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태장동138

버들하늘소 불빛에 날아든 암컷의 모습. 수란관이 배 뒤로 길게 나와 있다. 2011.8.6. 철원 수컷의 모습 암컷에 비해 크기가 더 작고 몸의 색도 연하다. 전체적으로 더듬이가 굵은 편이다. 더듬이 첫 마디가 가장 굵고 짧으며 두번째 마디가 가장 길다. 아파트 정자 불빛에 날아든 암수 한 쌍. 느티나무에 붙어 짝짓기 중이다. 2013.7.20. 원주 태장동 은사시나무 아래쪽 수피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2016.7.9. 원주 호저면 2016.7.17. 원주 대덕리 2016.7.26. 원주대덕리 처음 만난 장소 주변에서 녀석들을 자주 만난다. 2016.8.14. 원주 대덕리 2017.8.7. 원주 대덕리 2019.7.29. 원주 태장동 체육공원 가로등 불빛에 찾아온 녀석이다.주변을 살펴보니 녀석들이 다소곳이.. 2013. 7. 22.
애남생이잎벌레 주로 명아주 잎에서 자주 발견된다. 남생이잎벌레보다 조금 작다. 잎을 잘 갉아먹는다. 2013.6.15. 원주 2011.7.28. 원주 역시나 명아주 잎에 붙어있던 녀석이다. 딱지날개에 뒷다리처럼 보이는 무늬가 있다. 2014.7.27. 원주 태장동 2013.6.29. 원주 딱지날개에 뒷다리처럼 보이는 무늬가 나타나지 않은 녀석이다. 그래서 그동안 애남생이잎벌레로 생각치 않았었다. 2013.7.3. 원주 2017.6.11. 주천면 2020.5.11. 학교 2013. 7. 20.
크로바잎벌레 딱지날개 앞부분은 검으며 그 속에 흰색의 둥근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날개의 뒷부분은 황갈색을 띤다. 2013.7.3. 원주 태장동 2015.7.2. 원주 행구동 2016.7.9. 원주 텃밭 고구마잎에 녀석들이 여럿 보인다. 2020.6.6. 원주 호저면 2023.10.25. 원주 2013. 7. 16.
소주홍하늘소 개망초 위의 녀석을 발견했을 때 얼핏 보고 여러 번 관찰한 홍반디라고 생각했었다. 길고 굵은 녀석의 더듬이를 보는 순간 비로소 녀석이 하늘소 종류임을 깨달았다. 2013.6.9. 원주 태장동 2013. 6. 10.
맹꽁이 여름 저녁 아파트 입구를 들어서다 발견하였다. 어릴 적 흔히 볼 수 있었고, 장난감 삼아 많이 가지고 놀던 녀석인데 이렇게 의외의 장소에서 참 오랜만에 재회했다. 멸종위기종이다. 예전에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에 동네 주변에 녀석들이 꽤 많았었다고 한다. 녀석의 출현이 반갑고 기쁘다. 2009.8.3. 원주 태장동 늦은 밤 맹꽁이 울음소리로 시끄럽더니어느새 산란을 했는지 올챙이가 보인다.2019.7.29. 원주 태장동 둠벙에 많은 녀석들이 보인다.대략 세어봐도 50여 마리 이상이다.청개구리 올챙이도 보인다.2019.8.1. 원주 태장동 2013. 3. 10.
별쌍살벌 처가 옆집 주목나무 가지 끝에 녀석들이 집을 달았다. 그리 예민하지 않아 다소 가까이 촬영할 수 있었다. 어리별쌍살벌에 비해 체구가 작고 짙은 고동색과 갈색, 노란색이 잘 조합된 녀석이다. 나무껍질과 타액을 섞어 집을 짓는다. 2011.8.21. 원주 호저면 특이하게도 하천 옆 전석으로 쌓아놓은 화강석 구멍에 집에 지었다. 2015.7.18. 원주 태장동 2013. 3. 1.
깜보라노린재 이름처럼 온 몸이 시커먼 녀석이다. 작은방패판 끝부분에 큰 흰 점이 특징적이다. 2012.6.7 원주 태장동 2009.8.17. 호저 장구채에서 녀석을 발견했다. 녀석을 만난 시기가 가장 늦다. 2013.9.17. 원주 호저면 2014.8.11. 학교 2018.09.16. 원주 호저면 2012. 9. 11.
큰딱부리긴노린재 딱부리는 눈이 크고 튀어나와 있다는 뜻이다. 등판이 길고 더듬이는 4마디, 앞날개는 금빛을 띤다. 2006.6.25. 원주 호저면 2012.8.9. 원주 태장동 2014.6.8. 김해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7. 원주 행구동 무언가 작은 사냥감을 잡았다. 2016.5.19. 학교 대추나무에서 짝짓기 중인 녀석들을 만났다.2020.6.8. 원주 호저면 2012. 9. 11.
둥글노린재 2011.7.5. 원주 호저면 앞가슴등판 앞쪽에 흑갈색 무늬가 2개이고 더듬이 4, 5 마디가 흑갈색이다. 2012.6.9. 원주 2014.7.20. 원주 태장동 풀밭 여기저기 짝짓기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익모초에서 많이 보인다.2014.7.29. 원주 행구동 2014.8.7. 원주 행구동 2019.7.20. 원주 주산리 2020.8.23. 원주 대덕리 2012. 9. 11.
삿포로잡초노린재 2011.7.17. 원주 호저면 발견되는 잡초노린재류는 전반적으로 몸색이 붉은 빛을 띠면 붉은잡초노린재 뒷다리 넓적다리마디에 검은색 큰 점이 있으면 점흑다리잡초노린재 이 녀석은 작은 반점들만 있기에 삿포로잡초노린재이다. 2011.8.15. 원주 호저면 2011.7.5. 원주 호저면 2011.8.21. 원주 호저면 2013.7.6. 원주 태장동 2013.8.3. 원주 태장동 2013.8.1. 원주 태장동 2014.7.20. 원주 태장동 2014.7.26. 원주 태장동 2014.8.10. 원주 행구동 옆에서 지켜보니 정말 잔털이 많다.배가 더 넓적하고 아랫면이 좀더 흰색을 띠고 있는 녀석이 암컷이다. 짝짓기 중에 다른 수컷 한 녀석이 비비대며 암컷 위로 접근한다. 2014.8.11. 학교 2012. 9. 8.
아기스라소니거미 알집을 지키고 있는 모습. 크기는 작지만 사냥은 날렵하다. 2009.6.21. 원주 호저면 파리 종류를 사냥한 거미 2012.6.26. 원주 호저면 2013.6.9. 원주 태장동 2013.6.29. 원주 2013.7.3. 원주 2017.6.11. 원주 대덕리 2017.7.21. 원주 대덕리 알집을 지키고 있다.2019.6.15. 원주 매호리 2012. 8. 25.
넓적배허리노린재 약충의 모습 연초록의 몸빛이 잘 어울린다. 2011.8.15. 호저면 성충의 모습 짝짓기 모습 2012.6.7. 호저면 2013.8.1. 원주 2014.5.31. 원주 2014.7.27. 원주 태장동 칡 잎 위에 있던 녀석이다. 약충일 때 초록색을 띠고 있다. 2014.7.29. 원주 행구동 몸색이 초록에서 서서히 갈색으로 변한다. 2014.8.7. 원주 행구동 산란을 하려는 것인지 한 장소에서 멀리 도망가지도 않고 자꾸 생식기를 내민다. 30여 분을 지켜보았으나 시간 여유가 되질 않아 생식기 부분만 확대 기록한 다음 아쉽게도 철수했다. 2014.8.9. 원주 태장동 2017.8.2. 제천 고명동 알에서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이다.2019.7.20. 원주 주산리 2012. 8. 19.
열점박이노린재 온통 황금색으로 치장한 녀석 등에 검은 점이 10개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머리 아래로 순서대로 4,4,2 해서 10개의 점이 있다. 맨 아래 두 개의 점은 등이 아닌 날개에 있다. 2007년 2010.9.11. 신림 느티나무에 붙어 짝짓기 중인 녀석들을 만났다.2014.7.20. 원주 태장동 2012. 8. 18.
주둥이노린재 애벌레의 체액을 빨아먹고 있다. 2011.8.15. 호저면 약충 2011.7.5. 호저면 나무를 기어가는 녀석의 모습을 발견했다. 뭔가 이상하다 싶더니 작은 애벌레를 사냥해 먹고 있다. 2013.7.25. 원주 태장동 쥐방울덩굴 주변에서 꼬리명주나비 애벌레를 사냥하여 흡즙하고 있다. 2016.6.30. 원주 호저면 2019.7.6. 원주 호저면 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9.8.3. 원주 태장동 2019.10.20. 원주 대덕리 2020.4.14. 학교 2012. 8. 18.
밀감무늬검정장님노린재 약충의 모습 얼핏 보면 진딧물처럼 보인다. 2012.6.7. 학교 성충의 모습 2011.7.4. 호저면 2013.6.15. 원주 신림면 어깨등판 앞쪽이 황색을 띠는 녀석도 있다. 2013.6.29. 원주 태장동 회색가루를 뒤집어 쓴 약충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주변 풀밭은 노린재들의 천국이다. 2014.5.31. 원주 태장동 2015.6.4. 학교 가슴등판의 밀감무늬, 황색이 제대로 나타나 있는 녀석이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7.5. 학교 2020.6.7. 제천 2012. 7. 7.
붉은산꽃하늘소 남색초원하늘소와 더불어 여름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늘소 중의 하나이다. 환삼덩굴 위에 올라있는 제법 큰 녀석을 담아보았다. 2005.7.7. 원주 2008.6.21. 원주 산초 나무 꽃 위에서 짝짓기 중인 녀석들의 모습 2013.7.25. 원주 태장동 2015.8.11. 홍천 삼마치 왜당귀꽃에 앉아 섭식하는 녀석 2017.6.22. 학교 2017.8.8. 진부 장전계곡 나리분지의 섬바디에 녀석들이 여럿 보인다. 2018.7.24. 울릉도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2. 7. 2.
남색초원하늘소 개망초 위에서 정보교환(?) 중인 남색초원하늘소의 사랑 장면. 2007년 2011.6.18. 원주 늦가을 개망초에 산란하고 월동한 후, 늦은 봄부터 출현한다. 2012.6.10. 둔내 털이 북실북실한 녀석의 더듬이는 언제 만나도 인상적이다. 요즘 개망초 주변에 녀석들이 많다. 2013.6.9. 원주 태장동 자연광에서 녀석들의 짝짓기를 기록했다. 한결 더 자연스럽다. 2016.6.6. 원주 대덕리 2017.6.11. 주천 2012. 7. 2.
불짜게거미 다리에 꽃가루를 묻힌 꿀벌 사냥에 성공한 모습 등의 무늬가 외계인 모습과 닮았다. 도감을 보니 등의 무늬가 머리 부분을 제외하고 아랫부분이 '不'자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2007년 파리와 거미와의 먹이 다툼이라고 해야 할까? 살아남기 위한 먹이 다툼은 치열하다. 2012.6.9. 원주 호저면 2013.6.9. 원주 태장동 배갑의 색이 노란 녀석만 보다가 붉은 녀석을 만나니 다른 녀석 같아 보인다. 2016.5.22. 학교 2016.6.6. 원주 대덕리 주황색과 노란색 유형을 한 장소에서 다 만났다. 2017.6.11. 주천 2016.7.10. 원주 2018.8.19. 제천 고명동 2020.6.22. 원주 주산리 개미를 사냥했다. 2021.8.4. 제천 고명동 2012. 6. 29.
왕거위벌레 암컷의 모습. 짝짓기 후 산란을 위해서인지, 밤나무잎에 많이들 앉아 있다. 그중 한 녀석을 가까이 담아보았다. 수컷의 모습. 머리부분이 유난히 길쭉해서 특이한 곤충이다. 좀더 긴 녀석이 수컷이고, 보다 짧은 녀석이 암컷이다. 나뭇잎을 재단하고 잘 말아올려 알집을 만드는 특징이 있다. 2007.7.5. 원주 호저면 2009.6.21. 원주 호저면 참나무 잎을 재단하고 말아 알집을 만든다. 완성까지 2-3시간 가량 걸린다고 한다. 2010.7.30. 원주 호저면 2014.7.20. 원주 태장동 2015.8.6. 원주 고산리 2020.5.28. 학교 2012. 6. 28.
인동덩굴 제대로 활짝 피어있는 모습을 보면 참 이쁘다. 흰색과 노란색의 꽃이 함께 피어 있다. 흰색은 수정 전, 노란색은 수정 후의 꽃색이다. 2012.6.9. 원주 태장동 2016.5.29. 원주 2017.6.11. 원주2020.8.8. 제주 구좌읍 2012. 6. 21.
시가도귤빛부전나비 날개 바깥쪽의 검은 무늬가 도시의 시가지 모습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날개끝에 꼬리 비슷한 것은 천적을 속여 자신의 몸을 보호하려는 위장술의 하나이다. 2007년 2011.6.30. 원주 호저면 예상 못한 장소에서 녀석의 아름다운 귤빛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란... 언제 만나도 참 예쁜 몸빛과 무늬를 지녔다. 2013.6.9. 원주 태장동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 2012. 6. 21.
머위 긴 겨울을 보내고 봄을 맞이한 모습. 2009.3.21. 원주 들판의 냉이를 캐다가 계곡 쪽을 살펴보니 이제 막 머위잎이 수줍게 고개를 들었다. 2014.3.1. 원주 호저면 유난히 따뜻했던 날씨에 빠르게 성장했다. 2014.3.30. 원주 호저면 2014.4.5. 원주 태장동 2017.4.2. 원주 호저면 2012. 6. 21.
환삼덩굴 길가나 공터에서 흔하게 자라는 덩굴 식물이다. 잎자루와 줄기에 잔가시가 나 있으며,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곤충나라식물나라 크리스탈님의 포스팅을 보고 알게 되었다. 여름철에 흔하디흔한 덩굴이지만 출발이 이렇게 시작되는 줄은 정말 몰랐다. 바로 카메라를 들고 녀석을 기록했다. 2014.3.27. 학교 여기저기 무섭게 자라난다. 2014.4.5. 원주 태장동 2020.3.23. 학교 2020.4.7. 학교 2012. 6. 11.
네점박이노린재 이제 막 알에서 깨어나 옹기종기 모여있는 노린재 약충. 배열된 알의 수와 모여있는 약충의 수 16개, 잎의 뒷면에 붙어있는 녀석들의 모습이 신기하다. 2007년 등판에 네 개의 점이 있어 붙여진 이름인데, 희미해서 잘 알아보기 힘들다. 짝짓기 중인 성충의 모습 2006.6.23. 원주 호저면 마름모꼴 배열이 특징적인 녀석의 알을 또 발견했다. 2013.7.3. 원주 태장동 채집통에 넣어 집에 가져다 두고 관찰했다. 갓 부화한 약충들이 함께 모여 있다. 장독처럼 알집 뚜껑이 열려 있다. 2013.7.7. 원주 태장동 연약한 어린 시기에는 함께 움직이는 습성을 보인다. 2013.7.8. 원주 태장동 2012.8.9. 원주 2014.8.9. 원주 행구동 2014.8.11. 학교 개망초 잎 뒤에 붙여놓은 알집과.. 2012. 6. 8.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와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의 구분이 만만치 않다. 동정 포인트가 확실해지면 살펴보고 잘못 되었으면 수정할 생각이다. 2005.7.15. 원주 2011.7.6. 학교 2011.7.5. 원주 호저면 감자나 가지의 잎을 갉아먹어 해충으로 천대를 받는 녀석이다. 녀석들의 사랑을 클로즈업해 보았다. 2011.8.21. 원주 가슴등판 아래로 숨겼던 머리가 선명히 보인다. 2014.6.8. 원주 호저면 학교 주변 텃밭의 감자잎을 잎맥만 남겨놓더니 이제는 옆의 가지와 콩, 고추잎에 다닥다닥 붙어있다. 잎 뒷면을 들추니 알과 유충, 번데기가 잔뜩이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녀석들은 분명 해충이다. 2015.7.1. 학교 2015.8.6. 원주 태장동 2015.8.10. 학교 2012. 6. 8.
범부전나비 2004.7.9. 원주 2011.7.6. 원주 2011.7.21. 치악산휴양림 날개 아랫면에 흰색 부분이 많은 것으로 보아 봄형으로 보인다. 2012.5.27. 치악산 부곡 2013.6.29. 원주 태장동 2017.6.29. 학교 벌등골나물에 앉아있는 녀석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2020.4.23. 학교 날개를 편 모습은 처음 관찰한다.2020.5.22. 학교 2012. 6. 5.
우리의 주식인 쌀은 바로 이 녀석의 결과이다. 자주 보는 논과 벼이건만 꽃을 보고 관찰하는 이는 많지 않다. 2006.9.10. 원주 호저면 2013.8.16. 원주 태장동 2015.8.6. 원주 태장동 2020.7.25. 원주 호저면 2012. 6.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