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주153

주홍서나물 꽃이 아래로 쳐진 모양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산 귀화식물로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서 서식하던 녀석인데 이제는 중부지방을 비롯한 전역에서 관찰되고 있는 듯하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19.7.23. 제주 표선면 2017. 7. 28.
무당알노린재 갈색 바탕의 몸에 검은색 점각이 무척 많은 녀석이다. 2016.9.25. 원주 2019.7.24. 제주 매오름 2020.8.8. 제주 동백동산 2017. 7. 28.
섬휘파람새 고목 위에 노출되어 울고 있던 녀석이다. 빛 방향이 맞지 않아 명확치는 않지만 전반적인 몸색으로 보아 섬휘파람새 같다. 우는 소리도 뒷부분이 빠르고 짧게 들린다. 2017.4.22. 군산 야미도 갈대 사이로 간신히 얼굴과 몸을 보았다. 2022.2.11. 제주 하도리 2017. 7. 8.
으름덩굴 위의 작은 꽃이 수꽃, 아래의 큰 꽃이 암꽃이다. 암꽃의 모습 꽃의 모습이 독특하다. 집터 뒤에 덩굴이 굵다. 2017.5.6. 소청도 2020.5.1. 소청도 열매의 모습2020.8.9. 제주 교래자연휴양림 2017. 5. 7.
갯강구 해안 바위 주변을 빠르게 기어다니는 녀석들이다. 물 속에 있을 때와 물 밖에 있을 때 몸 색이 현저히 차이가 난다. 2016.9.26. 소청도2020.8.8. 제주 구좌읍 2017. 3. 4.
잔날개여치 Chizuella bonneti 겹눈 뒤에 흰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고, 앞가슴등판 테두리에 흰색의 테두리가 보인다. 2005.8.15. 원주 2011.4.14. 원주 2011.6.5. 원주 2011.6.30. 원주 2011.9.4. 원주 2016.4.15. 원주 2016.7.26. 원주 2017.8.8. 평창 2018.8.7. 인제 2018.8.12. 고한 2019.6.8. 봉화 2019.8.3. 원주 2020.4.13. 원주 2020.8.9. 제주 2020.8.29. 고한 2017. 1. 9.
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새로 포장한 등대 가는 길 가장자리에서 부스럭거려 녀석을 찾았다. 비늘없이 표면이 매끈하다. 2016.9.25. 소청도 2020.8.9. 제주 2016. 10. 3.
왕귀뚜라미 2005.7.26. 원주 약충의 모습 몸 가운데 흰 띠가 선명하다. 2006.6.25. 원주 2010.7.30. 원주 2010.8.15. 원주 머리 부분에 V자 모양의 갈색 띠가 도드라진다. 크기가 크고 자주 발견된다. 2013.8.3. 원주 2016.7.26. 원주 여기저기 흔하게 많이 관찰된다. 2017.7.16. 원주 대덕리 산란관이 제대로다. 2017.10.2. 여주 성충들이 바글거린다. 2018.9.29-30. 인제 연가리 2019.9.28. 충남 서천 2020.8.9. 제주 표선면 2020.8.11. 제주 표선면 2021.8.12. 원주 2016. 9. 17.
녹색콩풍뎅이 Popillia quadriguttata 색과 무늬가 비슷한 경우가 많아 풍뎅이 종류의 구분도 만만치 않다. 이 녀석은 가슴등판이 녹색 광택을 보이며, 딱지날개는 갈색 광택을 보인다. 2016.7.9. 원주 2017.7.8. 원주 2017.7.16. 원주 2019.7.25. 제주 2019.7.30. 원주 2020.7.5. 원주 2016. 7. 29.
관중 흔하게 만나는 녀석들인데, 자료화를 하지 않았다. 2016.5.15. 인제 연가리 2020.7.12. 설악산 2020.8.9. 제주 교래자연휴양림 2023.5.14. 함백산 2023.7.23. 울릉도 2016. 5. 21.
가는실잠자리 청실잠자리과에 속한 실잠자리 종류로 몸색이 무척 예쁜 녀석이다.몸매도 길고 날렵하다. 2011.7.4. 원주 호저면 짝짓기 모습2008.7.15. 원주 호저면 묵은실잠자리와 함께 성체로 월동을 하는 녀석이다.겨울을 잘 보내고 봄을 맞이하였다.2016.3.28. 백운산자연휴양림 지금까지 이 시기에 만난 녀석은 몸색이 하늘빛인데이 녀석은 겨울형처럼 갈색이다.2019.7.22. 제주 동백동산 2016. 4. 2.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법흥사 앞 구봉대를 오르는데, 길 옆에서 쉭쉭 소리가 난다. 뭐지, 하고 소리나는 방향을 바라보니 스르륵 지나가는 녀석이 있다. 렌즈로 쫓아가며 몇 장 사진을 기록했더니 이내 이렇게 몸을 말고 방어자세이다. 녀석의 붉은 혀를 담으려 했는데 아쉽게도 눈으로만 관찰했다. 덕분에 녀석의 정체는 금방 드러났다. 살모사는 검은색의 혀, 쇠살모사는 빨간색의 혀 2015.8.15. 영월 버섯 관찰 중 발 주변으로 지나가던 녀석 2017.7.25. 원주 2019.8.9. 인제 생태관찰로를 걷다가 함께 한 일행분이 밟을 뻔한 녀석이다. 2020.8.9. 제주 2015. 8. 16.
노랑띠의병벌레 Laius tsushimensis 딱지날개에 적황색의 넓은 띠가 있고, 무엇보다 독특한 더듬이가 특징적인 녀석이다. 무척 작은 녀석이다. 아무리 살펴봐도 참 요상하게 생긴 더듬이다. 2014.7.13. 원주 2019..7.24. 제주 2015. 7. 21.
풍이 참나무 수액에서 발견한 녀석이다. 금속성 광택이 나며 초록빛과 구릿빛이 섞여 있다. 머리 부분의 모양이 직사각형이다. 풍뎅이 종류가 아니라 꽃무지과에 속한 녀석이다. 2015.6.27. 제천 오름 정상부에서 붕붕거리며 날아다니던 녀석이다.잘 내려앉지도 않고, 착륙해도 빨빨거려서 찍기가 쉽지 않다.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5. 7. 3.
애사슴벌레 수액이 많이 흐르는 참나무류에서 녀석을 다수 관찰했다. 아무 생각없이 넓적사슴벌레라 생각했었는데, 자료를 찾아보니 이 녀석이다. 수컷의 경우는 일단 큰턱의 생김을 보면 종류가 구분된다. 2015.6.27. 제천 흙속에서 나온 작은 녀석 암컷의 딱지날개에는 세로줄이 나 있어 구분된다. 2015.7.28. 제천 2020.8.9. 제주 표선면 2015. 6. 30.
남방부전나비 날개 아랫면에 주황색 무늬가 없고 푸른부전나비와 비슷하나 검은 무늬가 더 크고 선명하다. 2008.8.17. 원주 2015.8.11. 홍천 삼마치 2008.10.17. 원주 2014.9.9. 원주 호저면 2015.8.14. 홍천 2016.10.11. 원주 대덕리 2016.10.20. 원주 대덕리 아랫지방에서 주로 보이는 녀석이라 이름도 남방이라 붙여진 듯한데 여기저기 많이 관찰된다. 2018.9.2. 원주 호저면 2019.7.13. 원주 호저면 2019.7.23. 제주 가세오름 2014. 11. 2.
물결나비 날개의 점무늬가 인상적인 녀석이다. 석물결나비와 흡사한데, 검은 점 안의 흰 점무늬가 원형이다. 2008.6.29. 원주 2017.7.16. 원주 대덕리 2018.7.8. 원주 대덕리 2018.8.1. 영월 도원면 2019.7.23. 제주 가세오름 2023.8.19. 원주 2014. 11. 2.
왕자팔랑나비 Daimio tethys 산길을 걷다 우연히 만난 녀석이다. 처음 만나는 사람들은 녀석을 나비보다는 나방으로 볼 듯도 하다. 날개에 있는 자개 느낌의 무늬가 독특하다. 2008.7.30. 원주 2016.5.2. 원주 2018.9.2. 원주 2019.7.24. 제주 제주도산은 뒷날개 윗면의 흰 무늬가 더 굵다고 한다. 2019.7.25. 제주 2020.6.7. 제천 2014. 10. 13.
굴뚝나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카메라 렌즈만 향하면 바로 옆으로 날라 제대로 포착하기 어려운 녀석이다. 2010.7.22. 원주 호저면 2011.8.5. 원주 2012.7.25. 원주 약간 밝은 몸색을 지닌 녀석 2012.7.27. 원주 한여름 숲속에서 흔히 만나는 다소 큰 녀석이다. 이름처럼 날개 윗면과 아랫면이 굴뚝 연기를 접한 듯 검다. 2013.7.20. 원주 태장동 2015.7.3. 원주 호저면 2017.7.8. 원주 대덕리 2017.9.2. 원주 대덕리 2018.7.7. 원주 대덕리 모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기록했다. 2018.8.12. 함백산 2019.7.20. 원주 주산리 2019.7.23. 제주 가세오름 오름 정상부는 녀석들의 천국이었다.엄청 많다.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4. 10. 13.
작은주홍부전나비 뒷날개 아랫면의 주홍색을 유심히 보면 큰주홍부전나비와의 차이가 느껴진다. 균일한 검은 반점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2011.7.6. 원주 앞날개 윗면의 검은 반점이 크고 뒷날개 윗면 주홍무늬에 자잘한 검은 반점이 보이지 않는다. 2008.7.1. 원주 2011.7.6. 원주 2012.6.9. 원주 2014.4.19. 원주 2014.8.28. 원주 2015.8.10. 학교 여러 마리가 관찰된다. 2016.4.28. 학교 2016.7.5. 원주 대덕리 2018.8.19. 제천 고명동 2019.7.23. 제주 가세오름 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4. 10. 12.
고려비단벌레 폐목에서 빠져나오려 무던히 애를 쓰던 녀석이다.한참을 지켜보아도 탈출 구멍이 작아 빠져나오지 못한다.2014.7.19. 청태산자연휴양림 숙소 주변에서 바닥을 기던 녀석을 발견했다.굳이 찾아다니지 않아도 잘 둘러보면 주변에 곤충이 보인다.2019.7.24. 제주 표선면 2014. 8. 27.
중국무당벌레 얼핏 보면 흔한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와 비슷해 보이나등의 검은 반점의 수와 크기가 확연히 다르다.2014.7.30. 원주 호저면 2019.7.22. 제주 다랑쉬오름 2014. 8. 10.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철새센터 주변 밭에서 발견한 녀석이다. 가만히 들여다보니 6381 금속 가락지를 차고 있다. 깃 상태도 좋고 생생하다. 수협 뒤 습지에 물 마시러 찾아온 녀석이다. 초등학교 주변 나무에서 만난 녀석이다. 아름다운 소리로 울어댄다. 그나마 녀석들이 제일 많이 보인다. 2014.4.26. 흑산도 2014.5.3. 홍도 깃 상태도 좋고, 오른쪽 발에 가락지를 차고 있다. 2014.5.5. 흑산도 2016.5.1. 외연도 여기저기 녀석들이 많이 보인다. 2019.4.21. 흑산도 2017.4.27. 외연도 2020.1.16. 제주 2014. 4. 29.
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가만히 들여다보면 참 예쁜 녀석인데,강원도에서 만나기는 만만치 않다.흔한 녀석이라 신경을 쓰지 않아서인지제대로 담긴 사진이 없다.2014.4.26. 흑산도    동백나무보다 다른 나무에서 여럿 보인다.번식중인지 애벌레 사냥에 한창이다.2014.5.5. 흑산도 내륙 같으면 참새나 멧새류였을 것인데섬에서는 동박새 무리 이렇게 떼로 날아간다.2016.9.26. 소청도   가락지를 달고 있던 예쁜 녀석이다.2019.4.21. 흑산도2020.1.16. 제주도 2014. 4. 29.
줄박각시 Theretra japonica 처가 대문 앞 머루 덩굴에서 발견된 녀석이다. 2013.10.4. 원주 변화 과정 관찰을 위해 채집해 왔더니 이내 번데기 틀 준비를 한다. 2013.10.6. 원주 며칠만에 선명한 색이 빠지고 갈색톤의 번데기가 되었다. 2013.10.9. 원주 건드려 자극을 해 보니 꼬리 부분의 침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방어를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녀석의 관찰은 여기에서 끝이 나 버렸다. 이후 기생한 녀석들이 뚫고 나와 바로 다른 번데기를 틀어버렸기 때문이다. 야생에서의 삶은 정말로 약육강식임이 분명하다. 이른 시기에 채집해 온 애벌레들은 사육을 해도 성충까지 관찰이 용이한데 이렇게 뒤늦게 발견하여 채집해 온 녀석들은 십중팔구 다른 녀석들이 출현한다.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알을 낳아야만 하는 곤충들의 삶과 그 생존.. 2014. 4. 1.
검정하늘소 병원 주차장 가로등 아래에서 만난 녀석이다.여름철 밝은 가로등 아래에는 참 많은 곤충들이 찾아온다.2011.8.13. 제천 명지병원 역시나 불빛에 날아든 녀석이다.이 녀석은 항상 늦은 밤에 만난다.2013.7.21. 고성 잼버리장. 2020.8.9. 제주 다랑쉬오름 2014. 4. 1.
벌등골나물 잎이 마주나게 달리고 세 갈래로 갈라져 있다.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그냥 등골나물 종류로만 분류해 두고 있다가 새 도감을 구입한 후 정확히 동정하였다. 2008.9.21. 원주 2013.10.13. 횡성 청일면 2017.9.16. 제천 고명동 잎의 특징이 확연히 드러난다.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8.8.10. 제천 고명동 2018.8.19. 제천 고명동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20.8.9. 제주 다랑쉬오름 2013.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