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큰황색가슴무당벌레 Coelophora saucia 딱지날개에 붉은 원형의 점이 있고가슴등판 양 옆에 흰색의 큰 원형 점이 있어딱지날개에 작은 원형의 붉은 점만 지닌애홍점박이무당벌레와 구분된다.무당벌레류가 워낙 무늬와 색의 변이가 많아사진으로 기록해 두어도 막상 이름을 불러주려면 만만치 않다. 2013.10.12. 원주 2014.8.23. 양평 2018.9.2. 원주 2014. 8. 13. 참딱부리긴노린재 Geocoris (Geocoris) pallidipennis 여름철 풀을 메다보면흙 속에서 다양한 곤충들이 발견된다. 큰딱부리긴노린재의 약충이겠거니 했는데나중에 찾아보니 전혀 다른 녀석이다. 땅바닥과 흙 속을 뒤지다보면처음 만나는 작은 생명들이 많은데노린재류의 약충들이 많이 보이는 편이다.식물을 살피는 것도 좋지만때론 이렇게 흙과 바닥을 살피는 것도 새로운 녀석들을 만나는 좋은 방법이 된다..2014.8.11. 학교 2014. 8. 13. 장수허리노린재 Anoplocnemis dallasi 2010.7.18. 원주 2014.8.8. 원주 2014.7.29. 원주 약충들의 모습 2010.7.30. 원주 성충의 모습 튼실한 뒷다리가 믿음직하다. '장수'라는 이름에 걸맞은 몸을 지녔다. 2014.8.10. 원주 약충들이 한 곳에 모여 있다. 2015.8.16. 원주 짝짓기 모습 역광으로 만나도 튼실한 몸과 다리가 돋보인다. 2016.6.17. 원주 갓 탈피한 약충을 만났다. 색이 선명하고 예쁘다. 2016.7.10. 원주 튼실한 뒷다리가 부각되어 보인다. 2016.7.24. 원주 뒷산 입구 개망초 줄기에서 일렬 종대의 알을 찾았다. 녀석들의 정체를 알기 위해 기록하고 채집하였다. 2017.5.25. 학교 개망초 군락에 여럿 관찰된다. 짝짓기하는 녀석들과 부화된 지 얼마 안 된 약충도 보인다. 2.. 2014. 8. 13. 십이흰점무당벌레 Vibidia duodecimguttata 흔한 무당벌레도같은 종 내의 단순한 색과 무늬 변이가 아니라다양한 종이 존재함을 알고곤충 공부가 쉽지 않음을 절감한다.생명을 이해하는 일이 쉽지 않음은 당연한데접근하면 할수록 깊어져야 하는 학습은 어렵기만 하다.2014.7.30. 원주 2017.7.27. 평창 2014. 8. 13. 땅노린재류 바닥에서 작은 녀석을 찾았다.전체적인 모양이 땅노린재류 같아 보이는데,색이 검지 않고 적갈색인 것이 약충 같아 보인다.2014.7.27. 원주 태장동 이 녀석은 머리와 가슴등판, 작은방패판까지는 검어졌지만 혁질부와 막질부의 색은 아직 연하다.2014.8.11. 학교 성충의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검은색의 몸을 지니고 있으며,앞날개 막질부만 갈색이다.땅노린재류의 정확한 동정은 몸의 크기와 머리 앞쪽 부분의 가시털을 봐야 하는데이 사진 만으로는 정확한 동정이 만만치 않다.2014.7.20. 원주 태장동 2014. 8. 12. 애기노린재 2014.7.28. 원주 행구동 생긴 모습은 둥글노린재류 같아 보였는데 작은방패판에 흰 점이 보이지 않아 이상했다. 도감을 차근차근 넘겨보니 드디어 녀석이 나온다. 크기가 작긴 한데, 다른 작은 녀석들도 많은지라 왜 이름이 '애기'인지 잘 모르겠다. 2014.7.29. 원주 행구동 2018.9.2. 원주 호저면 2014. 8. 12. 뚱보기생파리 한눈에 봐도 배가 뚱뚱한 녀석이다. 주황색 배에 검은 점 무늬가 특징적이다. 노린재에 기생하는 특이한 녀석이다. 2014.8.7. 원주 행구동 배 윗면의 무늬가 서로 다르다. 2017.6.29. 학교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20.5.25. 학교 2014. 8. 11. 미니날개애쐐기노린재 날개가 작고 앞다리가 다소 굵다. 다리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바닥의 낙엽을 뒤집다가 발견했다. 2011.10.5. 학교 산바닥 낙엽 더미에서 발견했다.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 8. 10. 미니날개큰쐐기노린재 Himacerus (Himacerus) apterus 2012.6.26. 원주 날개가 짧은 단시형으로온 몸에 털이 잔뜩 나 있다.사진의 개체는 배가 넓적한 것으로 보아암컷이다.아직 어린 녀석이다.2013.7.6. 원주 2017.8.3. 원주 짝짓기하는 녀석들의 모습이다.자세가 자세이다 보니초점 맞추기가 너무 어려웠다.2017.8.8. 진부 노린재 중수동초점이 잘 맞지 않는 녀석이다.다른 노린재류에 비해많은 컷을 찍어야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2018.7.6. 원주2018.7.29. 원주 드물게 날개가 긴 녀석을 만났다.2018.11.5. 학교 2018.11.13. 학교2019.6.8. 봉화 약충의 모습2019.6.16. 원주 2019.8.1. 원주 2024.8.1. 횡성 2014. 8. 10. 왕주둥이바구미 Phyllolytus variabilis 산에 올랐다 발견한 녀석이다.온 몸에 연초록 빛이 나는 가루를 뒤집어 쓰고 있다.크기도 다소 크다.2014.7.20. 원주 2014. 8. 10. 우묵거저리 썩은 나무에서 발견한 수컷이다.자세히 살펴보면 가슴등판의 앞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크기가 작고, 표면에 광택이 있다.암컷의 경우 가슴등판이 들어가 있지 않고 밋밋하다.자세한 동정이 사진만으로는 어렵다 하여 일단 우묵거저리로 동정해둔다.2014.7.27. 원주 태장동 2014. 8. 10. 중국무당벌레 Epilachna chinensis 얼핏 보면 흔한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와 비슷해 보이나등의 검은 반점의 수와 크기가확연히 다르다.2014.7.30. 원주 2019.7.22. 제주 2014. 8. 10. 꽃매미 약충의 모습 2014.7.2. 원주 중국에서 건너온 녀석으로 아랫녘 포도농가에 큰 해를 입혀 유명해진 녀석이다. 중국꽃매미, 주홍날개꽃매미 등으로 불리다가 정식 명칭이 '꽃매미'로 확정되었단다. 식물의 즙을 주로 빨아먹는 녀석이다 보니 식물 고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전국에 걸쳐 퍼져 있으며, 가죽나무 등에서 많이 보인다. 2014.7.29. 원주 행구동 30여 분을 쫓아다닌 끝에 녀석의 날개 편 모습을 기록했다. 선명한 경계색이 눈에 확 들어온다. 2014.8.11. 학교 2015.6.15. 학교 2015.7.19. 원주 태장동 2016.7.17. 원주 대덕리 2016.9.13. 원주 2016.10.8. 원주 산초나무 줄기에 붙어 있다. 2017.8.1. 원주 대덕리 2019.6.20. 학교 2019.. 2014. 8. 10. 에사키뿔노린재 Sastragala esakii 산초열매가 보이기 시작했다. 작은방패판에 하트 무늬를 간직한 에사키뿔노린재도 더불어 사랑에 열중이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녀석들의 사랑과 결실을 관찰했다. 2014.7.30. 원주 2018.11.5. 학교 2021.9.3. 원주 2014. 8. 8. 흰솜털검정장님노린재 크기가 작은 녀석으로 작은방패판 끝에 황색의 점이 있다. 검은색 바탕의 몸에 흰털이 여기저기 많이 나 있다. 2014.7.13. 치악산휴양림 2018.11.13. 원주 호저면 2014. 8. 8. 큰검정뛰어장님노린재 2011.8.21. 원주 호저면 2013.7.3. 원주 태장동 2013.8.9, 원주 태장동 무척 작은 녀석으로 칡잎이나 환삼덩굴 잎에서 잘 보인다.톡톡 잘 뛰어다닌다. 2008.9.5. 원주 호저면 2020.7.5. 원주 주산리 2020.9.8. 학교 2020.9.22. 학교 2014. 8. 8. 밤나무잎벌레 Physosmaragdina nigrifrons 2009.8.17. 원주2010.7.22. 원주주황색 바탕의 딱지날개에검은색 가로 띠가 있다.2005.9.15. 원주2015.8.6. 원주 자연광에서 기록하니초록과 녀석의 몸색이 제대로 잡힌다.2015.8.16. 원주2017.9.2. 원주 2019.8.11. 원주 2019.8.22. 학교2020.8.22. 제천 2014. 8. 8. 홍줄노린재 배에 검은색 점이 많이 있다. 자연광으로 바라보면 더 은은하고 아름답지만 이 또한 빛이 협조를 해 주어야 가능하다. 지금껏 두어 번 밖에 만나지 못한 녀석을 오늘 원없이 떼로 관찰했다. 일등공신은 사상자. 곤충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일은 더불어 식물도 알아야 하는 일이다. 2014.7.29. 원주 행구동 왜당귀에서 짝짓기 중인 녀석들의 모습 2016.6.17. 학교 올해는 왜당귀에서 많은 개체가 관찰된다. 2017.6.22. 학교 2017.6.29. 학교 2014. 7. 30. 돼지풀잎벌레 Ophraella communa 잎 끝 여기저기에 녀석들의 알이 산란되어 있다. 크기와 색이 다른 애벌레들의 모습 고치방을 만든 모습 성충의 모습 짝짓기 모습 돼지풀은 외래종으로 꽃가루가 호흡기 질환을 발생시켜 사람들에게 많은 미움을 받는 식물이다. 이 녀석은 돼지도 안 먹는다는 돼지풀을 먹고 산다. 보란 듯이 산란도 하고 고치집도 만든다. 시기가 잘 맞았는지 돼지풀 군락에서 녀석의 한살이를 기록했다. 요즘 한창 발생중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돼지풀은 잎맥만 남게 될 것 같다. 2014.7.29. 원주 2014.8.7. 원주 알을 깨고 나온 애벌레들의 모습 녀석들이 갉아먹은 잎의 모습 2014.8.8. 원주 2016.7.24. 원주 2017.8.1. 원주 2019.6.29. 원주 2019.8.11. 원주 2019.10.19. 원주 2014. 7. 30. 왕주둥이노린재 Dinorhynchus dybowskyi 약충인데 크고 색감이 뛰어나 한 눈에 들어온 녀석이다. 검색해 보니 왕주둥이노린재의 약충이다. 이 녀석을 만나고 나니 성충의 모습이 무척이나 궁금해진다. 2014.5.31. 원주 우연찮게 드디어 성충을 만났다. 초록 광택이 너무 아름다워 자연광에서 기록했다. 2014.10.18. 원주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짝짓기 중에 아래쪽에서 약충 한 녀석이 주둥이로 찌르려 하고 있다. 검색해보니 왕주둥이노린재의 약충으로 추정된다. 몇 번 더 시도하다가 결국은 실패하고 만다. 2017.6.22. 학교 2019.5.26. 원주 2014. 7. 29. 표주박긴노린재 가슴등판의 모양이 표주박 모양처럼 생겨서 그런지 이름도 독특하다. 색은 전반적으로 밋밋하지만, 앞다리에 알통이 있다. 2014.6.29. 치악산휴양림 약충의 모습 무척이나 작은데다가 어두운 곳에 있어 기록이 쉽지 않다.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 2014. 7. 29. 등뿔침노린재 황백색 털이 많으며, 가슴등판 양 옆의 뿔이 선명하다.날개 부분에도 엷은 갈색의 세로 띠가 부각된다.2014.7.27. 원주 태장동 2014.7.30. 원주 호저면 2014. 7. 29. 닮은다리장님노린재 무척이나 작은 녀석으로 다리의 검은색 줄무늬가 특징적이다.육안으로 특징이 잘 보이지 않아 그냥 전에 담았던 노린재라 생각하고 지나칠 뻔 했다.역시 곤충은 보이는 대로 담아두어야 놓치지 않는다.2014.7.26. 원주 태장동 2014. 7. 29. 명주잠자리류 Myrmeleontidae sp. 2009.4.13. 원주 강가 모래밭에 깔대기 모양의 집들이 즐비하다. 기록을 위해 잠시 녀석들을 꺼내었다가 놓아주니 이내 모래 속으로 파고든다. 어린 시절에는 이렇게 모래 속에 깔대기 모양의 집을 만들고 주변을 지나다니는 개미 같은 곤충들을 사냥한다. 가만히 지켜보니 깔대기 아랫부분에 몸을 감추고 숨어 있다가 깔대기 속에 개미가 들어와 진동이 느껴지면 아래에서 몸을 움직여 모래를 계속 흘러내리게 만들어 개미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입쪽으로 향하게 한다. 2009.4.22. 원주 2012.7.27. 원주 참나무류의 가지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플래시를 사용하니 아무래도 제 모습이 나오지 않는다. 자연광으로 바라보니 이제서야 제대로다. 2014.7.27. 원주 2016.4.9... 2014. 7. 29. 머리폭긴노린재 크기가 작은 녀석으로 처음엔 애긴노린재라 생각하였는데,눈을 부릅뜨고 바라보니 다른 녀석이다.몸통과 머리의 폭이 비슷하다.가슴등판 양끝에 검은색과 짙은 갈색의 무늬가 특징적이다.2014.7.27. 원주 태장동 2014. 7. 29. 애긴노린재 Nysius plebejus 작은 곤충들은 짝짓기 모습도 앙증맞다.크기는 작지만 그래도 할 일은 다 한다.2012.9.1. 원주2013.5.31. 학교2014.7.20. 원주 약충의 모습이 다소 생뚱맞다.2014.7.27. 원주 작아서 그런지 잘 안 보이더니한 번 보고 나니 이제는 흔하게 잘 보인다.2014.8.10. 원주 2014.8.11. 학교2014.8.23. 양평2020.8.16. 원주 2014. 7. 28. 달라스긴노린재 '달라스'라는 이름이 독특하여 여기저기 검색해 보니사람 이름이나 지명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고등학교 시절 자주 다녔던 햄버거 가게 이름이 '달라스 햄버거'여서인지이 녀석의 이름은 유독 잘 기억이 난다.2014.6.29. 치악산휴양림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14. 7. 28.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