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주홍알락매미충 의외로 물에 빠져 발견되는 녀석들이 꽤 있다.2020.3.20. 원주 주산리 2020. 4. 2.
애딱정벌레 막내가 찾아준 작고 예쁜 녀석이다.처음 만난다.초록 광택에 눈이 부시다.2020.3.29. 원주 대덕리 2020. 3. 31.
풍뎅이붙이류 발발거리고 잘도 돌아다닌다.이 녀석들도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2020.3.29. 원주 대덕리 2020. 3. 31.
Synuchus속(납작먼지벌레류) 2018.8.12. 함백산 2020. 3. 31.
흰테두리땅노린재 Canthophorus niveimarginatus 바닥을 기고 있는 녀석을 처음 만났을 때는그냥 남색주둥이노린재라 생각했는데자세히 보니 몸의 형태도 다르고이 녀석은 흰색 테두리가 있다.2020.3.29. 원주 2020. 3. 31.
가는청동머리먼지벌레 2016.5.27. 학교 야간에 땅바닥을 기던 녀석을 불빛으로 찾았다. 낮처럼 빨빨거리지 않고 얌전해서 선명히 기록할 수 있었다. 2020.3.26. 원주 주산리 길에서 밟힌 것인지 가슴등판이 갈라졌다. 길가에 많이 보인다. 빛을 잘 받으니 몸색이 제대로 나온다. 2020.3.29. 원주 대덕리 야간에 플래시를 터뜨리니 이렇게 구릿빛 광택으로 반들거린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3.10.1. 원주 2020. 3. 30.
등판꼬마긴노린재 하천가에서 수서곤충 촬영중인데 테이블로 날아와 기어다니던 녀석이다. 무지하게 작다. 2020.3.26. 원주 옥산리 2020.4.18. 원주 호저면 2020. 3. 29.
노랑무늬꼬마밤나방 밤나방과에 속한 녀석을 잎말이나방과에서 무작정 찾았으니이름이 나올 턱이 없다.2019.7.24. 제주 매오름 2020.8.8. 제주도 2020. 3. 29.
붉은머리비단명나방 줄검은들명나방과 많이 닮아서처음에는 녀석의 날개 인편이 다 떨어졌나 싶었다.도움으로 동정하였다.2019.7.13. 영월 도원리 2020. 3. 26.
흰변두리밤나방 2017.9.9. 원주 대덕리 2020. 3. 25.
유럽무당벌레 Calvia quatuordecimguttata 물에 빠져 떠다니던 녀석이다.십이흰점인 줄 알았는데딱지날개의 흰 무늬를 세어 보니7개씩 모두 14개이다.2020.3.22. 원주 2024.6.29. 정선 2020. 3. 23.
좀딱부리반날개 추정 몸의 전체적인 생김으로는 딱부리반날개류가 맞는데더 자세한 동정은 이 사진만으로는 불가하다.2020.3.18. 원주 대덕리 2020. 3. 20.
남방쌍무늬짤름나방 2019.7.24. 제주 매오름 2020. 3. 20.
아리랑꼬마밤나방 2019.8.9. 인제 연가리 2020. 3. 20.
딱부리물벌레 Ochterus (Ochterus) marginatus marginatus 갯노린재 종류라고 생각했는데검색해보니 다른 녀석이다.갯노린재에 비해 좀더 크고톡톡 튀어다닌다.2020.3.18. 원주 2020. 3. 19.
깔따구 일종 이 녀석은 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날개에 얼룩 무늬가 있다.더듬이도 독특하다.2020.3.18. 원주 대덕리 2020. 3. 19.
우묵날도래류 Limnephilidae sp. 우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지 논물 위를 날아다닌다. 우묵날도래 종류로 추정되는데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다. 2020.3.16. 원주 2020. 3. 18.
일본흰개미 2016.4.28. 학교 2020.5.14. 학교 2020.5.16. 원주 호저면 2020. 3. 16.
요시마쯔깔따구 Chironomus (Chironomus) yoshimatsui 이제서야 이름을 붙인다. 2006.6.15. 원주 2020.4.13. 원주 2020.4.18. 원주 2023.4.1. 원주 2020. 3. 15.
빨간도꾸나가깔따구 Propsilocerus akamusi 논에서 우연히 관찰했다.번데기에서 깔따구가 우화하는 모습이다.날개의 기부가 붉은빛이라검색하여 어렵지 않게 이름을 찾았다.'도꾸나가'는 발견자의 이름이다.2020.3.11-12. 원주 2020.3.18. 원주 2020. 3. 15.
갯노린재 일종 (Saldidae) 논물 위를 기어다니는 아주 작은 녀석이다.확대하여 생김을 보니 영락없는 노린재류다.자료를 찾아보니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갯노린재류의 정확한 동정은 힘들다고 한다.2020.3.11. 원주       2020.3.12. 원주 2020.3.20. 원주 2020. 3. 12.
땅별노린재 계곡 옆 묵정밭에 있는 큰 바위에서 이끼와 지의류를 관찰하다가 발견했다.따뜻한 날씨 때문인지 많은 개체들이 짝짓기 중이다.아마도 바위 틈새에서 월동한 듯 싶다.처음 만나는 녀석이라 집에 와 찾아보니안타깝게도 땅별노린재와 별노린재 중 하나인데아래 배면의 사진이 없어 둘 중 어느 녀석인지 동정이 불가하다.2020.2.27. 원주 금대리 결국 비가 그치고 다시 찾았다.마음이 급해 인위적으로 아래 배면을 기록하니 정체가 파악된다. 한참을 지켜보니 자연스레 아랫면이 보인다.나처럼 마음이 급했는지때로 세 녀석이 엉켜붙기도 한다.2020.2.29. 원주 금대리 이 녀석들은 꼭 이렇게 배를 찍어야 동정이 확실하다.2020.3.29. 원주 대덕리 텃밭 아욱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배 아랫면을 보니 확실히 구분이 된다.20.. 2020. 2. 29.
별노린재 별노린재와 땅별노린재는 아래 배면을 봐야만 확실히 동정이 된다. 이 녀석은 몸의 아랫면이 온통 검다. 2011.10.5. 학교 2020.3.29. 원주 대덕리 2020. 2. 29.
각시멧노랑나비 뿔나비 이후로 올해 두번째 관찰한 나비이다.월동 개체라 날개 손상도 있고, 갈색 반점도 많다.2020.2.27. 원주 금대리 2020. 2. 28.
닮은밤바구미 Curculio conjugalis 추정 이렇게 손에 올려도 떨어지지 않는다.열심히 짝짓기 중이다.다른 밤바구미 종류에 비해주둥이가 무척 짧다.2022.8.14. 원주 2020. 2. 12.
과실파리과 여러 번 관찰했는데 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2019.7.20. 원주 주산리 2020. 2. 10.
벼애나방 2011.8.13. 원주 2013.8.3. 원주 2019.8.4. 원주 주산리 2020.8.16. 원주 대덕리 2020.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