 원주 신림면 구릿대에서 발견한 녀석 왕성하게 식사중이다. 2015.8.22. 원주 신평리 애벌레는 여러 번 관찰했지만 성체는 처음 만난다. 2016.7.10. 원주 대덕리 왜당귀에서 발견했다. 2017.6.16. 학교 벌초를 하러 갔다가 발견한 녀석 2017.9.17. 제천 고명동 2018.9.2. 원주 대덕리 2012. 6. 29.
왕거위벌레 암컷의 모습. 짝짓기 후 산란을 위해서인지, 밤나무잎에 많이들 앉아 있다. 그중 한 녀석을 가까이 담아보았다. 수컷의 모습. 머리부분이 유난히 길쭉해서 특이한 곤충이다. 좀더 긴 녀석이 수컷이고, 보다 짧은 녀석이 암컷이다. 나뭇잎을 재단하고 잘 말아올려 알집을 만드는 특징이 있다. 2007.7.5. 원주 호저면 2009.6.21. 원주 호저면 참나무 잎을 재단하고 말아 알집을 만든다. 완성까지 2-3시간 가량 걸린다고 한다. 2010.7.30. 원주 호저면 2014.7.20. 원주 태장동 2015.8.6. 원주 고산리 2020.5.28. 학교 2012. 6. 28.
털두꺼비하늘소 봄이 되면 여기저기서 녀석들의 모습이 보인다. 생긴 건 거무튀튀하고 이상해도 하늘소인데, 예쁘지 않아선가? 녀석들의 사체를 자주 발견할 수 있다. 2007년 2011.4.17. 원주 호저면 학교 주변에서 많이 관찰된다. 2013.5.31. 학교 2013.6.14. 학교 2016.5.2. 학교 졸음이 밀려오는 따뜻한 날씨에 녀석도 조는 듯 움직임이 별로 없다. 2017.4.15. 원주 호저면 2018.9.22. 원주 대덕리잘린 나무가지 쌓여 있는 곳에 많이 보인다.여러 쌍이 짝짓기 중이다.2020.5.11. 학교짝짓기 중인가 했더니 산란 중이다.산란된 구멍2020.5.13. 학교 2020.5.25. 학교 2012. 6. 28.
푸른부전나비 Celastrina argiolus 날개와 몸 색깔은 약간의 푸른빛을 띤 흰색이다. 이 녀석 또한 무척 작다. 2006.6.15. 원주 짝짓기 모습 2010.7.28. 속초 2011.7.19. 원주 2013.8.15. 원주 2016.4.28. 학교 2016.6.17. 학교 2019.6.26. 학교 2012. 6. 28.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 죽어 있는 노린재에 몰려들어 함께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2008.6.1. 원주 호저면 배 끝이 뾰족하고 색깔이 더 짙기에 한 눈에 들어온다.2011.8.15. 원주 호저면벌채목 부근에서 녀석들의 서식지를 발견했다.이제서야 오래전 학교에서 관찰했던 쌍꼬리부전나비의 수수께끼가 풀린다.2020.5.25. 학교 2012. 6. 21.
박주가리 분홍빛 박주가리 꽃과 열매 2009 흰꽃이 피어난 박주가리 흔한 식물이지만 바람에 씨를 퍼뜨리는 모습은 가히 환상적이다. 늦가을부터 찬바람 씽씽 부는 한겨울까지 세찬 바람에 몸을 맡기고 정착을 위한 여행을 떠난다. 2014.1.12. 문막 요즘 무섭게 덩굴을 뻗어올리고 있다. 2014.8.28. 학교 2015.8.10. 학교 2015.8.14. 영월 법흥사 2012. 6. 18.
지칭개 주변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녀석. 2009.6.7. 원주 바닥에 붙어 자라는 로제트잎 2013.10.12. 원주 2016.5.27. 학교 2017.5.25. 학교 2019.6.1. 원주 2023.5.24. 학교 2012. 6. 18.
파리매 노린재 같은 곤충의 몸에 주둥이 삽입하고 즙을 빨아먹는 녀석들의 생태를 보면, 참 무시무시하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 운동장에서 짝짓기를 하는 녀석들을 촬영하였다. 2007년 2017.6.16. 학교 2017.7.16. 원주 대덕리 2012. 6. 18.
석점박이방아벌레붙이 방아벌레와 생김이 비슷하여 '방아벌레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열심히 잎을 갉아먹는 중 떼허리노린재와 함께 있는 모습 앞가슴등판이 주황색이며 검은색의 점이 세 개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암컷은 딱총나무에 산란한다. 2012.6.10. 둔내 2011.6.6. 치악산휴양림 2016.4.15. 학교 2012. 6. 15.
층층나무 가을이 되어 열매가 맺히면 층층나무가에 여러 새들이 모여 든다. 2022.5.13. 학교 2012. 6. 14.
애기똥풀 초록의 들판에 샛노란 애기똥풀이 지천으로 피어 있다. 2008.5.12. 원주 우산동 2004.5.16. 원주 줄기를 꺾으면 애기똥처럼 노란 액이 나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007.7.14. 원주 2010.4.3. 원주 2011.5.5. 원주 독성이 있어 식용은 불가하다. 야생동물들도 먹지 않는다. 2013.9.26. 원주 2013.10.9. 원주 호저면 2013.10.25. 원주 우산동 2015.4.26. 원주 호저면 2016.4.15. 학교 2017.8.26. 원주 호저면 2018.5.9. 학교 2022.4.22. 학교 2023.4.19. 학교 2023.4.28. 학교 2023.5.10. 학교 2012. 6. 14.
청띠신선나비 날개의 청색띠가 선명하다. 2007년 원주 2022.3.12. 학교 2012. 6. 13.
수레국화 학교 화단에서 씨가 퍼져나간 것인지 식당 주변 경사지에도 많이 자랐다. 원예종으로 색은 여러 가지이다. 2010년 학교 2022.5.19. 원주 호저면 2012. 6. 13.
환삼덩굴 길가나 공터에서 흔하게 자라는 덩굴 식물이다. 잎자루와 줄기에 잔가시가 나 있으며,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곤충나라식물나라 크리스탈님의 포스팅을 보고 알게 되었다. 여름철에 흔하디흔한 덩굴이지만 출발이 이렇게 시작되는 줄은 정말 몰랐다. 바로 카메라를 들고 녀석을 기록했다. 2014.3.27. 학교 여기저기 무섭게 자라난다. 2014.4.5. 원주 태장동 2020.3.23. 학교 2020.4.7. 학교 2012.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