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풀종다리 Svistella bifasciata 약충의 모습수컷의 모습2021.8.12. 원주암컷의 모습2021.9.3. 원주시골집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배경은 별로지만녀석의 울음판은 선명히 드러난다. 2024.8.24. 원주 2023. 1. 25. 잔날개여치 Chizuella bonneti 2021.7.3. 원주눈 뒤의 흰색 줄과가슴 등판 테두리의흰색 줄이 잘 보인다.2022.5.22. 원주2024.6.7. 진부 2023. 1. 25.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 Asiopodabrus fragiliformis 하천 주변에서 발견했다.처음 관찰한다.2022.5.29. 제천2024.6.1. 구례 2024.6.7. 진부 2023. 1. 25. 벌목 Hymenoptera 눈각다귀류를 찾기 위해 돌아다니다 발견한 녀석이다. 많은 개체를 만났다. 눈 위에서 빌빌거린다. 벌 종류인 건 알겠는데 정확한 이름은 모르겠다. 2023.1.12. 원주 2023. 1. 23. 목하늘소 Lamia textor 섬강 주변 자갈밭의 소리쟁이에 앉아 있던 녀석이다. 물가 주변의 버드나무를 기주로 하는 녀석이고 날지 못하는 녀석이라고 한다. 딱지날개의 무늬가 밋밋한 편이라 목하늘소 종류로만 생각했었는데 나름 귀한 녀석을 만났다. 2022.5.19. 원주 2022. 12. 31. 기생 노린재류의 알로 추정되나 누구의 알인지는 모른다. 기생벌류 한 마리 주변을 서성대는 모습이 알에 산란을 하려는 듯하다. 삶은 치열하다. 2022.8.14. 원주 2022. 12. 31. 애기각다귀 일종 Limoniidae sp. 배 끝을 바위에 계속 접촉하는 걸 보니 산란 행동 같기도 하다. 계류에서 만난 녀석이다. 자주 보이는 듯한데 이름 찾기는 어렵다. 2022.10.30. 원주 2022. 11. 17. Dicranomyia shinanoensis(Alexander, 1933) 애기각다귀과에 속한 녀석이다. 다른 분의 게시물을 통해 이름을 단다. 2022.10.30. 원주 2022. 11. 17. 탐라의병벌레 Attalus (Attalus) elongatulus 이제서야 이름을 단다. '탐라'라는 이름이 붙은 걸로 보아 제주에서 처음 발견된 녀석인 듯한데 원주에서 만났으니 전국 분포로 봐야할 듯 하다. 2020.4.21. 학교 2022. 11. 17. 밤나무왕진딧물 Lachnus tropicalis 뒷산 어귀의 작은 참나무 줄기 일부분이 검게 보인다. 버섯 일종이겠거니 하고 다가가 보니 작은 알이 잔뜩이다. 산란한 지 얼마 안 된 알은 아직 갈색을 띠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검은색으로 변하는 듯하다. 산란 중인 모습 날이 추워지면 성충은 죽어 떨어지고 알로 겨울을 날 것이다. 녀석들의 월동과 우화 장면도 기대된다. 2022.11.8. 학교 성충은 산란 후 죽고 바람에 모두 떨어진 듯하다. 알은 잘 월동 중이다. 2023.1.16. 학교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더니 드디어 녀석들이 기어나왔다. 알껍질을 뚫고 이제 막 나오는 녀석도 보인다. 갓 나온 녀석은 더듬이와 다리 색이 연갈색이다. 이로써 녀석들의 한살이 기록 완료다. 2023.3.22. 학교 2022. 11. 12. 가시날도래 일종 Goeridae sp. 생식기를 보지 않으면 생김만으로는 정확한 동정이 힘든 녀석들이다. 2022.5.29. 제천 2022. 11. 4. 꽃무지의병벌레 Dasytes vulgaris 추정 처음 보는 녀석이다. 도움을 받아 의병벌레 종류라는 것은 알겠는데 등가슴의 형태가 약간 다른 것 같기도 하다. 일단 추정한다. 2020.4.21. 학교 2022. 10. 27. 검은다리실베짱이 Phaneroptera nigroantennata 2022.8.14. 원주 흔한 녀석이지만 한동안 못 보다가 만나니 새롭고 반갑다. 2022.8.28. 원주 2023.8.19. 원주 2022. 10. 27. 오뚜기바구미 Trigonocolus tibialis 앉아 있는 자세를 보니 정말 이름 잘 지었다. 이제서야 비로소 이름을 단다. 2021.8.11. 원주 2022. 10. 27. 왕자팔랑나비 Daimio tethys 한동안 수서곤충에 열중했더니 이 녀석, 팔랑나비류인 건 알겠는데,이름은 가물거린다.뒷날개의 흰 무늬가 희미하지만흔적이 남아 있고앞날개의 자개 무늬가 크고 선명하다.2022.8.28. 원주2024.6.7. 진부 2022. 10. 24. 왕사마귀 Tenodera sinensis 둘레길 옆에 날개를 편 녀석이 보인다. 아래를 보니 탈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하다. 2022.8.28. 원주 2022. 10. 23. 애남가뢰 Meloe (Meloe) auriculatus 주차된 차 옆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더듬이의 모양을 보니 수컷인데 그냥 남가뢰의 더듬이와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풀숲에 올려주니 이렇게 꼭두서니를 갉아먹는다. 2022.10.23. 제천 2022. 10. 23. 동양네모집날도래 Lepidostoma orientale 날개의 모양이 둥글다 네모집날도래 종류 치고는 더듬이를 감싼 털의 범위가 길지 않다. 2022.5.26. 제천 야간 등화에 날아온 녀석 2022.6.4. 원주 2023.8.26. 제천 2022. 10. 9. 얼룩대장노린재 Placosternum esakii 둘레길을 산책하다 밟을 뻔한 녀석 옆에 옮겨주었다. 2022.8.28. 원주 2023.8.19. 원주 2022. 10. 9. 긴꼬리쌕쌔기 Conocephalus (Anisoptera) exemptus 산란관이 없는 수컷의 모습2022.8.14. 원주 갈색의 긴 산란관을 가진 암컷2024.10.12. 원주 2022. 10. 4. 수염치레날도래 Psilotreta locumtenens 2009.6.7. 원주 산간계류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수컷 더듬이는 기부쪽을 제외하고 하얗다. 2022.5.26. 제천 2023.6.10. 남원 2022. 10. 3. 물결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infascia 날개의 흰 반점 무늬로 일단 추정한다. 2022.6.12. 원주 2022. 10. 3. 용수물날도래 Rhyacophila retracta 산간계곡에서 만났다. 날개의 흰 반점 무늬와 황갈색으로 그나마 동정했다. 2022.5.26. 제천 2022. 10. 3.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Riptortus clavatus 긴 이름이지만 특징을 살 살렸다. 뒷다리의 가시가 톱을 연상시킨다. 2022.8.14. 원주 2022. 10. 2. 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 앞다리 사이에 주황색이 선명하다. 요맘때 쯤 갈색형이 자주 관찰된다. 2022.8.14. 원주 2022. 9. 13. 갈색줄수염나방 Herminia tarsicrinalis 추정 수염나방 종류인데 날개에 있는 줄무늬의 미세한 형태 차이로 종이 달라진다. 선에 각이 많이 지고 날카롭게 보여 추정한다. 2020.6.2. 원주 2022. 8. 13. 애기꼭지나방 Stathmopoda stimulata 2007.7.17. 원주 2022. 8. 13.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