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수염하늘소 Monochamus (Monochamus) urussovii 오래전 담아 놓고이제서야 꺼내 동정했다.긴 더듬이가 수염 같아서붙여진 이름일까?수염하늘소 종류들은다른 하늘소에 비해더듬이가 무척 길다.2011.8.27. 평창 2013. 6. 10.
소주홍하늘소 Amarysius sanguinipennis 개망초 위의 녀석을 발견했을 때얼핏 보고 여러 번 관찰한 홍반디라고 생각했었다.길고 굵은 녀석의 더듬이를 보는 순간비로소 녀석이 하늘소 종류임을 깨달았다.2013.6.9. 원주 2013. 6. 10.
아무르납작풍뎅이붙이 크기는 1cm도 되지 않는 녀석인데 몸 생김새가 독특하여 눈에 금방 들어온다. 이름을 검색해 보니 아무르납작풍뎅이붙이로 추정된다. 종 추가했다.^^ 2013.5.31. 학교 2013.6.14. 학교 2015.8.10. 학교 2020.5.11. 학교 2013. 6. 2.
사슴풍뎅이 Dicronocephalus adamsi 학교 체육관 뒤 벌채목 쌓아둔 곳에서여러 마리를 발견하였다.이름은 풍뎅이지만꽃무지아과에 속한 녀석이다.수컷의 모습이다.2013.5.31. 학교  암컷의 모습가슴등판의 모양이 둥글다.2014.6.8. 원주 하천 둑방길 옆에서 발견했다. 외형은 멀쩡하지만명을 다한 녀석이다.2024.7.20. 원주 2013. 6. 2.
깨다시하늘소 Mesosa (Mesosa) myops 학교 체육관 뒤 벌채목을 쌓아둔 곳에석들이 바글바글하다.줄잡아 대략 30-40마리 정도는 되는 듯 하다.여기저기서 짝짓기 중이다.    2013.5.31. 학교         2020.5.11. 학교  2020.5.25. 학교 2020.5.28. 학교2020.6.1. 학교 2020.6.12. 학교2020.9.22. 학교 2013. 6. 1.
다우리아사슴벌레 Prismognathus dauricus 온 몸이 적갈색이나 갈색을 띤 녀석으로경기, 강원 지역에 많이 서식한다.큰턱이 위로 휘어있고위로 향한 큰 돌기가 있다.몸색이 톱사슴벌레와 비슷해혼동할 여지가 있으나큰턱의 모양과앞다리 종아리마디 바깥쪽 돌기의크기와 유형이 다르다.2011.8.5. 철원  야간 불빛에 꽤 여러 마리가 날아온다.개체수가 많다.2017.8.18. 인제 2024.9.7. 횡성 2013. 3. 1.
홍다리사슴벌레 Dorcus rubrofemoratus rubrofemoratus 민통선 안 유격훈련장에서 발견하였다.큰턱의 1/3 지점 안쪽에 큰 돌기가 있으며사이에 잔 돌기가 있다.넓적다리마디와 배가 붉은색인 것이 특징적이다.큰 산 주변에 많다.2011.8.5. 철원       야간에 불빛에 날아온 녀석들을 채집해 두었다가다음날 굴참나무에 놓고 촬영하였다.채집통 안에서부터 수컷이 부단히도 집쩍대더니아니나 다를까 바로 짝짓기를 시도한다.2013.7.21. 고성불빛에 날아들었다.처음에는 톱사슴이겠지 했는데보다 보니 큰턱의 생김이 다르다.그제야 다리의 붉은색이 눈에 들어온다.2022.7.2. 제천 2013. 3. 1.
별쌍살벌 Polistes snelleni 처가 옆집 주목나무 가지 끝에녀석들이 집을 달았다.그리 예민하지 않아다소 가까이 촬영할 수 있었다.어리별쌍살벌에 비해 체구가 작고짙은 고동색과 갈색, 노란색이 잘 조합된 녀석이다.나무껍질과 타액을 섞어 집을 짓는다.2011.8.21. 원주  특이하게도하천 옆 전석으로 쌓아놓은화강석 구멍에 집에 지었다.2015.7.18. 원주 2013. 3. 1.
메추리노린재 2011.7.6. 원주 호저면 2012.6.26. 원주 호저면 2013.6.29. 원주 2015.7.19. 원주 태장동 약충의 모습 2017.7.8. 원주 대덕리 2019.6.1. 원주 매호리 2012. 9. 14.
깜보라노린재 이름처럼 온 몸이 시커먼 녀석이다. 작은방패판 끝부분에 큰 흰 점이 특징적이다. 2012.6.7 원주 태장동 2009.8.17. 호저 장구채에서 녀석을 발견했다. 녀석을 만난 시기가 가장 늦다. 2013.9.17. 원주 호저면 2014.8.11. 학교 2018.09.16. 원주 호저면 2012. 9. 11.
큰딱부리긴노린재 Geocoris (Piocoris) varius 딱부리는 눈이 크고튀어나와 있다는 뜻이다.등판이 길고 더듬이는 4마디,앞날개는 금빛을 띤다.2006.6.25. 원주   2012.8.9. 원주  2014.6.8. 김해 2014.7.30. 원주 2014.8.7. 원주  무언가 작은 사냥감을 잡았다.2016.5.19. 학교    대추나무에서 짝짓기 중인 녀석들을 만났다.2020.6.8. 원주 시골집 화단의 맨드라미에서녀석을 만났다.맨드라미 꽃도 확대하니정말 꽃다발이다.2024.8.24. 원주 2012. 9. 11.
둥글노린재 2011.7.5. 원주 호저면 앞가슴등판 앞쪽에 흑갈색 무늬가 2개이고 더듬이 4, 5 마디가 흑갈색이다. 2012.6.9. 원주 2014.7.20. 원주 태장동 풀밭 여기저기 짝짓기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익모초에서 많이 보인다.2014.7.29. 원주 행구동 2014.8.7. 원주 행구동 2019.7.20. 원주 주산리 2020.8.23. 원주 대덕리 2012. 9. 11.
점흑다리잡초노린재 Stictopleurus minutus 2008.8.17. 원주 2010.7.22. 원주  뒷다리 넓적다리 마디의검은색 큰 점이 특징적이다.개망초에서 자주 만날 수 있다.2011.8.13. 제천   떼허리노린재도 아닌 녀석들이엉겅퀴 하나에 몰려 있다.꽃을 빙 둘러강강수월래라도 하는 듯한 모습이다.2014.6.8. 원주 2014.7.29. 원주 2014.8.8. 원주 2014.8.10. 원주 2020.6.7. 제천 2024.9.22. 원주 2012. 9. 8.
상아잎벌레 Gallerucida bifasciata 2011.7.6. 원주 2015.8.15. 원주2019.5.26. 원주 2019.6.15. 원주 2022.4.22. 학교 2012. 9. 8.
삿포로잡초노린재 Rhopalus (Aeschyntelus) sapporensis 2011.7.17. 원주   발견되는 잡초노린재류는전반적으로 몸색이붉은 빛을 띠면 붉은잡초노린재뒷다리 넓적다리마디에 검은색 큰 점이 있으면점흑다리잡초노린재이 녀석은 작은 반점들만 있기에삿포로잡초노린재이다.2011.8.15. 원주 2011.7.5. 원주 2011.8.21. 원주 2013.7.6. 원주 2013.8.3. 원주 2013.8.1. 원주 2014.7.20. 원주 2014.7.26. 원주 2014.8.10. 원주   옆에서 지켜보니정말 잔털이 많다.배가 더 넓적하고아랫면이 좀더흰색을 띠고 있는 녀석이 암컷이다.짝짓기 중에 다른 수컷 한 녀석이비비대며 암컷 위로 접근한다.2014.8.11. 학교 2012. 9. 8.
청색하늘소붙이 Nacerdes (Xanthochroa) waterhousei 2006.6.4. 원주  플래쉬를 쓰니 딱지날개의 광택있는 청색이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하지만 깜깜한 밤이니 다른 방법은 없다.2012.6.23. 영월   2019.7.13. 영월 야간 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2022.7.2. 제천2024.6.14. 원주 2012. 8. 25.
사시나무잎벌레 Chrysomela populi 2012.6.9. 원주머리와 가슴은 광택이 있는 청남색이고딱지날개는 반들거리는 적갈색 또는 오렌지색이다.황철나무, 사시나무, 버드나무류의잎을 갉아먹는 해충이긴 하나참으로 예쁜 광택과 색을 지닌 녀석이다.2012.6.17. 영월 개체에 따라 색의 차이가 있다.2011.5.5. 원주    은사시나무의 새잎 주변에 녀석들이 많다.죄다 짝짓기 중이다.잎 뒷면에 노란색의 알은 누구의 알일까?2013.5.31. 학교 2012. 8. 19.
분홍거위벌레 Leptapoderus (Leptapoderidius) rubidus 2011.6.6. 홍천 이름은 분홍이지만 실상 오렌지색에 가깝다.검은색의 눈만 제외하곤 온 몸이 밝은 갈색이다.2012.6.3. 원주 2012. 8. 19.
목대장 Cephaloon pallens 황백색 개체2008.6.1. 원주 황색 줄무늬를 가진 개체위의 녀석과 무늬 패턴이 달라처음에는 줄각시하늘소인 줄 알았다.2011.6.6. 원주 카메라를 바꾸고 나서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고자연광으로 기록해 보았다.눈에 보이는 대로 기록되긴 하였지만전체 모습이 심도 깊게 표현되진 않는다.2015.5.10. 원주   2018.6.13. 홍천2024.6.1. 구례 2024.6.7. 진부 2012. 8. 19.
노랑배거위벌레 Cycnotrachelodes cyanopterus 북방거위벌레와 배의 색깔만 다르기 때문에이 녀석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구분할 수 없다.반드시 옆면을 담아두어야 확실히 동정할 수 있다.작은 곤충들을 만나 기록할 때는가능한 한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야 한다.2011.7.6. 원주 2011.7.17. 원주 2012. 8. 19.
북방거위벌레 Compsapoderus (Compsapoderus) erythropterus 온 몸이 다 검은색을 띤 거위벌레라구분하기 쉽다.여기에 배가 노란색이면 노랑배거위벌레,다리와 더듬이만 노란색이면꼬마혹거위벌레로 보면 된다.2011.8.15. 원주   2016.7.9. 원주  해당나무 잎을 돌돌 말아놓은거위벌레 종류의 알집이 보인다.  정체가 너무 궁금해 알집을 열어보니벌써 알에서 깨어난 작은 애벌레가둥그렇게 몸을 말고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자 사육통에 성충이 붙어 있다.해당화로 옮겨 녀석의 모습을 제대로 관찰한다.2019.7.3. 원주 2012. 8. 19.
극동왕침노린재 Epidaus tuberosus 소형 곤충의 체액을 빨아먹는 침노린재류 중 크기가 큰 편이며, 앞가슴등판에 검은색의 가시돌기가 있다. 2011.7.21. 치악산휴양림 2012.6.23. 주천 예전에 만났던 장소 부근에서 다시 만났다. 2013.7.6. 치악산휴양림 2014.6.29. 치악산휴양림 산에서 만난 약충의 모습이다. 붉은색의 무늬가 강렬하다. 2014.7.30. 원주 알에서 빠져나온지 얼마 안된 녀석으로 보인다. 배의 형태가 제대로 펴지지 않았다. 무지 작은 녀석인데다 어두운 환경에 플래쉬도 없다 보니 노이즈가 제대로다. 2018.8.1. 영월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6.26. 학교 2019.7.13. 영월 2020.6.1. 학교 2012. 8. 19.
검은띠쌍꼬리나방 Oroplema plagifera 날개의 모양이참 독특한 나방이다.뒷날개에 한 쌍의 꼬리가 보인다.2010.5.22. 원주새똥무늬로 위장하면서앞날개와 뒷날개의 형태가 다른독특한 녀석이라눈에 확실히 들어온다.2011.6.6. 원주  이 시기에 여기저기 많이 보인다.2012.6.3. 원주 2012. 8. 19.
넓적배허리노린재 Homoeocerus (Tliponius) dilatatus 약충의 모습연초록의 몸빛이 잘 어울린다.2011.8.15. 원주  성충의 모습 짝짓기 모습2012.6.7. 원주 2013.8.1. 원주 2014.5.31. 원주2014.7.27. 원주 칡 잎 위에 있던 녀석이다.약충일 때 초록색을 띠고 있다. 2014.7.29. 원주 몸색이 초록에서 서서히 갈색으로 변한다.2014.8.7. 원주    산란을 하려는 것인지한 장소에서 멀리 도망가지도 않고 자꾸 생식기를 내민다.30여 분을 지켜보았으나시간 여유가 되질 않아 생식기 부분만 확대 기록한 다음아쉽게도 철수했다.2014.8.9. 원주 2017.8.2. 제천 알에서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이다.2019.7.20. 원주 2012. 8. 19.
검정꼽등이 Paratachycines (Paratachycines) ussuriensis 한 때 연가시와 더불어아이들의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던 녀석이다.주로 어둡고 습한 곳을 좋아하는데,시골 단독주택에서는주로 화장실이나 욕실, 수도 주변 등에서 가끔 보인다.긴 더듬이가 주 감각기관이다.2012.6.23. 영월 2012. 8. 19.
검정테광방아벌레 Ludioschema vittiger vittiger 어릴 적에는 방아벌레라는 명칭보다똑딱벌레라는 말에 더 익숙했다.가슴등판과 딱지날개 사이를 구부렸다 튕기며도망가는 모습이 특징적이라똑딱벌레라 불렸던 모양이다. 이 녀석은 딱지날개 가장자리에검은 테두리가 있으며,가슴등판의 가운데에 검은색 세로줄이 있다.딱지날개의 귤색이 참 예쁜 녀석이다.2012.7.27. 원주 2011.7.5. 원주 2011.6.30. 원주 비 그친 뒤 아직도 물방울이 잎에 달려 있다.2013.7.7. 원주2019.7.20. 원주2021.7.23. 원주 2021.7.29. 원주 2012. 8. 19.
어리광대거품벌레 Mesoptyelus nigrifrons 2008.6.22. 원주   거품벌레류들은 보통 색도 밋밋하고그리 이쁜 편이 아니다.더구나 식물의 줄기나 잎에침 뱉어놓은 듯한 거품집을 짓기에호감을 가질 만한 인상을 주진 않는다.하지만  이 녀석은 황백색 바탕의 몸에검은 줄이 나 있어  세련되게 보이며얼굴 모양도 귀여운 편이다. 2012.6.10. 영월      2019.7.13. 영월 2022.5.29. 제천 2012.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