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횡성213

계곡산개구리 Rana huanrenensis 바닥에 알을 붙여놓은 걸 보니 계곡산개구리의 전형적인 알 덩이이다. 2023.3.18. 제천 산간계류인 서식 환경과 바닥에 붙인 알로 일단 추정한다. 2023.3.26. 원주 알만 봤었는데 사진 편집하다 보니 왼쪽에 모여 있는 올챙이들이 보인다. 2023.4.9. 횡성 2023. 3. 25.
일본가시날도래 Goera japonica 가시우묵날도래집도 그렇지만 이 녀석의 집도 특징이 있다. 머리쪽 양옆으로 큰 자갈이 붙어 있어 금방 구별된다. 산간 계류에서 자주 관찰된다. 2022.5.12. 제천 얼굴이 보인다. 머리의 모양은 큰줄날도래와 닮았다. 양옆으로 큰 모래알갱이를 붙인 집의 모양이 특징적이다. 2023.4.9. 횡성 2023. 3. 12.
애강도래 Paracapnia recta 짝짓기 하천 자갈밭에 많은 녀석들이 발발거린다. 내 신발에도, 옷에도, 카메라를 든 손에도 기어오른다. 움직임을 따라가다 보니 이렇게 짝짓기 모습도 종종 관찰된다. 큰 녀석이 암컷이다. 2023.2.28. 횡성 2023. 3. 1.
여린황등에 Tabanus kinoshitai 배마디에 짙은 띠가 보여 독특하다. 튀어 나온 돌기 모양은 헛발이다. 2023.2.28. 횡성 2023. 3. 1.
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costalis 배마디의 무늬만으로는 동정이 어렵다. 사진만으로는 멧피라미하루살이와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다. 일단 피라미하루살이로 동정한다. 2022.4.24. 제천 2022.11.20. 횡성 2023.2.27. 횡성 2023.4.9. 횡성 2023. 2. 28.
클레멘스물날도래 Rhyacophila clemens 고치 이제 막 고치를 만들었나 보다. 애벌레의 형태가 그대로 있다. 머리와 앞가슴의 검은 무늬가 보이고 꼬리다리의 가늘고 긴 덧발톱이 눈에 들어온다. 기관아가미도 없다. 2023.2.27. 횡성 2023. 2. 28.
물멧모기 Bibiocephala bibiocephala KUa 처음 만났다. 기쁜 종 추가이다. 배 아래의 동그란 흡반이 인상적이다. 2023.2.27 횡성 2023. 2. 27.
수달 Lutra lutra 물까마귀 서식지인 계류 곳곳에 이렇게 수달의 흔적이 관찰된다. 2023.2.20. 제천 해질녘 섬강에서 4마리를 관찰했다. 2023.2.20. 횡성 2023. 2. 26.
봄처녀하루살이 Cinygmula grandifolia 2023.2.17. 원주 2023.2.18. 제천 인상적인 이름이라 잘 기억된다. 배마디 윗면에 규칙적인 무늬가 보인다. 2023.2.25. 제천 아직 어린 녀석이라 특징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2023.4.9. 횡성 2023. 2. 26.
애강도래 Paracapnia recta 겨울 막바지 계류에서 관찰했다. 하천의 봄도 멀지 않은 듯하다. 1cm도 안 되는 무척 작은 녀석이다. 2023.2.25. 제천 2023.2.28. 횡성 2023.3.18. 제천 2023. 2. 26.
긴꼬리하루살이 Ephacerella longicaudata 배마디 등면에 여러 쌍의 돌기가 보인다. 꼬리가 몸의 길이보다 긴 녀석이다. 가운데다리 바로 위인 가운데가슴 양 옆 가장자리에 커다란 돌기가 보인다. 이제서야 제대로 이름을 수정한다. 2022.11.27. 횡성 2023.1.18. 횡성 2023.2.28. 횡성 2023. 2. 15.
뿔하루살이 Drunella aculea 지난 번 채집된 녀석들에 비해 제법 크기가 크다. 한 달 정도만 지나면 녀석들을 찾는 물까마귀의 활동도 바쁠 것이다. 2023.2.1. 횡성 2023.2.17. 원주 2023.2.25. 제천 2023. 2. 3.
입술날도래과 Philopotamidae sp. 2022.11.20. 횡성 2022.11.27. 횡성 입술날도래 KUa나 넓은입술날도래 KUa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 2023.1.18. 횡성 2023.2.28. 횡성 2023. 1. 21.
검정날개각다귀 Hexatoma (Eriocera) pianigra 2022.10.16. 제천 배 끝에 있는 털에 검은색이 보인다. 긴 털의 유무나 수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고 한다. 2023.1.12. 원주 배 끝에 긴 털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단 KUa로 추정된다. 2023.2.27. 횡성 2023. 1. 15.
감초하루살이 Baetis silvaticus 배 위쪽의 '여덟 팔'(八)자 무늬가 눈에 잘 들어온다. 가운데꼬리가 다른 것에 비해 짧다. 2022.10.30. 원주 2023.2.19. 제천 2023.2.25. 제천 2023.4.9. 횡성 2023. 1. 15.
물날도래 Rhyacophila KUa 올챙이물날도래(이전 검은머리물날도래)에 비해 머리와 가슴 경판의 색이 밝고 가슴 경판 가장자리에 검은 테두리가 보인다. 2023.1.12. 원주 2023.2.12. 원주 2023.2.18. 제천 2023.4.9. 횡성 2023.10.1. 원주 2023. 1. 15.
큰산개구리 Rana uenoi 수서곤충 채집 중 본의 아니게 물 속 낙엽 속에 숨어 있던 녀석을 만났다. 제 몸색과 같은 곳에 잘 숨어 있었는데 그만 뜰채에 납치되었다. 바닥에 내려주니 잠깐 포즈 취했다가 이내 물로 사라졌다. 북방산개구리는 예전 명칭이다. 2023.1.12. 원주 수서곤충 채집시 뜰채에 들어온 녀석이다. 2023.1.18. 횡성 2023.3.18. 제천 2023. 1. 13.
굴뚝날도래 Semblis phalaenoides 지난 번 관찰한 것과 집의 재료와 형태가 다르다. 2022.11.27. 횡성 옆에서 바라보니 기관아가미가 잘 드러난다. 같은 장소에서 여럿 발견된다. 2023.1.18. 횡성 2023. 1. 5.
송장헤엄치게 Notonecta (Paranecta) triguttata 2022.11.20. 횡성 2023. 1. 5.
물자라 Appasus japonicus 2022.11.27. 횡성자갈밭 둠벙에서왕잠자리 수채를 기록하던 중옆에서 뽈뽈거리며 나타났다. 2024.10.13. 원주 2023. 1. 5.
띠무늬우묵날도래 Hydatophylax nigrovittatus 낙엽으로 만든 집에서 익숙한 녀석이 나왔다. 채다리날도래 종류라 생각했는데 가만히 들여다보니 낯이 익다. 2022.11.20. 횡성 2023.4.9. 횡성 2022. 12. 3.
개미허리왕잠자리 Boyeria maclachlani 거무튀튀한 녀석이다. 배 위에 산란한 알의 주인은 누구일까? 물삿갓벌레류의 알과 닮았다. 그냥 왕잠자리만 보다가 좀더 길쭉한 녀석을 만났다. 부속기와 옆가시가 날카롭다. 2022.11.27. 횡성 2022. 11. 30.
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와 곤충살이긴선충 자세히 들여다보면 몸 속에 무언가 들어 있다. 형태상 연가시 비슷해 보인다. 검색을 통해 곤충살이긴선충으로 정리한다. 2022.11.27. 횡성 2022. 11. 29.
좀뱀잠자리 일종(Sialidae)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머리 뒤쪽의 밝은 무늬가눈에 금방 들어온다.2022.11.20. 횡성 2022. 11. 27.
점등그물강도래 Perlodes KUa 그물강도래과에 속한 녀석으로 배마디 위에 검은 점이 잘 보인다. 2022.11.20. 횡성 이번 주도 녀석을 만났다. 두 번째 보니 특징이 너무 잘 드러난다. 2022.11.27. 횡성 배마디의 점 무늬가 잘 드러난다. 2023.1.18. 횡성 2023.2.1. 횡성 2022. 11. 27.
용수물날도래 Rhyacophila retracta 이제야 유충을 만났다. 2022.11.20. 횡성 2023.2.1. 횡성 2023.2.19. 제천 2023.2.25. 제천 2022. 11. 22.
큰등그물강도래 Archynopteryx KUa 오동정 했던 녀석을 바로잡는다. 등의 꽃무늬가 눈에 잘 들어온다. 2022.5.1. 제천 2023.2.17. 원주 2023.2.18. 제천 2023.2.21. 제천 2023.2.27. 횡성 2022.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