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점박이불나방 Agrisius fuliginosus 오렌지색의 머리와 꼬리,노란 바탕의 몸에검은색 점무늬가 많다.초록잎에 붙어 있으니눈에 확 들어온다.2006.9.28. 원주2008.7.28. 원주열심히 나뭇잎을 갉아먹고 있다.2008.9.12. 원주2011.6.30. 원주2011.7.5. 원주 2018.7.5. 원주 2013. 11. 5.
늦반딧불이 Pyrocoelia rufa 처가 동네에서 반딧불이를 만난 건 처음이다. 어린 시절 밤하늘을 신비하게 만들어주었던 녀석들인데 이제는 너무 보기 힘들어졌다. 시내 가까운 곳에서 다시 녀석을 만나니 반갑기 그지 없다. 기록만 남기고 바로 놓아주었다. 수컷의 모습 2013.9.20. 원주 유충의 모습 2015.8.15. 학교 암컷의 모습 머리를 빼고는 수컷과 너무 다르다. 날개가 없어 비행하지 못하고 바닥을 기어다닌다. 2018.9.25. 원주 2020.8.11. 제주도 2013. 11. 5.
금빛갈고리밤나방 머리와 다리 부분만 제외하고 온 몸이 검은 녀석이다. 노란 머리에 검은색 점이 있다. 금꿩의다리를 식초로 하는 북방갈고리밤나방과 생김이 비슷하다. 시기상으로 보아 선괴불주머니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듯 하다. 2011.6.6. 치악산휴양림 2013. 11. 5.
환삼덩굴좁쌀바구미 Cardipennis shaowuensis 워낙에 작은 녀석이라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환삼덩굴과 함께 담았다.작은 새순 위에 앉은 녀석이니크기가 짐작될 것이다.환삼덩굴에서 자주 보인다.2008.8.31. 원주    이름처럼 정말 작은 녀석이다.2014.7.27. 원주 2024.9.22. 원주 2013. 11. 5.
유리산누에나방 Rhodinia fugax 낙엽이 진 늦가을에서 이듬해 이른 봄까지 초록색의 고치가 눈에 잘 들어온다. 제법 크고 고치주머니의 생김도 독특하다. 2013.10.12. 원주 여러 번 빈 고치주머니를 관찰했었는데 이번에 관찰한 녀석은 제법 묵직하고 닫혀 있다. 채집하여 집에 가져왔더니 14일만에 녀석이 나왔다. 베란다 화분에 두었었는데 이른 아침 빠져나와 날개를 말리고 있다. 날개가 말라갈수록 녀석의 아름다운 날개가 눈에 들어온다. 2013.10.26. 원주 여기저기 많은 수의 고치가 눈에 보인다. 대부분은 이렇게 기생당한 흔적이 있다. 기생벌일지 고치벌일지 알 수는 없지만 야생에서 꽤 많은 녀석들이 이렇게 점령 당해 사라지고 있다. 2013.12.14. 원주 고치집의 모습이 녀석들의 운명을 짐작하게 한다. 고치벌이나 새 같은 천적에.. 2013. 10. 28.
주름개미 2008.9.3. 원주 참나무 밑둥 부분의 흙을 정리했더니 녀석들이 온통 야단이다. 개미는 항상 우리 가까이에 있으면서도 여지껏 별로 신경쓰지 않았다. 사진으로 담기 까다롭고 동정도 만만치 않지만 이렇게 하나하나 기록하다 보면 보는 눈도 생기지 않을까? 2011.4.17. 원주 호저면 커다란 돌을 들추니 큰집게벌레의 잘린 배가 드러났다. 주변으로 잔뜩 모인 일꾼들 정신없이 바쁘다. 카메라는 신경도 쓰지 않는다. 2023.9.24. 원주 2013. 10. 23.
왕밑빠진벌레 Phenolia (Lasiodites) borealis 여름밤 불빛에 날아온 녀석을 발견했다.딱지날개에 희미한 무늬가 보인다.곤충나라식물나라에서 이 녀석으로 추정해 주셨다.2013.7.24. 원주 2013. 10. 21.
줄납작밑빠진먼지벌레 Parena latecincta 무늬도 독특하고 이름도 길다.딱지날개의 검은 테두리가둥글게 무늬를 형성한다. 2013.9.21. 원주 2013. 10. 21.
보라거저리 참나무류 껍질 속에 숨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플래쉬를 터뜨려 제 색이 나오진 않았지만 몸에서 보랏빛의 광택이 나는 녀석이다. 이름도 걸맞게 잘 지어졌다. 2013.10.12. 원주 호저면 2013. 10. 21.
산개미거미 깡충거미과에 속한 녀석으로 개미를 의태하였다. 암컷으로 보인다. 2013.10.12. 원주 호저면 2020.8.22. 제천 봉양읍 2023.9.25. 원주 2013. 10. 20.
섬서구메뚜기 Atractomorpha lata 가을철 흔히 만나게 되는 녀석이다.갈색형과 더불어 짝찟기 중이다.암수의 크기 차이가 확실히 나타난다.주변 상황에 따라더듬이의 각도가 달라진다.2005.8.30. 원주잎사귀 위에남쪽날개매미충과 나란히 앉아 있다.2006.8.22. 원주 짝짓기의 모습이흡사 자식을 업은 것처럼 보인다.하지만 녀석들의 배끝은서로 맞닿아 있다.2008.8.31. 원주2013.9.20. 원주몸에 분홍색이 약하게 도는 녀석이다.2015.8.22. 원주 2016.6.26. 원주 2016.7.24. 원주 2016.10.8. 원주2017.7.8. 원주 2017.8.26. 원주  2017.9.2. 원주 2017.9.16. 제천 2018.9.26. 원주 2019.8.29. 원주 2020.7.25. 원주 2024.8.24. 원주 2013. 10. 20.
풀잠자리 일종 마른 식물잎과 껍질을 등에 잔뜩 지고 기어다니던 녀석이다. 움직이길래 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2013.8.8. 원주 태장동 움직이지 않으면 구별이 어렵다. 2013.9.17. 원주 호저면 채집하여 정체를 파악해 보았다. 풀잠자리목에 속한 녀석으로 정확한 동정은 어렵다. 2013.9.28. 원주 태장동 2013. 10. 19.
흰무늬왕불나방 Aglaomorpha histrio 정체 파악을 위해 채집해 온알이 곧 부화될 듯하다.동그랗고 노랗던 알이 이렇게 변했다.2013.8.6. 원주 아니나 다를까하루만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2013.8.7. 원주 하루만에 몸색이 진해지고 눈에 띄게 성장했다.먹성이 좋다.2013.8.8. 원주 2013.8.31. 원주2013.9.1. 원주 몸도 크고 털도 빽빽하다.그렇게 예쁜 모양은 아니다.2013.9.8. 원주탈피하여 번데기가 되었다.벗은 애벌레의 허물이 생생하다.빠져나와 번데기가 된 것인지,애초에 번데기로 빠져나온 것인지제대로 관찰하지 못해 아쉽다.2013.9.21. 원주2013.9.23. 원주  번데기가 굳고 색도 진해졌다.이 안에서 어떤 생명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지정말 궁금하기만 하다.2013.9.24. 원주  드디어 녀석이 우화했다... 2013. 10. 12.
콩독나방 올해는 유독 곤충의 알을 여러 번 발견했다. 정체가 궁금해 집에 채집해 왔더니 이렇게 많은 녀석들이 꿈틀대며 부화하였다. 2013.8.21. 원주 태장동 몸에 잔 털이 있으며 흰색의 띠가 두 군데 있다. 2013.8.31. 원주 왕성한 식욕으로 식사를 하더니 쑥쑥 자라 이렇게 껍질을 벗는다. 2013.9.1. 원주 등쪽의 털이 흰색 띠 사이에 빽빽하게 집중되며 머리 부분에도 흡사 더듬이 같은 털이 길게 나 있다. 2013.9.8. 원주 등쪽의 털이 갈색으로 변했다. 2013.9.15. 원주 한 녀석이 실을 내어 고치를 만들고 있다. 좀더 빨리 고치를 튼 녀석 고치를 벗긴 다른 녀석의 모습이다. 어느새 애벌레의 허물을 벗고 번데기가 되었다. 번데기 곳곳에 잔 털이 있고, 등쪽으로는 식물에 잘 붙을 수 있도.. 2013. 10. 7.
호랑나비 Papilio xuthus 산초나무에 있던애벌레의 정체를 파악하고 관찰하기 위해몇 마리 집에 데려왔다.새똥무늬로 위장한 녀석이다.2013.8.31. 원주   갈색의 몸색이 초록으로 바뀌었다.비로소 녀석의 정체가 파악되었다.호랑나비 애벌레였다.2013.9.8. 원주번데기가 되기 위해사육통 벽을 기어올라가 몸을 고정했다.머리와 가슴을 숙이고 몸을 움츠려세로벽에 붙어 있다.꼬리 부분에서 실을 내어단단히 사육통 벽에 붙고몸 중간에서 한 가닥 실을 내어떨어지지 않도록 몸을 고정했다. 얼마 간의 시간이 경과되자형태가 이렇게 변해버렸다. 번데기의 형태가 더 부드러워지고색도 확실히 고정되었다. 2013.9.10. 원주 번데기 껍질이 말라 딱딱해지며초록색도 많이 바랬다.2013.9.14. 원주  탈피가 임박해진 듯하다.번데기 껍질 안으로 날개와 .. 2013. 9. 21.
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 사마귀류의 경우 앞다리 사이 가슴의 색깔이 주황색이면 사마귀, 연노랑색이면 왕사마귀. 앞다리 첫째 마디에 검은점 바탕에 흰점이 있고 가운데 마디에 노란 반점이 있으면 항라사마귀, 앞다리 첫째 마디에 검은 무늬가 있고 가운데 마디에 검은 무늬에 흰색 반점, 그리고 자주색 무늬가 있으면 좀사마귀이다. 2013.9.15. 원주 끝검은말매미충을 사냥해 뜯어먹는 녀석 2013.8.15. 원주 쉽싸리에 잠복하고 있다가 벌 종류를 사냥해 식사중이다. 2018.9.16. 원주 2018.9.26. 원주 2019.8.2. 원주 2019.7.20. 원주 2019.7.30. 원주 알집의 모습 2020.4.18. 원주 2013. 9. 21.
남쪽날개매미충 2011.8.13. 제천 청회색의 몸을 지닌 녀석이나 개체마다 약간씩 차이가 난다. 회색 가루가 온 몸에 붙어 있다. 2013.8.1. 원주 태장동 2016.8.1. 원주 대덕리 하천가 갈대밭에 녀석들이 덕지덕지 붙어 있다. 개체수가 엄청 많다. 2016.8.14. 원주 대덕리 2017.9.2. 원주 대덕리 2018.8.19. 원주 대덕리 2018.9.2. 원주 대덕리 2020.8.16. 원주 대덕리 2013. 9. 21.
약대벌레 분교 체험학습장 울타리에서 만난 녀석. 울타리 밖은 덤불이었고 촬영은 난감했다. 마름모꼴의 울타리 사이로 녀석의 모습을 겨우 담을 수 있었다. 크기는 작지만 생김이 독특한지라 제대로 담고 싶었는데... 이 두 장의 사진 외에는 남은 기록이 없다. 사람들에게 해로운 곤충들을 먹이로 하기에 익충이라 할 수 있겠다. 2013.6.15. 원주 신림면 2013. 9. 21.
장흙노린재 Pentatoma semiannulata 다른 노린재들에 비해크기도 크고 몸색도 잘 나타난 녀석이다.녀석을 동정하는데 크게 혼동될 일이 없다.2013.7.6. 원주2011.8.5. 원주2014.8.16. 원주  2017.8.3. 원주  2018.8.7-8. 인제 2024.7.14. 정선 2024.7.26. 원주 2024.8.14. 원주 2013. 9. 21.
홍색얼룩장님노린재 Stenotus rubrovittatus 2011.7.28. 제천  전체적인 색과 무늬를 고려해보면홍색얼룩장님노린재와 비슷한데...아직 어린 녀석이라 그런지 색이 뚜렷치 않다.도감에는 벼과 식물을 좋아한다고 나오는데...이 녀석은 뜬금 없이논 주변이 아니라 산골짜기에서 만났으니...동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자신이 없다.2012.6.3. 원주      추석 연휴 처가앞 논두렁에서 만났다.벼과 식물에 여러 마리가 붙어 있다.2013.9.20. 원주  2013.10.6. 원주 2018.9.25. 원주 2019.7.24. 제주 2013. 9. 20.
짧은알락긴노린재 2013.8.3. 원주 2013. 9. 20.
일본날개매미충 2013.8.8. 원주 태장동 2012.7.27. 원주 호저면 날개 양끝의 검은 무늬가 특징적이며 투명한 띠가 두 줄 있다. 나머지 부분은 황백색 가루로 덮여 있다. 2010.7.29. 원주 호저면 약충의 모습몸의 황색 무늬가 독특하다.2019.8.1. 원주 주산리 2013. 9. 16.
대만수염진딧물 고들빼기류의 줄기와 잎에 다닥다닥 붙어 있던 녀석들이다. 어린 녀석들은 온통 빨간색이나 큰 녀석들은 몸 중간이 검다. 2013.8.1-3. 원주 호저면 2013. 9. 16.
박주가리진딧물 Aphis (Aphis) nerii 박주가리를 기주식물로 하는 녀석이다. 초록 줄기에 노란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2004.6.24. 원주 2006.8.22. 원주 선명한 색상으로 눈에 확 들어오는 녀석들 2014.9.4. 학교 2015.8.22. 학교 역시나 여름철 박주가리 곁에서 녀석들은 살판이 났다. 2017.8.2. 제천 2013. 9. 16.
금강산귀매미 Neotituria kongosana 매미목에 속한 녀석으로 다 자라면 납작했던 몸이 위로 돌출되며 갈색톤으로 변한다. 2013.8.15. 원주 2012.9.1. 원주 2018.11.5. 학교 2020.7.21. 원주 2013. 9. 16.
큰얼룩밑빠진벌레 Soronia fracta 수액이 흐르는참나무류의 껍질에서 발견하였다.딱지날개에 적갈색의 무늬가 있으며앞가슴등판이 울퉁불퉁하다.2013.8.15. 원주 2013. 9. 15.
납작먹좀벌과 (Platygastridae) 기생벌 종류가 산란을 위해나방류의 알집에 몰려 들었다.2013.8.20. 원주산초나무 잎 뒤편에서노린재류의 알집을 발견했다.정체를 파악하기 위해 채집하였다.2013.8.31. 원주무엇인가 빠져나온 흔적을 관찰했다.뚜껑이 열고 나온 것이 아니다.비정상적인 구멍이 나 있다.   작은 녀석이채집통 안에서 부산스레 움직인다.2013.9.7. 원주 2013.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