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기생파리류 부화를 기다리던 호랑나비 번데기에서구데기 한 마리가 나와 벽을 타고 기어내려온다.2019.8.6. 원주 호저면 채집한 지 하루만에 이렇게 번데기가 되었다.2019.8.7. 사육 2019. 10. 3.
솔귀뚜라미 수컷의 모습 날개의 울음판이 잘 발달되어 있다. 날개를 들고 울고 있는 장면도 관찰했다. 저녁을 먹고 손전등에 의지해 민박집을 나서니 섬의 밤풍경은 낯설지만 마음은 들뜬다. 바닷가 모래뻘 옆 사초 언덕 여기저기서 청아한 울음소리가 들려 발걸음을 멈춘다. 손전등을 비추어가며 조심스레 접근하여 녀석들의 정체를 기록한다. 암컷의 모습 2019.9.28. 서천 유부도 2019. 9. 30.
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의 동종포식 폐염전에 게 보러 가다가 발견했다. 둘다 암컷으로 보이는데 한 녀석이 동종인 다른 녀석을 먹고 있다. 2019.9.29. 서천 2019. 9. 30.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 Zubovskya koreana 2017.8.8. 평창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날개가 없는 녀석이다. 2019.8.5. 고한 2020.8.29. 고한 2019. 9. 30.
어리장수잠자리 Sieboldius albardae 수채 유충은 물 속에서 어렵지 않게 만나는데 잠자리는 아직 기록하지 못했다. 2019.8.31. 원주 2020.3.25. 원주 2021.9.12. 횡성 2023.2.28. 횡성 2019. 9. 12.
큰쥐박각시 Psilogramma increta 누리장나무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흰색 줄무늬와 꼬리돌기가 독특하다.2019.8.13. 원주       채집해 온 녀석을 다시 그 자리에 데려가변화한 모습을 기록했다.초록색이었던 몸이이렇게 자주색으로 변할지 생각도 못했다.2019.8.16. 원주 몸이 굵고 짧아졌다.번데기 될 준비를 하나 보다.2019.8.18. 사육허물의 모습  탈피 후 초기의 번데기는 연두색이었다가점점 색이 갈색으로 변하고 있다.2019.8.19. 사육짙은 갈색으로 변한 번데기의 모습검은색에 가까워지고 있다.2019.8.20. 사육 2019. 9. 12.
허리무늬대모벌 Episyron arrogans 마사토 바닥에 구멍을 파고 있다.2019.8.4. 원주 2019. 9. 8.
고치벌 일종 중국고치벌과 비슷하나 차이가 있다.일단 고치벌과에 속한 녀석으로 동정한다.2019.6.29. 원주 매호리 2019. 9. 6.
포충나방 일종 잔디밭 주변에서 여러 마리를 관찰했는데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포충나방 종류 비슷해 보인다.2019.6.8. 경북 봉화 2019. 9. 5.
호랑나비 Papilio xuthus 시골집 화단 탱자나무와 산초나무 주변 여러 개체가 번데기로 붙어 있다. 집벽에도 여러 마리이다. 몇 마리나 무사히 우화할까? 2019.8.2. 원주 2020.5.16. 원주 2020.9.8. 원주 2021.7.16. 원주 시골집 벽에 붙은 번데기의 모습 초록형과 갈색형의 번데기만 있는 줄 알았는데, 색이 생각보다 다양해 신기하다. 2021.9.3. 원주 2019. 9. 5.
맵시곱추밤나방 Cucullia pustulata 2019.7.28. 원주 호저면2019.7.31. 원주 호저면2019.8.1. 원주 호저면2019.8.2. 원주 호저면    시골집 화단의 상추류 잎에 녀석들이 여럿 보인다.아주 어린 녀석부터 종령까지 애벌레도 다양하다.2019.7.28. 원주 호저면2019.7.30. 사육 잎을 잘게 씹어서 번데기를 틀 자리를 만들고 있다.2019.7.31. 사육길이가 줄어들었고, 무늬도 달라졌다.2019.8.1. 사육 번데기가 되었다.2019.8.3. 사육애벌레 탈피각의 모습2019.8.7. 사육번데기의 색이 짙어졌다.2019.8.12. 사육번데기의 색이 검은색에 가까워지고안의 모습이 비친다.2019.8.19. 사육  드디어 무사히 우화하였다.2019.8.20. 사육왕고들빼기 잎을 먹고 있다.참 힘든 자세로 식사 중이.. 2019. 8. 20.
통바구미 Merus sp. 통바구미 종류로 보이는데아무리 찾아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2019.7.24. 제주 2019. 8. 18.
얼룩어린밤나방 날개의 무늬와 다리의 털이정말 인상적인 녀석이다.날개의 줄무늬가 화려하다.2019.8.9. 인제 2024.6.1. 구례 2019. 8. 18.
두색맵시벌 Holcojoppa bicolor 호랑나비 번데기에서 나온 녀석이다.아직 초록색의 번데기인데 빨리 나온 듯하다.몸의 색이 독특해서 이름을 금방 찾을 수 있었다.      2019.8.12. 원주(사육)    시골집 뒤뜰 화단에 심어놓은작은 산초나무 주위로 녀석이 돌아다닌다.한동안 주변을 어슬렁거리길래 지켜보니호랑나비 애벌레를 찾아 산란을 하고 있다.예전 관찰했던호랑나비 번데기 기생의 시작이다.호랑나비 애벌레에게 산란하는 모습2020.5.16. 원주 왼쪽 날개의 일부가 손상된 녀석이라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2021.8.5. 원주 2019. 8. 18.
긴꼬리제비나비 Papilio macilentus 호랑나비 애벌레 사이에서다른 녀석을 찾았다.     호랑나비나 제비나비와는 또다른 무늬를 지녔다.2019.7.28. 원주   2019.8.2. 원주 담벼락과 벽에 갈색형 번데기를 틀었다.탱자나무에 몸을 고정하고 번데기가 되기를 기다리는 녀석2019.8.6. 원주  초록형의 번데기 모습초록형도 무늬와 색이 다소 다르다.2019.8.8. 원주    기생 당하지 않고 무사히 우화한 녀석2019.8.11. 사육 화단 탱자나무에 녀석이 매달려 있다.사진을 담으려고 보니 옆에 번데기가 보인다.월동 번데기에서 우화 후 날개를 말리는 중인 듯하다.겨우내 번데기를 찾으려고 할 때는 안 보이더니가까운 곳에서 이렇게 관찰이 된다.뒷날개 위에 흰 띠가 보인다.수컷 성표이다.   2020.4.18. 원주 2022.6.11. 원주 2019. 8. 15.
꼬리명주나비 Sericinus montela 여기저기 많이 관찰된다. 2019.8.11. 원주 2021.7.19. 원주 예전보다는 개체수가 줄었지만 여전히 알, 애벌레, 성충을 관찰했다. 풀이 점점 무성해지며 쥐방울덩굴의 세력이 약해지니 녀석들의 번데기 찾기가 어렵다. 2021.7.23. 원주 2023.8.8. 원주 2019. 8. 15.
둥글먼지벌레 일종 Amara sp. 미나리냉이에 여러 마리가 붙어 있다. 씨앗주머니를 갉아먹고 있다. 2019.6.16. 원주 2019. 8. 15.
옛우엉바구미 추정 딱지날개가 넓고 길이가 짧다.엉겅퀴 등에 잘 날아온다고 한다.2019.8.5. 함백산 2019. 8. 15.
수수꽃다리명나방 Palpita nigropunctalis 2019.8.5. 고한 앞날개 위쪽 테두리가 오렌지빛이라 인상적이다. 2019.8.8-9. 인제 2019. 8. 15.
흰염소하늘소 Olenecamptus riparius 작고 흰 녀석이 앙증맞다.야간 불빛에 찾아왔다.2019.8.8. 인제 2019. 8. 11.
들깨잎말이명나방 Pyrausta panopealis 2019.7.28. 원주 아주 어렸을 때는 연두빛이었다가클수록 붉은색이 보인다.2019.7.30. 사육다 큰 녀석들은 붉은색을 띤다.2019.7.31. 사육 번데기방을 만들고 몸도 변하고 있다.2019.8.1. 사육 2019.8.3, 사육 번데기에 날개 무늬가 비친다.2019.8.7. 사육 들깨잎과 새순을 망가뜨리던 녀석을 체포해왔다.괘씸한 마음이었는데,우화한 녀석이 예쁘다.2019.8.8. 사육2019.9.19. 원주 2019. 8. 10.
번개오색나비 정상 오르는 가파른 능선에서 만났다.생각보다 크기가 크다.2019.8.5. 함백산 2019. 8. 8.
대모벌 일종 Pompilinae sp. 정확한 이름을 알 수는 없으나배에 노란 줄이 두 개 있는 녀석이다. 금방 거미를 사냥하였다.2019.7.13. 영월 도원리 2019. 8. 7.
왕사마귀 Tenodera sinensis 탈피 모처럼 밤에 관찰을 나갔더니 풀숲 여기저기서 왕사마귀가 탈피 중이다. 2019.8.3. 원주 2019. 8. 7.
애기물방개 작은 녀석이지만 형태나 행동이 물방개와 똑같다. 2019.8.1. 원주 태장동 물속에서는 워낙 빠르게 도망가고 작은 녀석이라 채집하여 기록하였다. 2020.3.20. 원주 대덕리 산속 둠벙에 여러 개체가 보인다. 유충도 처음 관찰한다. 2020.6.14. 원주 주산리 2020.6.20. 원주 주산리 바닥에 내려앉아 쉴 때는 항상 이렇게 숨을 만한 곳을 찾는다. 유충이 먹이사냥을 했다. 2020.6.22. 원주 주산리 논 가장자리에서 발견했다. 2020.7.25. 원주 호저면 2021.9.25. 강원 고성 2019. 8. 7.
산수풀떠들썩팔랑나비 오랜만에 팔랑나비류 종추가했다.2019.8.5. 함백산 2019. 8. 7.
흰점빨간긴노린재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 색과 무늬가 화려하다.정상부 산형과 식물에서 여러 마리를 만났다.바람이 너무 불어 손으로 줄기를 잡고 간신히 초점을 맞추었다.2019.8.5. 함백산 2019.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