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주2634 넓적배허리노린재 Homoeocerus (Tliponius) dilatatus 잎에 떨어진 새똥을 찾아흡즙하는 모습처음 관찰한다. 새똥도 쓸모가 있다. 2024.6.9. 원주 2024. 7. 11. 배설물 강변 모래밭에서 배설물 두 덩이를 발견했는데 그 중 한 덩이는 이렇게 풍뎅이류 잔해가 잔뜩이다.주변 달맞이꽃 등에 청동풍뎅이가 많이 붙어 있지만 이렇게 집중적으로 먹은 녀석은 누구일까? 이곳에서 그동안 관찰된 포유류는 너구리, 삵 등이다. 배설물에 모인 딱정벌레류를 즐기는 녀석으로 오소리가 있다는데 강변 모래밭에서는 아직 관찰하지 못했다. 2024.7.4-6. 원주 2024. 7. 7. 대모벌 일종 Pompilinae sp. 하천 모래밭에서 자주 관찰되는 녀석이다. 포인트 색 없이 온 몸이 검다. 2024.7.6. 원주 2024. 7. 7. 수중다리잎벌 일종(Cimbicidae) 폴더 정리하다가 찾았다.수중다리잎벌 종류인데이미지 검색을 해봐도조금씩 차이가 있어정확한 이름을 불러주긴 어렵다.2012.6.3. 원주 2024. 7. 7. 홍비단노린재 Eurydema dominulus 암수 크기 차이가 확실하다.언제 만나도 진한 붉은 색이눈에 잘 들어온다. 2024.7.6. 원주 2024. 7. 7. 넉점박이강변먼지벌레 Bembidion (Bracteon) stenoderum 작은 녀석이어찌나 뽈뽈거리고 돌아다니는지쪼그려앉아 오리걸음으로겨우 녀석을 기록했다.딱지날개에 사각의 밝은 무늬가 선명하다.2024.7.6. 원주 2024. 7. 6. 왕녹나무좀 Cnestus mutilatus 등화에 찾아온 녀석인데너무 작다. 제대로 기록하고 싶건만 초점 맞추기도 쉽지 않다.오기로 기록한 사진이 겨우 이 정도다. 얼굴 보기 너무 힘들어꽤 오랜 시간 녀석과 씨름했다. 겨우 눈 맟춤이 가능했다. 도움을 받아 이름을 붙인다. 2024.6.14. 원주 2024. 7. 6. 고려강변먼지벌레 Bembidion (Princidium) coreanum 섬강 모래밭에서 발견했다.모랫골에 모여 있던잎과 잔가지 뭉터기를 들추니녀석이 기어간다.딱지날개를 보는 순간새로운 녀석이다. 2024.7.4. 원주 딱 한 장의 기록이 아쉬워비가 오지 않는 틈을 타서다시 녀석을 만나러 갔더니지성이면 감천이라 여러 마리를 만났다. 학명의 종소명에 coreanum이 반갑다.2024.7.6. 원주 녀석 참. 무지 빨빨거리며 돌아다닌다.쪼그려 앉아 오리걸음이다. 운동 제대로 시킨다. 2024.9.24. 원주 2024. 7. 5. 대만어리코벌 Bembecinus hungaricus formosanus 섬강 모래밭 여기저기작은 구멍이 보인다.뭘까 하고 유심히 보다 보니그 중 한 구멍에작은 벌 한 마리'윙' 하고 날아든다. 처음 만나는 녀석인데구멍을 드나들며모래 알갱이를 파내고 있다.대모벌 종류처럼구멍 속에 사냥한 먹이를 저장하여애벌레를 키운다.대모벌이 거미류를 주로 사냥하는 것처럼이 녀석은 메뚜기류를 주로 사냥한다고 한다. 집에서 가까운 거리라사냥 장면을 제대로 기록하고 싶은데녀석의 산란터가장마 기간을 잘 버틸 수 있을지기약할 수 없다.다리로 메뚜기류를 붙들고구멍 주변으로 날아든비행 장면머리 속으로 그려보는희망 사진 구도이다. 2024.7.4. 원주 아쉬움이 남아또다시 녀석을 찾았다.오늘은 이틀 전과 달리모래 알갱이를 다리로 튕겨 보내둥지 입구를 막고 있다. 먹이감을 벌써 다 채운 건 아닌 듯한데비.. 2024. 7. 5. 버들매미충 Athysanopsis salicis 강변 갯버들에서 많이 관찰된다.약충의 모습 약충의 탈피각2024.6.23. 원주 2024.7.4. 원주 2024. 6. 30. 둥글잎벌레 일종 Argopus sp. 비슷한 녀석들이 몇 종 있는데정확한 동정 포인트를 모르겠다.다 똑같아 보인다. 2024.6.9. 원주 2024. 6. 30. 줄무늬뿔벌레 Notoxus haagi haagi 작년 처음 보았던 장소에서 다시 만났다.이번에는 강변 갯버들인데녀석들이 아주 바글거린다. 2024.6.23. 원주 2024.7.6. 원주 2024. 6. 28. 우리콩알하늘소 Exocentrus (Pseudocentrus) zikaweiensis 통하늘소로 생각했다가앞가슴등판의 모양을 보고이름을 수정했다.크기와 생김이 정말 비슷하다. 2024.6.14. 원주 2024. 6. 27. 환삼덩굴애바구미 Psilarthroides czerskyi 환삼덩굴 줄기에서흡즙도 하고짝짓기도 한다. 흔한 환삼덩굴이지만이 작은 녀석을 만나기는 만만치 않다.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다.2024.6.23. 원주 2024. 6. 27. 외줄통잎벌레 Cryptocephalus (Burlinius) nigrofasciatus 딱지날개의 줄무늬가옅은 녀석이 있고, 진한 녀석이 있다.이 녀석은줄무늬가 진하고 굵어다른 녀석처럼 보인다.강변 갯버들에서 만났다.2024.6.23. 원주 2024. 6. 27. 참점땅노린재 Adomerus rotundus 등화에 날아들었다.바닥을 빌빌 기어다니길래흰 테두리만 보고 몇 장만 기록했는데자세히 보니 다른 녀석이다.날개에 한 쌍의 흰 점이 있다.2024.6.14. 원주 2024. 6. 25. 발해무늬의병벌레 Cordylepherus sibiricus 날이 흐려 어둡다 보니예쁜 녀석의 몸색이 이 모양이다.2024.6.23. 원주 2024. 6. 24. 굵은뿔의병벌레 Intybia kishii 짝짓기 모습 암컷의 모습 수컷의 모습더듬이가 인상적이다. 수변부 달뿌리풀 군락에서 관찰했다.2024.6.23. 원주 짝짓기 자세도 독특하다.2024.7.4. 원주 2024.7.6. 원주 2024. 6. 24. 북방거위벌레 Compsapoderus (Compsapoderus) erythropterus 산란을 위해잎을 말고 있는 녀석을 발견했다. 이렇게 옆면을 보고배가 검은 색인지 노란 색인지를 파악해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다.2024.6.7. 진부 2024.7.31. 원주 2024. 6. 23. 방울새 Carduelis sinica 큰금계국은 종자와 뿌리로 번식하기에왕성한 생명력으로다른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여지를 잘 주지 않는다그래서 다른 식물의 서식지 침범,생물다양성 감소 등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하지만 많은 사람들은이런 사실을 잘 인식하지 못하며시각적인 만족으로 즐거워한다.생태교란종 군락에 몰려와씨앗을 빼먹는 녀석들은큰금계국의 종자 확산에 기여한 것일까?감소에 기여한 것일까?2024.6.15. 원주 2024. 6. 20. 큰수중다리송장벌레 Necrodes littoralis 몸색은 검정송장벌레처럼 온통 검은색이나더듬이 끝의 황색이 3마디이고딱지날개에 세로줄 무늬가 있다.2024.6.14. 원주 2024. 6. 20. 검정송장벌레 Nicrophorus concolor 송장벌레류는 사체 분해의 일등 공신이다.이 녀석은 별다른 무늬나 주름 없이온통 시커멓다.더듬이 끝의 황색이 독특하다. 2024.6.15. 원주 2024. 6. 20. 밀잠자리붙이 Deielia phaon 유수지 가장자리에 많이 앉아 있다.2024.6.15. 원주 2024. 6. 18. 어리부채장수잠자리 Gomphidia confluens 저수지 가장자리에 앉아 있다가주변에 다른 잠자리가 지나가면부리나케 달려나가 영역방어를 한다.일정한 장소에 앉아 있기에망원렌즈만 있으면기록은 어렵지 않다. 개체수가 많다.2024.6.15. 원주 2024. 6. 18. 검은물잠자리 Atrocalopteryx atrata 날개를 폈다 접었다 하는 모습이다.하트 모양이 되었다. 오랜만에 관찰하니또 혼동이 된다.날개의 형태를 뚫어지게 바라본다.2024.6.15. 원주 2024. 6. 18. 산목대장먼지벌레 Odacantha (Heliocasnonia) aegrota 2011.7.29. 제천 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 정말 오랜만에 만난다.2024.6.14. 원주 2024.7.25. 원주 2024. 6. 18. 버들깨알바구미 Acalyptus carpini 개망초 꽃의 크기를 고려한다면꽤나 작은 녀석이다. 2024.6.9. 원주 2024. 6. 17. 이전 1 2 3 4 5 6 7 8 ··· 9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