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등줄박각시 Marumba sperchius 산등줄박각시와 비슷하나뒷날개의 점무늬 2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2011.7.28. 원주 2020. 9. 2. 은빛들명나방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무늬가 인상적이다.2020.8.8. 제주 매오름 2020. 8. 31. 검은수중다리나방 Dysgonia obscura 2019.6.15. 원주 2020. 8. 31. 흰점애기짤름나방 2019.8.3. 원주 태장동 2020. 8. 31. 왕흰줄태극나방 Erebus ephesperis 나방도감을 살펴보다 폴더에 있던 녀석을 찾았다.흰줄태극나방인 줄 알았는데어라, 흰 줄이 더 있다.쉽게 종추가한다.2004.10.21. 원주 2020. 8. 31. 검정무늬주홍불나방 Stigmatophora rhodophila 불나방과에 속한 녀석인데크기가 좀 작다.2020.8.10. 제주 2020. 8. 31. 애기담흑물결자나방 애기담흑물결자나방과 긴꼬리물결자나방은 너무 흡사하다. '한국의 자나방' 도감을 보면 긴꼬리물결자나방의 국내 분포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나와 있다.최근에 발간된 '한국 나방 도감'에는 사진이 실렸는데아무리 들여다봐도 잘 모르겠다.2012.6.10. 원주 2020. 8. 31. 흰줄태극나방 Metopta rectifasciata 앞날개에 있는 태극무늬가 압권이다.날개에 굵은 흰 줄무늬가 보인다.2020.8.9. 제주 2024.6.1. 구례 2020. 8. 31. 이마불나방 Phragmatobia amurensis 2013.8.11. 원주 2020. 8. 31. 각시재주나방 Rosama ornata 2011.8.6. 원주 2020. 8. 31. 파리매 알집과 기생벌의 산란 (Asilidae) 파리매 종류의 알집에 작은 기생벌들이 보인다.몸의 반 정도를 알집에 꽂고 열심히 산란중이다.2020.8.16. 원주 2020. 8. 25. 홍줄노린재 미나리과(산형과) 식물에 오렌지색 줄무늬를 가진 녀석들이 보인다. 구릿대로 추정되는데, 홍줄노린재 세 마리가 붙어 있다. 2020.8.23. 원주 대덕리 2021.9.23. 원주 호저면 2022.6.12. 원주 호저면 2020. 8. 24. 보라금풍뎅이 Phelotrupes (Chromogeotrupes) auratus 언제 만나도 광택이 멋진 녀석이다.임도 주변 몇 마리가 날아다닌다.2020.8.22. 제천 2024.10.19. 원주 2020. 8. 23. 별거저리 몸이 길쭉하고 딱지날개에 줄무늬가 선명하다.2020.8.10-11. 제주 표선면 2020. 8. 17. 대왕거저리 Promethis valgipes valgipes 거저리 종류 중 가장 큰 녀석이다. 그래서 이름도 대왕이다. 2020.8.11. 제주 2020. 8. 17. 청줄하늘소 Xystrocera globosa 연갈색 위에 청색 펄이 도드라진다.이름과 생김이 잘 어울린다.2020.8.9. 제주 2020. 8. 17. 흰점하늘소 Glenea (Glenea) relicta relicta 딱 한 장만 허락하고바로 날아가버린 작은 녀석2020.8.9. 제주 2020. 8. 16. 문주란밤나방 Brithys crini 해안도로가에 피어 있는 문주란을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를 들이밀다가 처음 보는 애벌레를 만났다. 찾아보니 이름 기억하기도 쉽다. 셋트로 외우면 되겠다. 2020.8.8. 제주 2020. 8. 16. 제주왕딱정벌레 2020.8.9. 제주 다랑쉬오름 2020. 8. 16. 긴꼬리제비나비 Papilio macilentus 애벌레 올해는 시골집 뒤뜰 탱자나무와 산초나무에나비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뒤늦게 작은 애벌레 한 마리 찾았다.2020.7.25. 원주 많이 먹고 부쩍 자랐다.2020.7.30. 원주 2021.7.21. 원주 2021.9.3. 원주 2020. 8. 2. 꼬마꽃등에 작은 시골동네 여기저기 이 녀석들이 많이 보인다.금방 우화한 듯 아직 잘 움직이지 못하는 녀석도 있고짝짓기 중인 녀석들도 보인다.주변에서 발견했는데, 우화 직전의 꽃등에류 번데기이다.안에 들어있는 모습을 보니 꼬마꽃등에로 추정이 된다.2020.725. 원주 호저면 2020. 8. 2. 꽃등에류 애벌레 과수원 주변 억새 잎 뒤에 복숭아가루진딧물이 바글거린다.자세히 살피니 천적인 꽃등에 종류가 보인다.2020.6.14. 원주 주산리2020.6.22. 원주 주산리정체를 알고 싶어 데려왔으니 더이상 진전이 되질 않았다.2020.6.17. 사육 2020. 8. 2. 극동등에잎벌 Arge similis 애벌레 연산홍에 녀석들이 바글거려 잎이 초토화되고 있다. 어릴 때는 애벌레의 머리부분이 검은색이었다가 더 크니 주황색으로 바뀌었다. 2020.7.30. 원주 2020. 8. 2. 왕바다리 시골집 대문 우체통 아래에 둥지를 튼 녀석이다.아직은 한 마리만 붙어 있다.2020.6.2. 원주 호저면 고민 끝에 안전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제거했다. 벌집 안에는 우화 직전의 애벌레도 보인다.2020.6.6. 원주 호저면 양수기 모터에 교묘하게 집을 매단 녀석들이다.발견하지 못했다면 병원 신세를 졌을 것이다.2020.7.5. 원주 주산리 2020.7.30. 학교 2020. 7. 20. 대모송장벌레 Necrophila (Calosilpha) brunneicollis brunneicollis 가슴등판의 색이 유난히 튀는 녀석이다.2020.7.7. 학교 2020. 7. 18. 큰우단하늘소 Acalolepta seunghwani 화단의 음나무에 녀석이 앉아 있다.갉아먹은 흔적이 보인다.2020.6.30. 원주 2020. 7. 10. 점박이염소하늘소 Olenecamptus clarus 쓰레기통 종이컵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주변의 낮은 뽕나무 잎에 붙여 두니 발발거리며 뒷면으로 자꾸 가려고 한다.날개를 펴고 날기를 시도 하나잘 날지는 못한다.자세히 살피니몸에 진드기가 여러 마리 붙어 있다.2020.7.6. 학교 2020. 7. 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