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줄고운가지나방 Ectropis excellens 애벌레 생김과 무늬가 독특한 녀석이라이름을 찾았다.2019.7.1. 원주 2019.7.9. 학교 2019.8.1. 원주 2024.8.9. 횡성 2019. 7. 6. 짚시나방벼룩좀벌 Anastatus japonicus 건물 벽에 붙어 산란 중인매미나방 암컷을 만났다.몇 장 기록하려고 렌즈를 들이밀었는데어라, 작은 녀석이 눈에 들어온다.어설픈 노안으로개미라 생각했는데사진을 확대해보니기생벌 종류의 산란이다.2019.7.3. 학교 다음날에도 같은 자리에 산란중이기에장비를 보강하여 작정하고 기록했다.2019.7.4. 학교 매미나방 알집을 긁어 제거하여땅바닥에 떨어뜨렸는데같이 툭 바닥에 떨어져기고 있던 작은 녀석이다.2020.7.7. 학교환삼덩굴 군락에서 의외로 만났다.강변이라 매미나방 알집은 보이지 않는데잎에 붙여놓은 노린재 알이라도 찾는 것일까?2024.9.22. 원주 2019. 7. 4. 왕실잠자리 습지 주변이라 잠자리가 널려 있다. 예쁜 하트를 만들며 짝짓기 중인 녀석들을 찾았다. 2019.6.30. 원주 간현리 2022.6.9. 원주 2019. 7. 3. 밀잠자리붙이 Deielia phaon 암컷의 모습 수컷의 모습 하천 길옆에 그나마 가까이 앉았길래 이렇게 기록한다. 2019.6.30. 원주 올해도 같은 장소에서 비슷한 시기에 만난다. 개체수가 많다. 2020.6.28. 원주 2019. 7. 2. 어리부채장수잠자리 Gomphidia confluens 습지공원에서 쌍안경으로 새를 찾다가 발견한 녀석이다. 먼 거리에 앉아 있지만 모습에 힘이 느껴진다. 2019.6.30. 원주 마음 먹고 기회를 기다려 가까이 볼 수 있었다. 2020.6.28. 원주 2020.7.5. 원주 2019. 7. 1. 어리줄풀잠자리 Chrysoperla carnea 진딧물을 잡아먹고 있는 모습을 기록하기 위해한동안 쪼그려앉아 지켜보았다.잘 사냥하긴 하지만진딧물도 큰 녀석들은 만만치 않다.2019.6.30. 원주 관찰하기 위해 채집해 온 알에서 녀석이 부화했다.사진을 찍고 보니 알이 찢어져 있다. 알에서 갓 나온 녀석을 찾기도 힘들었지만찍기도 참 힘들었다.진딧물 두어 마리를 포식한 듯 한데처음에는 하얗던 몸이식사 후 이렇게 붉게 변했다.워낙 작은 녀석인 데다가뽈뽈거리고 돌아다녀 초점 맞추는데 다소의 인내심이 필요했다.2019.7.1. 학교진딧물만 공급해 주니사냥도 잘 하고정말 잘 자란다.2019.7.9. 학교(사육) 2019.7.14. 원주 번데기를 틀었는데작은 공처럼 둥글고 독특하다.2019.7.12. 학교(사육) 고치 안에 녀석이 비쳐 보였는데미처 기록하지 .. 2019. 7. 1. 밝은다리장님노린재 쑥 잎에 붙어 있던 진딧물을 관찰하다가 발견했다.진딧물과 같은 크기를 지닌 녀석으로 온 몸에 잔털이 많다. 2019.6.29. 원주 대덕리 2019. 6. 30. 대륙곰보하늘소 Pterolophia (Pterolophia) maacki 아카시나무 마른 곳에 붙어 있는 녀석을 발견했다.며칠 전 만난 우리하늘소인가 했는데처음 만난 녀석이다.2019.6.29. 원주 2019. 6. 30. 알락꼬마뿔노린재 Elasmucha fieberi 푸토니뿔노린재 비슷한데무언가 느낌이 다른 녀석이다. 몸의 형태와 색으로 보아처음 만나는 녀석이다.2019.6.16. 원주 2024.7.26. 원주 2019. 6. 30. 잔주름애기잎말이나방 잎말이나방 종류도 참 많다. 그래도 무늬가 밋밋하지 않아 구별이 된다.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 6. 30. 작은주걱참나무노린재 Urostylis annulicornis 몸의 점각이온 몸에 균일하게 퍼져 있다.기문의 색이 몸색과 같고생식기가 큰주걱과 확연히 다르다.자연 상태에서 생식기를 보기 어려워살짝 손가락으로 쥐어 기록했다.2019.6.16. 원주 2024.7.26. 원주 2019. 6. 29. 등빨간뿔노린재 Acanthosoma denticaudum 생김이 독특해 금방 눈에 들어오는 녀석이다.도감에서만 보고 실제로는 처음 만난다.2019.6.16. 원주2020.6.7. 제천 2021.8.10. 원주 2019. 6. 29. 호리꽃등에 Episyrphus balteatus 쑥잎 위에 거미 알집 비슷한이상한 것이 붙어 있다.검색해 보니 호리꽃등에 번데기이다.기생벌 종류가 찾아와산란행동을 하고 있다.어리줄풀잠자리 애벌레(추정)는위에 올라타 한참을 있다가 자리를 이동한다. 2019.6.20. 학교애벌레의 모습2019.6.26. 학교기생벌의 고치가 몸 안에 비치고 있다.8일만에 고치를 틀었다.2019.6.28. 학교번데기 안의 모습이기생당한 것 같지 않아 데려왔다.촬영할 시간도 주지 않고 며칠 만에 우화했다.갓 나온 호리꽃등에가 윤기가 흐른다.2019.6.30. 원주 2022.6.22. 원주 2019. 6. 27. 네눈가지나방 Hypomecis punctinalis 족제비싸리에 가지로 위장하고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머리 뒤 1/3가량 앞쪽에 한 쌍의 황갈색 돌기가 있어도감에서 이름을 찾았다.2019.6.26. 학교애벌레의 몸이 변했다.크기도 줄어들고 있다.2019.6.29. 사육드디어 번데기가 되었다.애벌레의 크기에 비해 번데기가 작다.천적에 무방비 상태가 되기에 몸의 크기를 줄인 듯하다.2019.7.1. 사육외관상 큰 변화가 없다.2019.7.7. 사육새벽에 나왔는지 성충은 이미 우화해서 나와 있다.성충 사진을 찍으려 했는데, 사육통 뚜껑을 열자 쌩쌩하게 날아가버렸다.2019.7.11. 사육 2019. 6. 27. 우리하늘소 Ropica coreana 쑥잎에 앉아 있던 작은 녀석을운좋게 발견했다.줄기에 붙은 모습을 보니몸의 위장이 대단하다.색과 흰털까지 똑같다.2019.6.26. 학교 2019. 6. 26. 메꽃하늘소 Judolidia znojkoi 온통 시커먼스인 녀석이다.꽃하늘소나 수검은꽃하늘소,수검은산꽃하늘소와 흡사하여 구별이 만만치 않다.더듬이 길이와 가슴의 형태로 일단 동정한다.2019.6.16. 원주 2019. 6. 26. 붉은산꽃하늘소 Stictoleptura (Aredolpona) rubra 자주 만나는 흔한 하늘소이다. 달맞이꽃에 앉아 있던 녀석을 기록했다.2019.6.20. 학교2019.7.11. 학교 2019.8.9. 인제 2020.8.29. 고한 2024.8.1. 횡성 2019. 6. 26. 큰톱날물결자나방 Ecliptopera umbrosaria 추정 생김을 보니 영락 없는 자나방 애벌레인데이름 찾기가 만만치 않다.나방 애벌레 도감을 보고사진 검색을 해 보니붉은 무늬가 없는 개체도 있다 하여 이름 붙인다.2019.6.19. 학교 2019. 6. 24. 이시다매미충 몇 번 관찰한 것 같은데무늬나 생김의 차이가 고만고만해 동정이 만만치 않다.학명에 이시다가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일본 곤충학자가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뽕나무 잎에서 발견했다.2019.6.20. 학교 2019. 6. 24. 띠호리잎벌 Tenthredo (Tenthredo) ussuriensis ussuriensis 생김은 황호리병잎벌과 비슷한데 황색이 없이 노란띠만 보인다. 2019.6.8. 봉화 2019. 6. 23. 흰줄표범나비 Argynnis laodice 부전나비류를 관찰하려는데 갑자기 휙 날아와 쫓고그 자리에 앉은 녀석이다.2019.6.15. 원주 2019. 6. 23. 긴수염대벌레 약충은 처음 만난다.작고 귀엽다.긴 더듬이가 특징적이다.2019.6.16. 치악산휴양림 2019. 6. 21. 홀쭉사과하늘소 Oberea atropunctata 화단 정리 중화살나무에 뭔가가 휙 날아왔다.더듬이를 보니 하늘소 종류이다.잎 아래에 붙어 있어제대로 기록하진 못했지만배의 2마디가 검다.2019.6.14. 원주 2019. 6. 17. 산북방장님노린재 Capsus wagneri 줄기에 매달려 죽어 있던 녀석을 만났다.첫 만남인데 안타깝다.2019.6.15. 원주 2019. 6. 17. 참별박이왕잠자리 우화한 지 얼마 안되어 날개를 말리고 있던 녀석이다.2019.6.8. 경북 봉화 2019. 6. 17. 노랑무늬넓적매미충 Penthimia dorsimaculata 노랑 점 무늬로 인해 얼핏 보면 무당벌레 종류로 보이기도 한다.자세히 들여다보면몸이 넓적한 매미충 종류이다.2019.6.16. 원주 2019. 6. 17. 돈무늬팔랑나비 새로운 녀석을 만났다.게다가 예쁘기까지 하다.또 날개 윗면과 아랫면을 모두 담았다.날개 아랫면의 원 무늬 때문에 '돈무늬'로 이름 붙여진 녀석이다.2019.6.16. 치악산휴양림 정상 부근에 여러 마리가 관찰된다.여전히 예쁘다.2019.8.5. 함백산 2019. 6. 16.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