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750

부처사촌나비 뱀눈나비과에 속하며 자세히 살펴보면 부처나비와 무늬가 다르다. 2007년 2012. 8. 18.
곰개미 애벌레를 자신의 집으로 옮겨가고 있는 개미의 모습 자신보다 큰 먹이이다보니 옮겨가는 일이 만만치 않은 듯 하다. 2007년 2007.7.5. 호저면 부슬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곰개미 한 마리는 푸른부전나비의 꼬리를 물고 자기 역할에 충실하다.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한다.2019.7.20. 원주 주산리 2012. 8. 18.
제비말매미충 무척이나 작은 녀석이다. 날기 위해 날개를 편 순간을 운 좋게 포착했다. 2007년 2012.6.17. 주천 2013.6.15. 원주 신림면 2017.7.27. 진부 장전계곡 2012. 8. 18.
큰검정들모기 Armigeres (Armigeres) subalbatus 올 여름 온 몸에 상처를 주었던 처가 모기들이다. 2018.9.16. 원주 시골집에 대량 발생했다. 방문할 때마다 몇 방씩은 기본이다. 2023.9.8. 원주 2012. 8. 18.
만주거품벌레 버드나무 가지나 풀의 줄기에 흰 거품이 붙어 있는 것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거품벌레의 집인데, 이 녀석도 그 중 하나이다. 눈에 검은 가로줄이 가 있는 모습이 졸린 모습처럼 보여 기억에 남는다. 2005.9.21. 원주 2012. 8. 18.
큰자루긴수염나방 암수의 더듬이 길이가 확연히 차이 난다. 긴 녀석이 수컷. 짝짓기 모습 2011.6.5. 홍천 삼마치 암컷의 모습 더듬이가 짧다. 수컷의 모습 더듬이가 길다. 2012.6.10. 둔내 2012.6.17. 원주 2013.6.15. 신림면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20.6.4. 학교 2020.6.8. 학교 2023.6.10. 남원 2012. 8. 18.
깜둥이창나방 나방이지만 주로 낮에 활동하며 여러 꽃에 모여드는 녀석이다. 날개 가운데에 반투명한 부분이 있으며 적황색의 점이 흩어져 있다. 개망초 등 여러 꽃이나 습지에 잘 날아온다. 한낮, 토끼풀 위에 앉아 쉬고 있다. 2011.6.19. 호저면 2016.6.12. 원주 대덕리 2018.6.16. 원주 대덕리 2019.6.29. 원주 매호리 2020.5.25. 학교 2012. 8. 18.
썩덩나무노린재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약충들이 모여 있다. 2011.7.6. 학교 약충의 모습 2011.7.9. 호저 월동중인 녀석 같진 않은데... 눈 위에 죽어 있는 모습. 2011.1.17. 원주 약충의 모습 2011.10.5. 학교 2011.8.13. 제천 산초나무 잎 뒤에서 부화한 녀석들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10. 원주 행구동 2018.10.16. 학교 2020.8.23. 원주 대덕리 2012. 8. 18.
주둥이노린재 애벌레의 체액을 빨아먹고 있다. 2011.8.15. 호저면 약충 2011.7.5. 호저면 나무를 기어가는 녀석의 모습을 발견했다. 뭔가 이상하다 싶더니 작은 애벌레를 사냥해 먹고 있다. 2013.7.25. 원주 태장동 쥐방울덩굴 주변에서 꼬리명주나비 애벌레를 사냥하여 흡즙하고 있다. 2016.6.30. 원주 호저면 2019.7.6. 원주 호저면 2019.7.25. 제주 백약이오름 2019.8.3. 원주 태장동 2019.10.20. 원주 대덕리 2020.4.14. 학교 2012. 8. 18.
거위벌레 암컷의 모습 머리 부분이 더 길쭉한 수컷의 모습 2011.9.4. 치악산휴양림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2. 8. 18.
방울실잠자리 Platycnemis phyllopoda 사랑의 하트를 만드는 방울실잠자리의 짝짓기 수컷의 가운데 다리와 뒷다리 종아리마디가 흰색으로 긴 타원형의 넓적한 방울모양이다. 잔인하고 번식에 집착이 강하기로 소문난 잠자리 교미기에 암컷의 배가 잘려 붙어 있다. 둘째, 셋째 다리의 종아리 마디 방울 형태는 암컷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수컷만의 특징이다. 2009.6.21. 원주 방울 모양의 다리와 색으로 보아 미성숙 수컷으로 보인다. 2010.7.10. 원주 2010.7.30. 원주 2011.6.30. 원주 2015.7.19. 원주 2016.6.19. 원주 2018.6.23. 원주 2019.6.29. 원주 2019.6.30. 원주 2021.7.29. 원주 2012. 8. 15.
큰뱀허물쌍살벌 뱀허물쌍살벌보다 전체적으로 색이 옅고 더듬이 사이의 오각형 부분에 검은색 세로줄이 없다. 집도 뱀허물처럼 길게 짓지 않고 나뭇잎이나 처마 아래, 바위 아래 등에 둥근 모양으로 짓는다. 사진은 참나무 잎에 지은 집이다. 2011.8.15. 원주 호저면 모두 같은 녀석이다. 한 녀석이 비실비실하기에 원없이 기록했다. 더듬이 사이 오각형 부분의 검은색 세로줄이 확실히 없다. 2012.9.23. 백운산 자연휴양림 나뭇잎 뒤에 붙인 집의 형태가 원형이다. 한 녀석만 보인다. 2014.6.14. 황둔자연휴양림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8.8. 원주 행구동 등산로 가까운 바위에 집을 마련했다. 2016.8.27. 치악산 이제는 둥지의 형태만 봐도 쉽게 구별이 된다. 2017.8.18. 인제 연가리 2.. 2012. 8. 15.
남색주둥이노린재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모여 있는 약충들의 모습 주둥이노린재류는 이렇게 주둥이를 빨대 삼아 먹이의 체액을 빨아 먹는다. 2011.6.30. 원주 거의 다 자란 약충의 모습 성충 될 날이 멀지 않은 듯 하다. 2011.8.14. 제천 성충이 되니 몸 전체에 남색 광택이 난다. 2011.8.13. 제천 플래쉬 없이 자연광으로 기록하니 색이 제대로이다. 2016.6.17. 원주 대덕리 2012. 8. 14.
다리무늬침노린재 Sphedanolestes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냄새보다는 침으로 자신을 방어하고 공격한다. 손으로 함부로 만지다간 쏘이게 된다. 2007년 무당벌레 사냥에 성공해 체액을 빨아먹으려 하고 있다. 2008년 2011.6.19. 원주 짝짓기 모습 2011.7.5. 원주 2011.7.16. 원주 침노린재류 중 관찰 빈도가 높은 녀석 중의 하나이다. 2014.5.31. 원주 2015.7.19. 원주 2016.6.19. 원주 2016.7.10. 원주 2017.6.11. 영월 약충의 모습 2018.9.26. 원주 2019.6.8. 봉화 2019.6.16. 원주 2019.7.9. 학교 2019.7.23. 제주 다리에 오렌지색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지금까지 봐왔던 녀석들은 검은색과 흰색의 띠 무늬였는데 이 녀석은 오렌지 색으로 멋을 부렸다. 지역적 변이로 봐야하.. 2012. 7. 8.
거꾸로여덟팔나비 날개를 펴고 앉아 있는 모습을 잘 관찰하면 거꾸로 된 여덟 팔자 무늬가 보인다. 2011.7.21. 치악산휴양림 가까이서 먹이활동을 하는 착한 녀석을 만났다. 이곳엔 늘 이 녀석이 많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17.8.8. 진부 장전계곡 벌등골나물에서 만났다.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 2021.7.22. 치악산휴양림 2012. 7. 8.
싸리남색거위벌레 다른 거위벌레들에 비해 다소 뭉툭한 생김새이지만 남색의 금속광택이 예쁘다. 2012.6.26. 원주 호저면 2020.5.31. 원주 2012. 7. 8.
혹바구미 Episomus turritus 바구미 중에서 덩치가 좀 큰 편에 속하는 녀석이다. 물론 왕바구미 만큼은 아니지만. 딱지날개 아래에 2개의 혹이 돌출되어 있다. 2012.6.17. 영월 위험을 느끼니 바로 아래로 떨어진다. 다시 주워서 칡 잎 위에 올려놓으니 죽은 척이다. 2019.7.13. 영월 예덕나무에서 만났다. 2020.8.8. 제주 2012. 7. 8.
떼허리노린재 2007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한 녀석보다는 떼로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짝짓기도 떼로 한다. 2012.6.7. 학교2020.8.9. 제주 표선면 2012. 7. 7.
삼하늘소 날기 위해 날개를 펴는 순간을 운좋게도 포착하였다. 2006.7.21. 원주 작지만 회색과 검은색의 조화가 멋지다. 정면에서 바라본 녀석의 얼굴 2009.6.24. 원주 법흥사 경내에서 만난 녀석 오랜만의 만남은 늘 그렇듯 반갑다. 2012.6.16. 주천 예민하지 않은 개체라 크게 담을 수 있었다. 2013.6.15. 원주 신림면 딱지날개에 검은색 줄무늬가 없는 녀석도 보인다. 2014.6.8. 원주 호저면 정면에서 가까이 바라본 하늘소류의 얼굴은 언제 봐도 특징적이고 멋지다. 2015.7.29. 원주 호저면 녀석들의 짝짓기 장면을 훔쳐보았다. 2016.6.6. 원주 대덕리 2016.6.17. 원주 대덕리 2017.7.8. 원주 대덕리 2017.7.8. 원주 대덕리 한쪽 날개가 손상되어 있던 녀석이다... 2012. 7. 7.
밀감무늬검정장님노린재 약충의 모습 얼핏 보면 진딧물처럼 보인다. 2012.6.7. 학교 성충의 모습 2011.7.4. 호저면 2013.6.15. 원주 신림면 어깨등판 앞쪽이 황색을 띠는 녀석도 있다. 2013.6.29. 원주 태장동 회색가루를 뒤집어 쓴 약충들이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주변 풀밭은 노린재들의 천국이다. 2014.5.31. 원주 태장동 2015.6.4. 학교 가슴등판의 밀감무늬, 황색이 제대로 나타나 있는 녀석이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7.5. 학교 2020.6.7. 제천 2012. 7. 7.
땅강아지 Gryllotalpa orientalis 2006.9.28. 원주 메뚜기목에 속한 녀석으로 농약 사용이 빈번해진 이후로 자주 만나긴 힘들어진 녀석이다. 2012.6.9. 원주 언제 만나도 반가운 귀여운 녀석이다. 어릴 적 부모님 따라 밭에 갔다가 흙장난을 할 때 자주 만났던 녀석이다. 2013.8.24. 원주 2014.7.27. 원주 2019.8.1. 원주 옹달샘에 둥둥 떠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젖은 흙으로 들어가려 안간힘을 쓴다. 2020.7.5. 원주 2012. 7. 4.
북쪽비단노린재 Eurydema gebleri gebleri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그것도 성장 시기가 다른 녀석들이 함께 있다. 비록 가뭄으로 기주식물은 바짝 말랐지만, 녀석들의 움직임은 신속하다. 잘 찾아보면 홍비단노린재도 보인다.^^ 2012.6.26. 원주 2011.6.30. 원주 짝짓기 모습 2014.6.8. 원주 2014.7.2. 원주 겨자채 잎을 너덜너덜하게 만들어놓았다. 북쪽비단노린재도 함께 있다. 2019.6.23. 원주 2020.5.25. 학교 2012. 7. 3.
황호리병잎벌 벌치고는 참 화려한 색의 소유자다. 더듬이와 다리는 노란색과 갈색, 가슴과 배부분은 노란색, 검은색, 갈색으로 되어 있다. 잎벌류는 주로 식물의 잎이나 나무의 속을 갉아먹는 원시적인 녀석들이 대부분인데, 그래서 식물에게는 해를 끼친다. 2006.6.4. 원주 2011.6.6. 치악산휴양림 2014.05.10. 원주 2012. 7. 3.
줄점팔랑나비 엉겅퀴꽃의 꿀을 빨아먹는 녀석 2007.10.1. 원주 2007.7.21. 원주 나비 중에서도 팔랑나비류는 동작도 민첩하고 예민한 편이다. 접사 촬영이 까다로운 녀석들 중 하나다. 2007.9.26. 원주 사데풀 꿀을 빠는 녀석 2018.10.9. 서천 유부도2019.9.29. 서천 유부도 2012. 7. 3.
희미무늬알노린재 2007.7.22. 원주 무척 작은 녀석들이지만 번식을 향한 행동은 변함이 없다. 2011.7.5. 호저면 점무늬 모양과 더듬이의 마디수로 알노린재과를 구분할 수 있단다. 황백색 점이 매우 작아서 보일 듯 말 듯 하다. 2010.7.18. 호저면 2012. 7. 3.
네발나비 Polygonia c-aureum 꿀을 빨아먹고 있는 네발나비의 모습 안과 밖의 무늬가 다르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비 중 하나이다. 2015.7.29. 원주 산국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2016.10.11. 원주 2016.10.20. 원주 2018.7.8. 원주 2018.7.22. 원주 애벌레의 모습 기주식물인 환삼덩굴 잎에서 발견했다. 2018.9.2. 원주 2018.9.16. 원주 2019.7.23. 제주 가을 들녘에 개쑥부쟁이와 산국이 지천이다. 네발나비도 그 향에 취해 죄다 몰려나왔다. 2019.10.19. 원주 2020.7.30. 원주 2021.8.4. 제천 2021.8.12. 원주 2012. 7. 3.
털보바구미 2007년 2011.6.5. 홍천 삼마치 배의 끝부분과 뒷다리에 많은 털이 붙어있어 털보라 불리는 듯하다. 바구미류들은 위험을 감지하면 몸을 웅크리고 바닥으로 그대로 떨어져 자신을 숨기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녀석들이 알아채지 못하도록 최대한 조심해서 촬영해야 성공할 수 있다. 2012.6.10. 둔내 2014.6.14. 황둔자연휴양림 2016.6.4. 강원도자연학습원 여기저기 많이 관찰된다. 2019.6.8. 경북 봉화 2019.7.13. 영월 도원리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21.7.22. 치악산휴양림 2012.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