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복숭아가루진딧물 Hyalopterus pruni 복숭아 같은 과수나 갈대, 억새 등에서 많이 보인다. 이 녀석들은 복숭아 과수원 옆 억새 군락에서 발견했다. 2020.6.14. 원주 2020. 7. 8. 왕빗살방아벌레 Pectocera fortunei 갑자기 큰 녀석이 눈 앞에 툭 떨어진다.형태를 보니 방아벌레인데처음 만나는 녀석이다.생각보다 크기가 크다.2020.5.27. 학교2023.6.10. 남원 딱지날개를 펴고비행 직전이다. 근데 그 안에 얼굴 무늬가 있다.2024.6.1. 구례 2024.6.14. 원주 2020. 7. 4. 기장테두리진딧물 텃밭 옥수수에서 진딧물을 발견했다.2020.6.12. 원주 호저면 옥수수에서 발견되는 진딧물은기장테두리진딧물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등인데검색을 해 보니 기장테두리진딧물과 비슷해 보인다.일단 추정한다.2020.6.19. 원주 호저면 2020. 7. 4. 북쪽알락딱부리반날개 Stenus cicindeloides 추정 시골집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 눈이 튀어나와 있어 딱부리반날개 쪽 같은데 검색을 해 봐도 비슷한 녀석이 많아 일단 추정한다. 2020.5.16. 원주 2021.10.29. 원주 2020. 6. 30. 대모벌 일종 Pompilinae sp. 플라스틱 의자 위에서 거미를 사냥했다.잡긴 잡았는데 제대로 운반을 하지 못한다.살펴보니 한 쪽 날개가 손상되어 있다.2020.6.12. 학교 2020. 6. 30. 열매꼭지나방 Stathmopoda auriferella 2019.6.26. 학교2020.6.20. 원주 2023.8.9. 원주 2020. 6. 30. 부채장수잠자리 Sinictinogomphus clavatus 배끝 부분이 독특한 녀석이다.드디어 만났다.2020.6.28. 원주 2020. 6. 29. 나비잠자리 모처럼 가까이에서 기록했다.언제 만나도 정말 날개가 예쁘다.2020.6.27. 원주천 2020.7.5. 원주 대덕리 2020. 6. 28. 붉은머리어리목대장송곳벌 처음 만난 녀석이다.벌 종류로 보인다.2020.5.17. 학교 벌채목에 산란하는 모습을 발견했다.2020.5.25. 학교 머리의 오렌지색이 인상적이다.2020.5.29. 학교 2020. 6. 17. 제주거저리 처음 만나는 거저리 종류이다.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그스름한 모양이다. 2020.5.28. 학교 이름은 제주거저리지만 이곳에서도 자주 관찰된다. 2020.6.3. 원주 호저면 2022.4.27. 학교 2023.8.20. 치악산휴양림 2020. 6. 16. 그물등개미 시골집 마당에 녀석들이 대규모 이동 중이다.2020.5.16. 원주 호저면 2020. 6. 14. 호리좀허리노린재 Alydus calcaratus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비슷한 생김인데 온통 시커먼스인 녀석이다. 2020.5.31. 원주 2020. 6. 14. 솔알락명나방 Dioryctria abietella 솔방울주를 담그기 위해 시골집 화단 소나무의 솔방울을 채취했다. 그런데 이런.... 온통 벌레다. 솔방울을 파먹는 녀석은 처음 만난다. 검색해 보니 비슷한 녀석이 있어 일단 추정한다. 2020.6.6. 원주 2020. 6. 14. 네눈박이송장벌레 Dendroxena sexcarinata 다른 동물들의 사체를 분해하는 송장벌레는흔한 큰넓적송장벌레만 만났는데오늘 모처럼 예쁜 녀석을 찾았다.2020.6.12. 학교 2020. 6. 13. 육점박이범하늘소 Chlorophorus simillimus 벌채목 쌓인 곳에서산란 행동을 하는 녀석을 찾았다.또다른 한 녀석이 쫄래쫄래 다가오더니 이내 바로 올라탄다.두 녀석의 생식기는 단단히 결합되었다.암수의 크기 차이가 확실하다.생식기가 밖으로 길게 나와 있다.볼일 다 끝났으면 그만 가라는 듯암컷은 뒷다리를 움직여수컷을 떼어놓으려 하고 있다.덕분에 배가 들려제대로 어부바가 된다.2020.6.9. 학교 2020.6.11. 학교 2020. 6. 9. 먹주홍하늘소 Anoplistes halodendri pirus 딱지날개의 붉은 무늬가인상적인 녀석을 만났다.2020.6.7. 제천 2020. 6. 9. 고구마뿔나방 실을 내어 고구마 잎을 이렇게 붙여 놓았다.여기저기 고구마 잎이 접혀 있다.배설물의 모습고구마 잎을 온통 갉아먹었다.2020.6.4. 원주 호저면 2020.6.6. 원주 호저면 채집해 온 녀석이 드디어 우화했다.2020.6.17. 사육날개에 둥근 무늬 한 쌍이 보인다.2020.6.18. 사육번데기의 모습2020.6.23. 사육 2020.7.25. 원주 호저면 2020. 6. 6. 긴가위뿔노린재 Acanthosoma labiduroides 암컷의 모습2020.5.28. 학교 수컷의 모습두릅나무 주변에서 암수 모두를 관찰했다.2020.5.29. 학교2023.8.20. 원주 2020. 6. 1. 털왕개미 Camponotus nipponensis 벌채목 쌓여 있는 곳에 큰 개미들이 보인다. 날개가 돋았다. 혼인비행을 준비 중인가 보다. 2020.5.17. 학교 우화중인 참매미에 몰려들었다. 2021.8.5. 원주 2020. 5. 30. 북방색방아벌레 Ampedus (Ampedus) basalis 딱지날개의 노란 무늬가 특징적이다.2020.5.12. 학교 2020. 5. 30. 알통다리꽃하늘소 Oedecnema gebleri 딱지날개의 검은 점 무늬가인상적인 녀석이다.수컷은 이름처럼 뒷다리 넓적다리마디가 굵은데이 녀석은 암컷이다.2020.5.27. 학교 2020. 5. 29. 남풀색하늘소 Dinoptera minuta minuta 작은청동하늘소와 흡사하다.2020.5.16. 원주 2020. 5. 27. 왕사마귀 Tenodera sinensis 부화 시골집 담에 붙어 있던 알집에서 드디어 녀석들이 나오고 있다. 한꺼번에 나올 줄 알았는데, 한두 마리씩 천천히 나온다. 2020.5.15. 원주 발견했을 때 이미 많은 녀석들이 나와 닥지닥지 붙어 있다. 한 녀석은 매복 중이던 게거미류의 밥이 되었다. 2020.5.17. 학교 2020. 5. 26. Eriocampa babai (백당나무밀잎벌) 올해도 시골집 불두화 잎 뒷면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조금만 건드려도 하얀 밀랍이 떨어져 내린다. 작년에 제대로 보지 못했던 녀석들의 얼굴을 오늘에서야 제대로 기록한다. 2020.5.24. 원주 호저면 2020. 5. 26. 호리비단벌레 일종 육점박이호리비단벌레로 잘못 동정되었던 녀석이다.아직 이름은 잘 모르겠다.2020.5.17. 학교 2020. 5. 21. 큰흰줄표범나비 Argynnis ruslana 애벌레 시골집 화단에서 풀을 뽑다가바닥에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아무래도 나비 애벌레일 것 같아도감을 보고 검색을 해보니 아니나 다를까 녀석의 이름이 나온다.먹이식물인 제비꽃이 여기저기 많이 자라고 있는데뽑아야 할지 그냥 두어야 할지 고민이다.2020.5.16. 원주 2020. 5. 19.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사방 곳곳이 녀석들의 천국이다. 기어오르고, 실 타고 내려오고, 주변 식물에도 많이 붙어 있다. 2020.5.12. 학교 뒤뜰 명자나무에 녀석들의 번데기가 많이 보인다. 2020.6.26. 원주 2020. 5. 1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