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큰날개뱀잠자리붙이 Neuronema albostigma 2018.7.28. 영월 2020. 2. 2. 좀파리 뽕나무 수액에 찾아온 녀석인데생김이 독특하다.더름이 끝 부분도 희고넓적다리에 황색 띠무늬가 있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2019.7.5. 학교 2020. 2. 2. 등에살이뭉툭맵시벌 Diplazon laetatorius 쑥잎 위에 있던 녀석인데선천적 우화부전인지날개가 정상은 아닌 듯하다.도움을 받아 이름을 찾았다.2019.6.26. 학교 2020. 2. 2. 민무늬강도래 Alloperla sp. 일종 가슴등판에 검은색 무늬가 전혀 없는 어린 녀석이라 세부적인 동정은 어렵다.녹색강도래과 민무늬강도래속에 속한 녀석이다.2019.8.9. 인제 2020. 1. 29. 극동줄과실파리 2019.8.8. 인제 연가리 2020. 1. 29. 무늬뿔벌레 Stricticollis valgipes 작은 개미 정도의 크기이다. 딱정벌레목 뿔벌레과에 속한 녀석이다.2013.7.25. 원주 2020. 1. 29. 중국꼬마강변먼지벌레 작은 녀석인데 딱지날개에 한 쌍의 황색 점 무늬가 있다.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13.8.3. 원주 2020. 1. 29. 아메리카잎굴파리 추정 무지하게 작은 녀석이다.이름을 찾기 위해 검색을 하다 보니굴파리 분야도 미지의 세계이다.비슷한 사진을 보고 일단 동정한다.2019.7.4. 학교 2020. 1. 23. 톱니무늬버섯벌레 Aulacochilus luniferus decoratus 딱지날개의 주황색 무늬가 톱니보다는 마주보는 동물(개)처럼 생겼다.2013.7.24. 원주 밑빠진벌레, 버섯벌레,송장벌레 쪽을 온통 검색하며겨우 이름을 찾았다.2019.7.31. 원주 2020. 1. 22. 검정날개알밑빠진벌레 Meligethes flavicollis 왜당귀 꽃잎에서 발견했다.무척 작다.2016.6.17. 학교 2020. 1. 22. 칠성무당벌레 Coccinella (Coccinella) septempunctata 2011.6.30. 원주 2014.6.8. 원주 2016.6.12. 원주 2017.8.1. 원주 2017.9.2. 원주 2019.7.24. 제주 2019.8.3. 원주 2020. 1. 22.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애벌레 애벌레의 크기도 작다. 진딧물 종류를 사냥해 먹고 있다. 2013.7.3. 원주 2019.6.10. 원주 2020. 1. 22. 왕풍뎅이 은사시나무 가지에 붙어 있는 녀석을 발견했다. 2016.7.5. 원주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 2018.8.8. 인제 2019.8.4. 원주 2023.8.26. 제천 2020. 1. 22. 줄우단풍뎅이 2014.6.29. 치악산휴양림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9.7.13. 영월 도원리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20. 1. 22. 황갈색줄풍뎅이 Sophrops striata 머리방패의 가운데 부분이 들어가 있어이름을 찾을 수 있었다.2019.8.3. 원주 2020. 1. 22. 볕강먼지벌레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무척이나 작다딱지날개의 연황색 점이 도드라진다.2019.8.8. 인제 연가리 2020. 1. 22. 각시뒷노랑수염나방 섬 전역에 너무 많아 궁금했던 녀석이다.머물고 있던 철새들도 녀석들을 사냥했다.2019.4.21. 흑산도 2020. 1. 19. 중베짱이류 어린 시기에는 특징이 잘 보이지 않아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중베짱이나 긴날개중베짱이 약충으로 보인다.2018.5.20. 원주 대덕리 2020. 1. 19. 엷은먼지벌레 무척이나 작은 녀석이다.진딧물 종류를 잡아먹고 있는 녀석을 강변에서 만났다.2019.6.29. 원주 대덕리 2020. 1. 19. 무늬강도래 Kiotina decorata 날개 테두리의 연노랑 색이 특징적이다.2006.6.2. 원주계곡 주변이 녀석들로 북적인다.여기저기 많이도 붙어 있다.2024.6.7. 정선2024.6.29. 정선 2020. 1. 19. 두눈강도래 Neoperla coreensis 2016.7.31. 원주 혼동되긴 하지만 홑눈의 갯수가 두 개로 보여 일단 동정한다. 2018.8.7-8. 인제 2020. 1. 19. 고동털개미 시골집 화단의 참당귀에 꼬인 진딧물 종류와 이 녀석들을 관리중인 개미의 모습이다. 2019.7.1. 원주 호저면 2020. 1. 19. 새각시매미충 2014.7.30. 원주 호저면 알락맥각시매미충과 흡사하여 구분이 어렵다.2019.6.29. 원주 매호리 2020. 1. 18. 진강도래 Oyamia nigribasis 다리의 주황색, 흰색, 검은색 무늬가눈에 들어온다.가슴등판은 검다.2013.6.15. 원주계곡이 가깝다 보니등화 불빛에 많이 모여들었다.모여든 녀석들끼리 짝짓기를 한다.수서 시절에 기생당했는지우화 후 붙은 것인지몸에 응애류가 잔뜩이다.배끝에 알덩이 같은 것이 붙어 있다.검색을 해 보아도 녀석의 알인지 결과가 신통치 않다.2023.6.10. 남원 2024.6.7. 진부 여기저기 많이 보이긴 하는데다들 힘이 없다.번식의 과업을 이루고죽어가는 것일까?2024.6.29. 정선 2020. 1. 7. 여린녹색강도래 Sweltsa lepnevae 가슴 테두리에 검은색 줄이 특징적이다.녹색 기운이 도는 연노랑의 몸색을 지녔다.2008.5.10. 원주2024.6.1. 구례 2020. 1. 7. 세욱갈고리나방 배 끝에 긴 꼬리가 있는 녀석이다.2019.7.3. 원주 호저면 2020. 1. 7. 통나무풍뎅이 Saprosites japonicus 나무 속에서 발견해나무좀 종류인 줄만 알았는데이제서야 이름을 단다.똥풍뎅이과에 속한 녀석이다.2014.7.27. 원주 2020. 1. 7.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