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노랑띠알락가지나방 Biston panterinaria 등화에서 만난 녀석이다. 2022.7.2. 제천 2022. 8. 13.
참매미 Hyalessa maculaticollis 2022.7.29. 원주 2022.8.6. 원주 잘 날지 못하고 바닥에서 관찰된다. 지상에서의 짧은 삶도 얼마 남지 않은 듯하다. 2022.8.14. 원주 2022. 8. 7.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지금까지 만난 성충과색 패턴이 다소 다른 녀석이다.2022.8.6. 원주 붉은 줄무늬가 부적처럼 느껴진다. 2024.8.11. 영월 2022. 8. 7.
땅강아지 Gryllotalpa orientalis 밭에 풀을 뽑다가 발견했다. 오랜만이다. 2022.8.6. 원주 등화에 찾아온 녀석이다. 모래 속으로 숨어든다. 2023.9.10. 원주 2022. 8. 7.
목도리불나방 Macrobrochis staudingeri 야간 등화로 만난 녀석이다.여러 마리가 관찰된다.2022.7.2. 제천2024.6.1. 구례 2022. 8. 7.
장수깔따구 Chironomus (Chironomus) plumosus 옆에서 관찰하니 깃털이 긴 더듬이가 영국 근위병의 모자 크기와 비슷하다. 우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지 색이 밝다. 한 눈에 봐도 다른 깔따구들보다 크기가 크다. 2022.6.9. 원주 2022. 7. 29.
두줄푸른자나방 Idiochlora ussuriaria 비슷비슷한 녀석들이 많아 푸른자나방류의 동정도 참 어렵다. 일단 추정한다. 2020.6.22. 원주 2022. 7. 14.
별박이안주홍불나방 Rhyparioides amurensis 앞날개를 펴지 않아 아쉽다. 2022.7.2. 제천 2022. 7. 12.
앞노랑검은불나방 Ghoria collitoides 2022.7.2. 제천 2022. 7. 10.
좀뱀잠자리 일종(Sialidae) 하천 옆 마른 수초 줄기에 처음 보는 알덩이가 여럿 붙어 있다. 2022.6.12. 원주 우화한 개체가 있어 확대해 보았으나 도통 정체를 모르겠다. 2022.6.16. 원주 정체 파악을 위해 일부 데려왔는데 우화 후 이렇게 되어 버렸다. 좀뱀잠자리류는 이렇게 물밖에 산란 후 우화하여 물로 돌아간다고 한다. 생태를 몰랐으니 결국 이렇게 동정에 실패하고 의미없는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그래서 알아야 한다. 배워야 한다. 2022.6.21. 사육 2022. 7. 7.
점갈고리박각시 Ambulyx ochracea 등화관찰로 만난 녀석이다. 2022.7.2. 제천 2022. 7. 4.
기생벌 일종 등화시 날아온 녀석이다. 작은 깔따구 정도의 크기인데 더듬이가 독특해서 기록했다. 이름이 뭘까? 2022.7.2. 제천 2022. 7. 4.
꽃무늬나방 Camptoloma interioratum 파스텔로 그린 듯한 색감을 지녔다.2022.7.2. 제천2024.6.14. 원주 2022. 7. 3.
홍백띠뾰족날개나방 Tethea (Saronaga) consimilis consimilis 날개에 옅은 분홍색이 돈다. 그 위에 흰 무늬가 도드라진다. 2022.7.2. 제천 2022. 7. 3.
푸른곱추재주나방 Euhampsonia splendida 곱추재주나방과 비슷하나 날개의 흰 반점과 앞날개 안쪽의 노란 색이 도드라진다. 정면에서 바라보니 새롭다. 2022.7.3. 제천 2022. 7. 3.
독나방 Artaxa subflava 2013.8.3. 원주 날개의 무늬 차이에 따라 독나방도 여러 종류로 나뉜다. 2013.8.11. 원주 2022. 7. 3.
멋진노랑물결자나방 Eulithis convergenata 흰 날개의 황색 줄무늬가 빛바랜 듯하다. 2022.7.2. 제천 2022. 7. 3.
등줄실잠자리 Paracercion hieroglyphicum 깔따구 종류를 사냥해 포식하고 있다. 배끝의 하늘색에 검은 무늬가 보이지 않는다. 일단 추정한다. 2022.6.9. 원주 2022. 7. 1.
큰청실잠자리 Lestes temporalis 오랜만에 한 녀석을 만났다. 색이 점점 짙어지고 있다. 2022.6.9. 원주 2022. 6. 26.
두눈강도래 Neoperla coreensis 겹눈 사이에 위치한 홑눈이 2개이다. 여러 마리 관찰된다.2022.6.12. 원주2023.6.3. 원주 2024.8.1. 횡성 2022. 6. 26.
큰그물강도래 Pteronarcys sachalina 산간계곡 제대로 된 서식지에서 만났다. 크기가 커서 금방 녀석을 알아 보았다. 2022.6.25. 원주 2022. 6. 26.
어리장수잠자리 Sieboldius albardae 2022.6.12. 원주 우화 후 남은 탈피각 물 밖에 위치해 있다. 아직 잘 날지 못하는 녀석 우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하다. 크기를 가늠해 본다. 날개를 말리는지 수초와 바위에 붙어 있다. 한 녀석은 이렇게 꼬리를 물 속에 넣고 있다. 날개가 아직 제대로 펴지지 않았다. 오늘로 성충은 촬영 졸업이다. 2022.6.16. 원주 2022.6.22. 원주 2022. 6. 17.
큰줄날도래 Macrostemum radiatum 2022.5.22. 원주2022.5.28. 원주 크기도 크고 더듬이도 길다.날개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어기억도 쉽다.2022.6.4. 원주 2022.6.16. 원주2023.8.8. 원주 강변 등화에 날아온 모습 2024.6.14. 원주 2022. 6. 13.
큰집게벌레 Labidura riparia japonica 등화 관찰 중불빛에 모인 큰줄날도래를 사냥했다.2022.6.5. 원주 장님노린재류를 사냥했다.등화로 녀석들을 많이 관찰한다.2023.9.10. 원주불빛에 모여든 하루살이를 사냥했다.2023.9.24. 원주약충의 모습 2024.7.6. 원주 강변 자갈밭의 돌을 뒤집으니녀석들이 발발거린다. 2024.9.24. 원주 2022. 6. 13.
금빛하루살이 Potamanthus yooni 2022.5.28. 원주 불을 밝히니 차 본넷에도 앉고, 펼쳐놓은 천에도 붙어 있다. 차 지붕 위에 산란도 한다. 2022.6.1. 영월 2022.6.4. 원주 2022. 6. 13.
왕주둥이노린재 Dinorhynchus dybowskyi 하천 수초에 앉아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 2022.6.12. 원주 2022. 6. 13.
원통하늘소 Pseudocalamobius japonicus 지금까지 만난 하늘소 중 더듬이가 가장 긴 녀석이다. 몸도 작고 날씬해서 더듬이가 더 길게 느껴진다. 2022.5.26. 제천 더듬이가 몸길이의 세 배 정도인 녀석이다. 2023.6.10. 남원 2022.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