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팥바구미 Callosobruchus chinensis 산초나무 열매에 뚱뚱한 녀석이 나타났다.작고 빵빵한 녀석의 생김이 독특하다.전반적인 생김은 바구미 느낌이지만특유의 긴 주둥이는 보이지 않는다.2013.7.25. 원주 2013. 9. 14.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콩과 식물의 해충으로 굵고 넓적한 뒷다리에 톱처럼 잔가시가 나 있다. 2013.8.3. 원주 2010.7.22. 원주 2013.8.8. 원주 식물의 잎에 납작한 원형으로 붙어있는 갈색의 알 채집하여 키워본 결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임을 알았다. 2013.8.16. 원주 알껍질을 이렇게 찢고 약충들이 나왔다. 갓 부화한 약충들의 모습 긴 더듬이를 빼고는 모든 것이 개미와 흡사하다. 2013.8.9. 원주 2013.8.3. 원주 2010.10.12. 원주 2011.10.9. 원주 2013.8.20. 원주 2011.10.5. 원주 2011.10.9. 원주 알부터 성충까지 녀석의 정체를 한 번 파악하고 나니 이제는 주변에서 잘 보인다. 2014.5.31. 원주 2015.6.17. 학교 2015.7.30. 횡.. 2013. 9. 10.
큰넓적송장벌레 Necrophila (Eusilpha) jakowlewi jakowlewi 큰넓적송장벌레의 애벌레로 판단된다. 다른 동물의 사체나 배설물 주변에 모여들어 분해해주는 역할을 한다. 흔히 발견되는 녀석이다. 2013.8.3. 원주 2014.6.8. 원주 2014.7.29. 원주 개구리 사체를 뜯어먹고 있다. 뼈를 제대로 발랐다. 2013.8.1. 원주 2015.8.22. 원주 2019.5.24. 원주 2020.8.22. 제천 2021.8.10. 원주 2021.8.11. 원주 2021.8.12. 원주 2013. 9. 5.
개미반날개 개미반날개 종류가 많이 비슷해서 동정이 만만치 않다. 개미반날개,곳체개미반날개,청딱지개미반날개 내 눈엔 다 그놈이 그놈으로 보인다. 2011.8.16. 원주 2013. 9. 4.
배둥글노린재 이름처럼 정말 동글동글하다. 연한 몸에 검은색 작은 점각이 퍼져 있으며 작은방패판 끝에 흰색의 둥근 점이 있다. 둥글노린재류도 동정이 만만치 않다. 2013.8.3. 원주 태장동 2013. 9. 3.
대륙무늬장님노린재 Deraeocoris (Deraeocoris) olivaceus 광택이 나는 적갈색의 몸을 지닌 녀석으로 작은방패판과 앞날개 끝 부분에 황색의 무늬가 있다. 개체에 따라 황색보다 더 짙은 붉은색을 지닌 경우도 있다. 2013.7.6. 원주 2014.5.31. 원주 2021.7.21. 원주 2022.5.29. 제천 갓 탈피한 녀석이다. 몸색이 아직 자리잡지 않았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2.5.29. 제천 2013. 9. 3.
노랑털검정반날개 Agelosus weisei 머리와 날개가 노랗고,배마디에 두 쌍의 노란 점이 있다.다리는 적갈색을 띤다.검은색 바탕에 노란색이라눈에 확 들어오는 녀석이다.2013.8.8. 원주       이제서야 얼굴을 본다.2020.9.9. 학교 2013. 9. 3.
홍다리주둥이노린재 Pinthaeus sanguinipes 2011.7.21. 원주  2011.10.5. 학교 주둥이노린재류는 굵은 주둥이를 다른 곤충에 찔러체액을 빨아먹는 녀석들이다.자신의 몸보다 더 큰 애벌레 등을 잘 포식한다.맨 위의 사진은 녀석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데아래의 녀석은 아직 색이 짙어지지 않은 것인지몸색이 연하다.2013.8.1. 원주 2013. 9. 3.
갈색무늬긴노린재 앞다리의 넓적마디가 굵은 녀석이다. 크기는 작지만 확대해 보니 나름 예쁘다. 2013.6.14. 원주 2019.6.28. 학교 2023.6.10. 남원 정령치 2013. 8. 28.
가시점둥글노린재 크기가 다소 작은 녀석으로 전반적으로 몸이 둥글다. 앞가슴등판 옆에 가시가 나와 있다. 2013.8.3. 원주 태장동 2013.8.9. 원주 태장동 산란중인 녀석인데 노안으로 인해 미처 알을 발견하지 못했다.집에 돌아와 모니터로 확인하니 떡하니 알의 존재가 보인다.이른 나이에 빨리 찾아온 노안이라 큰일이다.2014.7.28. 원주 행구동 2016.4.28. 학교 2019.7.6. 원주 호저면 2019.8.1. 원주 주산리 2020.8.16. 원주 대덕리 2013. 8. 28.
홍비단노린재 Eurydema dominulus 2011.6.30. 원주 검은색과 주황색이 조화를 이룬 노린재이다. 북쪽비단노린재와 비슷하나 날개 부분에 삼각형 무늬가 있으며 앞가슴등판의 검은 무늬도 더 많다. 2013.6.29. 원주 붉은색이 더 짙은 녀석이다. 2014.7.19. 둔내 2020.5.25. 학교 2022.5.27. 학교 2013. 8. 25.
하늘소 Neocerambyx raddei 아파트 불빛에 날아든 녀석이다.크기도 크고 힘도 세다.2013.7.24. 원주 2013. 8. 25.
환삼덩굴애바구미 Psilarthroides czerskyi 2011.8.13. 원주 2013.6.29. 원주 2013.7.3. 원주 환삼덩굴 줄기에서 발견했다. 작고 시커먼 녀석들이 주둥이를 줄기에 꽂고 있다. 2013.7.25. 원주 무척이나 작은 녀석이 발발거리며 신선한 환삼덩굴 줄기를 기어다닌다. 접사의 큰 재미는 이렇게 작은 녀석들을 만나는 것이다. 2014.7.13. 원주 2013. 8. 23.
제일줄나비 Limenitis helmanni 줄나비 종류로 보인다.얼굴의 가시를 보니 제일줄나비 비슷해 보이는데,기생벌에게 당한 듯한 고치가 보인다.2011.6.5. 원주등에 짊어진 기생벌류의 고치가힘든 삶의 무게를 알려준다.2008.7.3. 원주 알도 찾았다.2012.6.10. 원주 2013. 8. 23.
벼물바구미 Lissorhoptrus oryzophilus 무척 작은 녀석으로미국 미시시피강 상류가 원산지인 녀석이란다.벼의 해충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2013.8.3. 제천2014.6.8. 원주 2019.6.20. 학교2019.6.24. 원주 2020.5.14. 원주 2013. 8. 23.
북방풀노린재 Palomena angulosa 2011.8.15. 원주 2013.7.6. 원주2011.9.4. 원주2011.7.21. 원주2011.9.4. 원주2012.9.23. 원주2011.8.15. 원주2006.5.29. 원주풀색노린재와 같은초록 몸을 지녔으나앞날개 막질부가 투명하지 않고어두운 갈색이다.2013.7.6. 원주 2014.7.19. 횡성2017.7.25. 원주 2017.8.8. 진부   2020.7.21. 원주 2024.8.5. 진부2024.10.4. 횡성 2013. 8. 23.
탈장님노린재 앞가슴등판 가운데에 검은색 원 무늬가 한 쌍 있다. 눈처럼 보인다. 특징적인 녀석이라 혼동할 여지는 없다. 2013.7.25. 원주 태장동 2014.6.29. 치악산휴양림 가끔씩 보는 녀석이지만, 생각만큼 사진으로 잘 기록하지는 쉽지 않다. 검은색 바탕의 몸에 제대로 포인트를 주었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어두운 계곡 참당귀 꽃 위에 앉아 있다. 2018.9.30. 인제 연가리 2019.8.4. 원주 주산리 2013. 8. 23.
더듬이긴노린재 Pachygrontha antennata 여름철 강아지풀에서 많이 보이는 녀석이다.첫째다리의 알통이 특징적이다.이름처럼 더듬이가 무척 길다.2013.8.3. 원주 약충의 모습2014.8.10. 원주2014.9.4. 학교2016.7.24. 원주2017.6.29. 학교  2017.8.2. 제천 2019.7.29. 원주 2019.8.3. 원주 2020.5.27. 학교 2020.5.28. 학교 2020.8.16. 원주 2020.9.3. 학교 2013. 8. 23.
톱사슴벌레 Prosopocoilus inclinatus inclinatus 2013.8.7. 원주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을채집해 관찰하다가채집 장소에 놓아주면서몇 컷 담았다.크기도 큰 녀석이고큰 턱도 아래로 제대로 휘었다.   수액이 흐르는 참나무에서녀석을 발견했다.아직 작은 녀석이지만 제법 생생하다.2013.8.15. 원주  2014.7.30. 원주 녀석들이 많이 산다.길 위로 툭툭 떨어진다.2021.8.10. 원주 2013. 8. 13.
참매미 Hyalessa maculaticollis '맴맴맴맴 매에-'하는 울음소리를 내는 녀석이다. 매미도 울음소리를 유심히 들어보면 쉽게 종 구별이 된다. 2013.8.10. 원주 학교 앞 버스정류장 주변의 단풍나무 여기저기에 녀석들이 붙어 있다. 2015.7.25. 원주 2015.8.11. 홍천 2018.7.29. 원주 야간 불빛에 날아와 부산스럽고 시끄럽게 돌아다닌다. 2018.8.8. 인제 2020.9.3. 학교 2013. 8. 13.
애매미 Meimuna opalifera 낮은 높이에서 울고 있는 녀석을 발견했다.배의 울림판이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했다.2013.8.3. 원주 2013. 8. 13.
게눈노린재 무척이나 작은 녀석이 칡잎을 기어다닌다. 자세히 살펴보니 막질부가 보이는 노린재류이다. 모니터로 확대해 보니 눈이 정말 게의 눈처럼 특징적인 녀석이다. 무척이나 예민하여 잎 위로 나올 때까지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주로 칡잎에서 발견된다. 2013.8.9. 원주 호저면 이번에도 칡잎 위에서 발발거리는 녀석을 만났다.작아서 사진 찍기 쉽진 않지만, 튀어나온 두 눈이 재미 있어 자꾸 셔터를 누른다.2020.8.22. 제천 봉양읍 2013. 8. 13.
큰장다리막대침노린재 Gardena melinarthrum 대벌레 비슷한 기다란 몸, 머리에 사마귀 다리와 흡사한 첫째 다리, 장님거미를 닮은 나머지 긴 다리, 그리고 가늘고 긴 더듬이가 특징적인 녀석이다. 습기 많은 참나무류 아래에서 발견했다. 2013.8.9. 원주 2013. 8. 12.
주홍박각시 Deilephila elpenor 애벌레 시기에 몸 옆면에 태극무늬가 특징적이다. 갈색형과 녹색형이 있으며, 크기가 무척 크다. 2008.7.28. 원주 2007.9.16. 원주 2008.7.28. 원주 2008.9.12. 원주 2007.9.16. 원주 2007.7.29. 원주 2013. 8. 9.
알꽃벼룩 Scirtes japonicus 온 몸에 흰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유충일 때는 물 속에서 생활한다고 한다. 2013.6.29. 원주 2016.5.26. 학교 2013. 8. 8.
작은네눈박이먼지벌레 무척 작은 녀석인데 딱지날개의 오렌지빛 무늬가 참 예쁘다. 곤충나라식물나라에서 동정해 주셨다. 2013.7.3. 원주 태장동 2013. 8. 8.
동쪽탈장님노린재 얼핏 탈장님노린재이겠거니 했는데 돌아와 모니터로 확인해보니 다른 점이 보인다. 검색하여 확인해보니 '동쪽'이라는 색다른 이름이 붙은 녀석이다. 황백색의 털이 온 몸을 뒤덮고 있다. 2013.7.25. 원주 태장동 들깨꽃에 눈에 익은 녀석이 있다. 2013.9.15. 원주 호저면 2013.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