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고려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 Asiopodabrus koryeoensis 이름도 참 긴 녀석이다. 도움을 받아 촬영하고 이름도 단다. 2023.6.10. 남원 2023. 6. 19.
둥글벼룩잎벌레 Hemipyxis flavipennis 도움을 받아 촬영하였다. 흔하게 보이는 황갈색잎벌레 아닌가 했는데 어라, 더듬이도 더 길고 딱지날개의 폭도 더 넓다. 2023.6.10-11. 남원 2023. 6. 18.
애둥근혹바구미 Dermatoxenus caesicollis 생김은 혹바구미인데 줄무늬가 두드러진다.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구별된다. 도움을 받아 촬영하였다. 2023.6.10. 남원 2023. 6. 18.
곳체개미반날개 Paederus (Harpopaederus) gottschei 이랬다 저랬다 이름이 변경되어 호칭이 혼동되는 색감 강렬한 녀석이다. 2023.6.10. 남원 2023. 6. 18.
사과나무잎벌레 Lypesthes ater 온 몸이 흰 밀랍으로 덮여 있다.도움으로 처음 관찰한다.2023.6.11. 남원흰 밀랍을 뒤집어쓰고 있어서금방 눈에 들어온다.2024.6.7. 진부 2023. 6. 13.
뽕나무노린재 Malcus japonicus 뽕잎 뒷면에 여러 마리 붙어 있다. 처음 관찰한다. 녀석들이 서식하는 뽕잎의 상태 섭식 흔적이 장난 아니다. 2023.6.11. 남원 2023. 6. 13.
줄무늬소바구미 Sintor dorsalis 딱지날개에 인두로 지진듯한 팔자 무늬가 인상적이다. 2023.6.10. 남원 2023. 6. 13.
어리넓적노린재 Aneurus (Neaneurus) macrotylus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 넓적노린재지만 늘씬한 느낌을 준다. 2023.6.10. 남원 2023. 6. 13.
박주가리진딧물 Aphis (Aphis) nerii 제대로 바글거린다. 2023.6.6. 원주 2023. 6. 12.
멋쟁이꼬마큰날개파리 Homoneura brevicornis 작은 녀석들의 짝짓기를 관찰했다. 2023.6.6. 원주 2023. 6. 12.
가시잎벌레 Hispellinus moerens 아랫 지방에서 처음으로 종추가한 녀석이다. 이따금 만나던 노랑테가시잎벌레보다 더 멋지다. 가시도 확연히 길다. 2023.6.10. 남원 2023. 6. 12.
배벌 일종 데크길 주변 갯메꽃에서 만났다. 배벌인 것은 알겠는데 앞가슴등판에 잔뜩 꽃가루를 묻혀 동정이 어렵다. 2023.5.21. 어청도 2023. 6. 8.
줄무늬뿔벌레 Notoxus haagi haagi 달맞이꽃에서 발견한 녀석이다. 찍은 사진을 확인하다 보니 생김이 아주 이상한 녀석이다. 앞가슴등판 앞쪽의 커다란 뿔이 인상적이다. 딱지날개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고, 줄무늬의 굵기에 다소 차이가 있다. 개체 차이인지 암수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다. 운 좋게 짝짓기도 관찰했다. 짝짓기 방법도 독특하다. 2023.6.6. 원주 2023.9.17. 원주 2023. 6. 7.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섬강 둑방길에서 한 무리의 배추흰나비들이 양분 섭취(Mud puddling) 중이다. 모여 있으니 아름답다. 2023.5.29. 원주 2023. 6. 6.
명주잠자리류 Myrmeleontidae sp. 애벌레 섬강 수변부 모래밭은 가히 녀석들의 집단 서식지라 할 수 있다. 명주잠자리류 애벌레의 모습 2023.5.13. 원주 갈대매미충붙이 약충을 사냥했다. 2023.9.25. 원주 2023. 5. 31.
좀파리매과 Pandivirilia sp. 온 몸이 흰 털로 덮인 녀석을 만났다.해질녁에 우연히 만났는데 처음이다. 생김은 전형적인 파리매 종류다.검색을 통해좀파리매과에 속한 녀석인 것만 확인한다.2023.5.13. 원주같은 장소에서 올해 또 만났다.2024.6.23. 원주 2024.7.30. 원주 2023. 5. 17.
일본왕개미 Camponotus japonicus 날개 달린 녀석들이 많이 돌아다니는 걸 보니 혼인비행 준비중인가 보다. 크기도 크고 흔하게 관찰되는 종이라 개미류 중 기록이 쉬운 편이다. 바닥 판석 주변 흙에 대여섯 개의 집이 있고 많은 녀석들이 주변을 돌아다니고 있다. 2023.5.3. 학교 2023. 5. 11.
장수가위벌 Megachile pseudomonticola 털복숭이 녀석들이 잎을 잘라와 일정한 장소로 드나든다. 야외의 나무의자 틈새를 보금자리로 정했나 보다. 등나무덩굴 쉼터 위에서 부지런히 날아오는 걸 보니 덩굴의 잎이 둥지재료로 적당했나 보다. 가위벌 종류로 왕가위벌과 생김이 비슷하나 배마디에도 노란 털이 있어 장수가위벌로 추정된다. 미기록종이었다가 2009년에 새롭게 발견된 녀석으로 일본 고유종이나 국내에서 서식 반경을 넓히고 있는 듯하다. 2023.5.2. 원주 2023. 5. 5.
노랑털알락나방 Pryeria sinica 애벌레 올해도 회잎나무 잎이 나니 작은 녀석들이 보이더니 이렇게 잎을 야금야금 없애고 있다. 2023.4.19. 학교 2023. 4. 20.
멧팔랑나비 Erynnis montana 민들레가 만개했다. 손님도 찾아와 이렇게 인증샷을 찍고 갔다. 2023.4.19. 학교 2023.5.14. 고한 2023. 4. 19.
통날도래 일종 Psychomyia sp. 야간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 무척 작고 비슷비슷한 생김이라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다. 생식기를 관찰해야만 구분이 가능하다고 한다. 2022.6.4. 원주 2023.10.2. 원주 2023. 4. 18.
들메나무외발톱바구미 Stereorynchus thoracicus 작은 녀석인데 처음 만난다. 계류 주변에서 관찰했다. 2022.5.29. 제천 발톱 부분을 확대한 사진을 추가한다. 사슴벌레처럼 한 쌍으로 된 갈고리 발톱이 아니다. 도움으로 추정한다. 2023. 4. 18.
노랑쌍무늬바구미 Lepyrus japonicus 딱지날개에 한 쌍의 흰 무늬가 있다.2022.5.29. 제천 2024.7.4. 원주 2024.8.13. 원주 2023. 4. 16.
팔자검정물결자나방 Pseudobaptria corydalaria 눈에 잘 들어오는 녀석이다. 낮에 돌아다니니 얼핏 보면 나비로 착각하겠다. 2022.5.29. 제천 2023. 4. 16.
메이호프꼬마큰날개파리 Homoneura mayrhoferi 검색을 통해 이름을 찾았다. 2023.4.1. 원주 2023. 4. 16.
잎사귀나비날도래 Ceraclea (Athripsodina) lobulata 야간 등화로 만난 녀석이다. 도감을 보고 이제서야 정체를 파악한다. 앞날개 안쪽 가장자리 끝에 흰색 털이 특징적이다. 2022.6.4. 원주 2023.8.26. 제천 2023. 4. 15.
올챙이물날도래 Rhyacophila lata 2022.6.12. 원주 이런 녀석들은 날개의 무늬가 다 달라 더듬이다리와 홑눈, 생식기의 생김을 봐야 정확한 동정이 가능하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2.6.16. 원주 예전 국명은 검은머리물날도래였다. 주변 계류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2023.6.3. 원주 2023.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