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긴가위뿔노린재 Acanthosoma labiduroides 수컷의 모습가위 모양의 붉은색 돌기 한 쌍이 생식기이다.몸은 전체적으로 초록색을 띠며앞가슴등판 양 옆의 돌기와 생식기만 붉은색이다.2012.7.7. 영월 암컷의 모습2011.6.5. 홍천 2019.6.16. 원주 2019.8.13. 원주 2012. 8. 19. 허리무늬대모벌 Episyron arrogans의 사냥 대모벌류는 이렇게 거미를 사냥하여땅에 구멍을 파고 집어넣은 다음,그 몸에 산란하여나중에 부화된 알이 자랄 수 있도록 한다.자기 몸만한 거미를 번쩍 들고 이동도 한다.정말 순식간에 사냥 마취하고,미리 뚫어놓은 구멍으로 옮겨간다.2012.7.27. 원주 2012. 8. 19. 넉점각시하늘소 Pidonia (Omphalodera) puziloi 작은 녀석이다.'각시'라는 말은 크기가 작을 때 붙는다.등딱지에 황백색의 사각 무늬가 네 개가 있다.2012.6.10. 영월 졸방제비꽃에 녀석이 붙어 있다.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하늘소 하면다들 큰 곤충만 떠올리는데녀석들 무리 중에무척 작은 녀석들도 많다.2016.5.15. 인제 피어있는 웬만한 꽃에는 녀석들이 보인다.2020.7.12. 속초 2023.6.10. 남원 2012. 8. 19. 검은테떠들썩팔랑나비 줄꼬마인지 수풀꼬마인지 검은테인지 서로 비슷비슷하게 느껴진다. 결국 날개 가장자리의 일정한 검은 테를 보고 이 녀석으로 동정한다. 혹 잘못 되었다면 지적을 부탁드린다. 2007년 2021.7.27. 함백산 2012. 8. 18. 검정황라꼬리박각시 처음 보는 이들은 꽃에 앉지 않고 비행하며 꿀을 빨아먹는 이 녀석을 보고 벌새라고 착각하기도 한다. 꽃 앞에서 정지비행을 하며, 식사를 즐기는 녀석의 모습은 참 신기하기만 하다. 하지만 녀석은 분명한 나방(박각시)이다. 2007년 2012. 8. 18. 열점박이노린재 Lelia decempunctata 온통 황금색으로 치장한 녀석등에 검은 점이 10개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머리 아래로 순서대로 4,4,2 해서 10개의 점이 있다.맨 아래 두 개의 점은 등이 아닌 날개에 있다.2007년2010.9.11. 원주 느티나무에 붙어짝짓기 중인 녀석들을 만났다.2014.7.20. 원주 2024.10.4. 횡성 2012. 8. 18. 흰띠길쭉바구미 Lixus (Eulixus) acutipennis 온 몸에 흰 얼룩무늬가 있다.더듬이가 중간에서 휘어졌으며,굵은 편이다.2007년2015.8.10. 원주 2016.6.5. 원주 2016.10.20. 원주 2019.8.1. 원주 2020.5.13. 학교2024.6.9. 원주 2024.10.5. 제천 2012. 8. 18. 유리나방류 무늬가 조금씩 달라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 과수에 해를 많이 끼치는 녀석들이라고 한다. 2007년 2012. 8. 18. 외눈이지옥나비 황갈색 테두리 안에 흰 점 두 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07년 2012. 8. 18. 부처사촌나비 뱀눈나비과에 속하며 자세히 살펴보면 부처나비와 무늬가 다르다. 2007년 2012. 8. 18. 곰개미 Formica japonica 애벌레를 자신의 집으로 옮겨가고 있는개미의 모습자신보다 큰 먹이이다보니옮겨가는 일이 만만치 않은 듯 하다.2007년 원주2007.7.5. 원주 부슬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곰개미 한 마리는 푸른부전나비의 꼬리를 물고 자기 역할에 충실하다.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한다.2019.7.20. 원주2024.8.5. 진부 2012. 8. 18. 제비말매미충 Mileewa (Mileewa) dorsimaculata 무척이나 작은 녀석이다.날기 위해 날개를 편 순간을운 좋게 포착했다.2007년 2012.6.17. 영월 2013.6.15. 원주 2017.7.27. 평창 2024.8.9. 횡성 2024.8.15. 횡성 2012. 8. 18. 큰검정들모기 Armigeres (Armigeres) subalbatus 올 여름 온 몸에 상처를 주었던 처가 모기들이다. 2018.9.16. 원주 시골집에 대량 발생했다. 방문할 때마다 몇 방씩은 기본이다. 2023.9.8. 원주 2012. 8. 18. 만주거품벌레 Atuphora stictica 버드나무 가지나 풀의 줄기에흰 거품이 붙어 있는 것을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거품벌레의 집인데,이 녀석도 그 중 하나이다.눈에 검은 가로줄이 가 있는 모습이졸린 모습처럼 보여 기억에 남는다.2005.9.21. 원주 2012. 8. 18. 큰자루긴수염나방 Nemophora staudingerella 암수의 더듬이 길이가 확연히 차이 난다.긴 녀석이 수컷.짝짓기 모습2011.6.5. 홍천 암컷의 모습더듬이가 짧다.수컷의 모습더듬이가 길다.2012.6.10. 횡성 2012.6.17. 원주2013.6.15. 원주 2019.6.16. 원주 2020.6.4. 학교2020.6.8. 학교2023.6.10. 남원 2012. 8. 18. 깜둥이창나방 Thyris fenestrella seoulensis 나방이지만 주로 낮에 활동하며여러 꽃에 모여드는 녀석이다.날개 가운데에 반투명한 부분이 있으며적황색의 점이 흩어져 있다.개망초 등 여러 꽃이나습지에 잘 날아온다.한낮,토끼풀 위에 앉아 쉬고 있다. 2011.6.19. 원주 2016.6.12. 원주 2018.6.16. 원주 2019.6.29. 원주 2020.5.25. 학교 2012. 8. 18. 썩덩나무노린재 Halyomorpha halys 알에서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약충들이 모여 있다.2011.7.6. 학교약충의 모습2011.7.9. 원주 월동중인 녀석 같진 않은데...눈 위에 죽어 있는 모습.2011.1.17. 원주약충의 모습2011.10.5. 학교2011.8.13. 제천 산초나무 잎 뒤에서 부화한 녀석들2014.7.30. 원주 2014.8.10. 원주 2018.10.16. 학교2020.8.23. 원주 2012. 8. 18. 주둥이노린재 Picromerus lewisi 애벌레의 체액을 빨아먹고 있다.2011.8.15. 원주 약충2011.7.5. 원주 나무를 기어가는 녀석의 모습을 발견했다.뭔가 이상하다 싶더니작은 애벌레를 사냥해 먹고 있다.2013.7.25. 원주쥐방울덩굴 주변에서꼬리명주나비 애벌레를 사냥하여흡즙하고 있다.2016.6.30. 원주 2019.7.6. 원주 2019.7.25. 제주 2019.8.3. 원주 2019.10.20. 원주 2020.4.14. 학교 2012. 8. 18. 거위벌레 Apoderus jekelii 암컷의 모습머리 부분이 더 길쭉한수컷의 모습2011.9.4. 원주 2018.7.29. 원주 초록 속에 있으면 금방 눈에 들어오는 녀석이다.2024.8.1. 횡성 2024.8.15. 횡성 2012. 8. 18. 방울실잠자리 Platycnemis phyllopoda 사랑의 하트를 만드는 방울실잠자리의 짝짓기 수컷의 가운데 다리와 뒷다리 종아리마디가 흰색으로 긴 타원형의 넓적한 방울모양이다. 잔인하고 번식에 집착이 강하기로 소문난 잠자리 교미기에 암컷의 배가 잘려 붙어 있다. 둘째, 셋째 다리의 종아리 마디 방울 형태는 암컷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수컷만의 특징이다. 2009.6.21. 원주 방울 모양의 다리와 색으로 보아 미성숙 수컷으로 보인다. 2010.7.10. 원주 2010.7.30. 원주 2011.6.30. 원주 2015.7.19. 원주 2016.6.19. 원주 2018.6.23. 원주 2019.6.29. 원주 2019.6.30. 원주 2021.7.29. 원주 2012. 8. 15. 큰뱀허물쌍살벌 Parapolybia indica 뱀허물쌍살벌보다 전체적으로 색이 옅고더듬이 사이의 오각형 부분에 검은색 세로줄이 없다.집도 뱀허물처럼 길게 짓지 않고나뭇잎이나 처마 아래, 바위 아래 등에둥근 모양으로 짓는다.사진은 참나무 잎에 지은 집이다.2011.8.15. 원주 모두 같은 녀석이다.한 녀석이 비실비실하기에원없이 기록했다.더듬이 사이 오각형 부분에검은색 세로줄이 확실히 없다.2012.9.23. 원주 나뭇잎 뒤에 붙인 집의 형태가 원형이다.한 녀석만 보인다.2014.6.14. 원주 2014.7.30. 원주 2014.8.8. 원주 등산로 가까운 바위에 집을 마련했다.2016.8.27. 원주 이제는 둥지의 형태만 봐도 쉽게 구별이 된다.2017.8.18. 인제 2019.7.5. 학교 2019.9.20. 학교 2012. 8. 15. 남색주둥이노린재 Zicrona caerulea 부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아모여 있는 약충들의 모습 주둥이노린재류는 이렇게 주둥이를 빨대 삼아먹이의 체액을 빨아 먹는다.2011.6.30. 원주거의 다 자란 약충의 모습성충 될 날이 멀지 않은 듯 하다.2011.8.14. 제천성충이 되니몸 전체에 남색 광택이 난다.2011.8.13. 제천 플래쉬 없이 자연광으로 기록하니색이 제대로이다.2016.6.17. 원주 2012. 8. 14. 다리무늬침노린재 Sphedanolestes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냄새보다는 침으로 자신을 방어하고 공격한다. 손으로 함부로 만지다간 쏘이게 된다. 2007년 무당벌레 사냥에 성공해 체액을 빨아먹으려 하고 있다. 2008년 2011.6.19. 원주 짝짓기 모습 2011.7.5. 원주 2011.7.16. 원주 침노린재류 중 관찰 빈도가 높은 녀석 중의 하나이다. 2014.5.31. 원주 2015.7.19. 원주 2016.6.19. 원주 2016.7.10. 원주 2017.6.11. 영월 약충의 모습 2018.9.26. 원주 2019.6.8. 봉화 2019.6.16. 원주 2019.7.9. 학교 2019.7.23. 제주 다리에 오렌지색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지금까지 봐왔던 녀석들은 검은색과 흰색의 띠 무늬였는데 이 녀석은 오렌지 색으로 멋을 부렸다. 지역적 변이로 봐야하.. 2012. 7. 8. 거꾸로여덟팔나비 날개를 펴고 앉아 있는 모습을 잘 관찰하면 거꾸로 된 여덟 팔자 무늬가 보인다. 2011.7.21. 치악산휴양림 가까이서 먹이활동을 하는 착한 녀석을 만났다. 이곳엔 늘 이 녀석이 많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17.8.8. 진부 장전계곡 벌등골나물에서 만났다.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 2021.7.22. 치악산휴양림 2012. 7. 8. 싸리남색거위벌레 Euops (Parasynaptopsis) lespedezae koreanus 다른 거위벌레들에 비해다소 뭉툭한 생김새이지만남색의 금속광택이 예쁘다.2012.6.26. 원주 2020.5.31. 원주 2012. 7. 8. 혹바구미 Episomus turritus 바구미 중에서 덩치가 좀 큰 편에 속하는 녀석이다. 물론 왕바구미 만큼은 아니지만. 딱지날개 아래에 2개의 혹이 돌출되어 있다. 2012.6.17. 영월 위험을 느끼니 바로 아래로 떨어진다. 다시 주워서 칡 잎 위에 올려놓으니 죽은 척이다. 2019.7.13. 영월 예덕나무에서 만났다. 2020.8.8. 제주 2012. 7. 8. 떼허리노린재 2007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한 녀석보다는 떼로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짝짓기도 떼로 한다. 2012.6.7. 학교2020.8.9. 제주 표선면 2012. 7. 7.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