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갈색왕밑빠진벌레 Phenolia (Lasiodites) picta 어디로 들어왔는지늦은 밤 집안에서 발발거린다.옳거니 바로 모델이다.2021.8.23. 원주 2021. 8. 23. 애알락명주잠자리 날개의 무늬가 눈에 확 들어오는 예쁜 녀석이다. 2021.8.11. 원주 대덕리 2021. 8. 12. 유지매미 Graptopsaltria nigrofuscata 온전하게 자연 그대로인 녀석은 이제서야 만났다. 날개맥 정말 최고다. 숲길 언저리 낙엽 위에 날개 한 쪽 남아 있다. 2021.8.11. 원주 2021. 8. 11. 칠성털날개나방 2021.7.22. 원주 2016.9.13. 원주 날개는 갈색이고 가슴 부위는 연두빛이 돈다. 날개의 1/3, 2/3 부근에 점무늬가 있다. 흔하게 관찰되는 종류이다. 2019.6.20. 원주 2023.9.10. 원주 2021. 8. 11. 들깨뿔나방 Chrysoesthia drurella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무척 작다보니 그동안 놓친 것 같다.2021.7.29. 원주 2021. 8. 10. 점박이큰벼잎벌레 Lema (Petauristes) adamsii 201.7.26. 원주 2021. 8. 9. 참매미 Hyalessa maculaticollis의 죽음 긴 땅속 생활을 마치고 날개돋이를 시작하던 참매미가 털왕개미와 큰뱀허물쌍살벌에 의해 결국 죽임을 당했다. 지상에서의 짧은 삶이 마무리되었다. 2021.8.5. 원주 2021. 8. 9. 세줄알락수시렁이 Trogoderma varium 시골집 벽에도 꽤 많은 생명들이 방문한다. 2020.6.6. 원주 2021. 8. 8. 정숙머리멸구 이름 참 독특한 녀석이다. 2021.8.5. 원주 대덕리 2021. 8. 8. 왕사과잎말이나방 검은 점 무의가 하트 형태이다. 2021.7.29. 원주 대덕리 2021. 8. 8. 닮은큰재니등에 처음 만난다. 날개의 반은 검고, 반은 투명한 녀석이다. 2021.7.26. 원주 대덕리 2021. 8. 6. 검정우리알버섯벌레 Cyrtoplastus seriepunctatus 작고 시커먼 녀석인데다가 생김도 둥그렇다 보니 초점 맞추기도 만만치 않다. 게다가 더듬이 빼면 무당벌레와 흡사해 분류군 찾기도 만만치 않다. 더듬이 끝의 세 마디에서 다섯 마디 정도가 크고 넓다. 2020.5.16. 원주 2021. 8. 6. 먹가뢰 더듬이가 더 발달된 녀석이 수컷이다. 흰전동싸리에 대여섯 마리 관찰된다. 2021.8.4. 제천 고명동 2021. 8. 5. 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의 사냥 사마귀가 우리벼메뚜기 약충을 사냥해 먹고 있다. 2021.7.26. 원주 2021. 7. 28. 돼지풀잎벌레 Ophraella communa 날이 너무 더운 것인지 곤충도 많이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돼지풀에 녀석들이 바글거려 오랜만에 한살이 몇 장 기록한다. 2021.7.26. 원주 2021. 7. 27. 큰뱀허물쌍살벌 Parapolybia indica 나방 애벌레를 사냥해경단을 만들고 있다.털로 방어막을 치고 있는 녀석인데,속수무책으로 당한다.2021.7.23. 원주 애벌레를 사냥했다.2023.8.7. 원주 2024.10.4. 횡성 2021. 7. 26. 사향제비나비 Atrophaneura alcinous 애벌레 쥐방울덩굴 숲에서꼬리명주나비의 알과 애벌레는비교적 쉽게 보이는데이 녀석은 잘 보이지 않는다.어렵게 두 마리 관찰했다.2021.7.23. 원주 2-3m 남짓한 쥐방울덩굴 군락에서10여 마리 이상의 개체가왕성하게 먹이활동 중이다.벌써 자리를 잡은 녀석도 보인다.2022.6.9. 원주 2021. 7. 26. 사과무늬잎말이나방 날개 위 콧수염 무늬가 인상적인 녀석이다. 2021.7.23. 원주 호저면 2021. 7. 26. 별박이세줄나비 Neptis pryeri 조팝나무 가지에 걸린 작은 나뭇잎이 눈에 들어와 살펴보니 나비의 번데기다. 도감을 살펴보니 줄나비 종류의 번데기로 보이는데 그중 별박이세줄나비와 가장 닮아 추정한다. 2021.7.23. 원주 정확한 동정을 위해 채집해온 번데기의 색이 변했다. 날개의 무늬가 비친다. 우화가 임박했다. 2021.7.26. 사육 이른 아침 우화에 성공했다. 추정한 대로 별박이세줄나비로 확인되었다. 2021.7.27. 사육 2021.7.29. 원주 땀을 흘려서인지 주변으로 녀석이 계속 접근한다. 침바르기 신공으로 녀석을 손가락에 올려보았다. 바지에도 붙었다. 두번째 만난 번데기의 모습 세번째 만난 번데기의 모습 한번 보고 나니 자주 보인다. 2021.8.5. 원주 2021.8.12. 원주 2021. 7. 24. 빈대붙이 Dybowskyia reticulata 도토리노린재와 비슷하게 생겼는데,더 울퉁불퉁하게 보이고 점각이 많다.노린재 이름이 붙지 않은 노린재로독특한 이름을 가졌다.2020.5.14. 원주 2021. 7. 23. 넓은각시매미충 Goniagnathus (Epitephra) rugulosus 몸이 넓적한 녀석이라막연히 거품벌레 종류라 생각했는데이름을 찾고 보니 매미충 종류다.역시나 이름에 '넓은'이 들어간다.2020.5.12. 학교2020.6.1. 학교 2021. 7. 23. 광대매미충 알록달록 무늬가 화려하다. 2020.5.16. 원주 호저면 2021. 7. 23. 끝짤름나방 Pangrapta curtalis 갈색 잎이 말라 말려있는 듯한 형태를 한독특한 녀석이다.2020.5.25. 학교 2021. 7. 23. 쥐머리거품벌레 Eoscartopsis assimilis 너무 흔해서 안 올렸나 보다.이제야 등록한다.2021.7.10. 원주 2021. 7. 22. 아시아실잠자리 Ischnura asiatica 2021.7.19. 원주 저수지 여기저기녀석들의 짝짓기가 한창이다.금방 우화한 녀석도 관찰된다.2021.7.21. 원주 상투벌레 종류를 먹고 있다.2024.7.6. 원주 2024.8.8. 원주 2021. 7. 22. 굵은수염하늘소 Pyrestes haematicus 시골 화단 으아리꽃에서 발견했다.더듬이가 짧고 굵은 녀석이다.2021.7.16. 원주 2021. 7. 16. 은줄팔랑나비 Leptalina unicolor 배 끝에서 물을 빼고 있다.금방 우화한 녀석인지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아제대로 기록할 수 있었다.멸종위기 2급인 귀한 녀석으로<p style="text-align: ce.. 2021. 7. 4.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