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짱구개미 Messor aciculatus 뒷산 숲 언저리에 원형의 구멍이 눈에 들어온다. 한 눈에 봐도 구멍이 크고 깊다. 이따금 먹이를 물고 들어오는데 동물성은 아닌 듯하다. 도감을 보니 집 입구는 동그랗게 짓고 굴의 깊이는 수직 3-4m 정도라고 한다. 식물 씨앗을 먹으며 9-10월 가을이면 씨앗을 물고 이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2023.9.30. 학교 둑방 비포장길에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안에서 밖으로 열심히 돌 알갱이를 옮기고 있다. 2023.10.22. 원주 2023. 10. 23.
쌕쌔기 Conocephalus (Amurocephalus) chinensis 오랜만에 얼굴을 본다. 이 녀석은 날개가 참 길다. 그래서 더 날씬해 보인다. 2023.10.1. 원주 2023. 10. 23.
우리벼메뚜기 Oxya sinuosa 가을이 되니여기저기 녀석들의 세상이다.하천 달뿌리풀 군락도 마찬가지다.2023.10.1. 원주 2024.10.12. 원주 2023. 10. 23.
큰뚱보바구미 Brachypera (Antidinus) zoilus 하천 자갈밭을 정밀 스캔하던 중 어디서 떨어졌는지 툭 하고 나타난 녀석이다. 검색을 통해 이름 붙인다. 2023.10.22. 원주 2023. 10. 22.
버드나무벼룩잎벌레 Altica latericosta subcostata 강가 자갈밭 버드나무에 바글바글하다.버드나무가 기주인 듯 한데비슷하게 생긴 녀석들이 여럿이라이름을 확정하기 쉽지 않다.일단 기주식물을 기준으로 하여추정한다.2023.10.3. 원주올해도 여전히강변 갯버들에 바글거린다. 2024.7.4. 원주 2023. 10. 20.
빨간집모기 Culex (Culex) pipiens pallens 추정 시동이 켜진 차 뒷 범퍼에 여럿 붙어 있다. 머풀러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찾아온 듯하다. 2023.9.24. 원주 2023. 10. 20.
물결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infascia 강가 달뿌리풀 잎 위에 이렇게 붙어 죽어 있다. 천적에 의한 것 같진 않고 균에 감염된 듯하다. 2023.10.3. 원주 2023. 10. 20.
검정넓적노린재 Mezira taiwanica 썩은 그루터기에서 나왔다. 눈알이 빨갛고 더듬이 끝이 황갈색이다. 가슴등판에 가로로 굴곡이 있다. 2023.8.15. 원주 2023. 10. 20.
알멸구과 Dentatissus damnosus 약충의 모습2015.6.15. 원주 몸 길이도 짧고 통통한 녀석이다.2023.9.30. 원주 2024.6.9. 원주 짧고 통통한 몸에 무늬가 독특한 눈을 가졌다.2024.6.23. 원주 2024.9.22. 원주 2023. 10. 20.
청띠호리먼지벌레 Drypta japonica 섬강 자갈밭에서 만난 또다른 생명이다. 지난 번과 같은 위치였으나 그동안 한 번도 보이지 않았는데 오늘 호박돌 아래에서 자주 관찰한다. 몸색이 화려해 금방 이름을 붙인다. 2023.10.15. 원주 2023.10.22. 원주 2023. 10. 16.
긴날개풀명나방(긴날개포충나방) Agriphila aeneociliella 주황색 바탕 날개에 흰 줄무늬가 있다. 2023.9.30. 원주 2023. 10. 14.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딱지날개의 큰 황색 무늬가 돋보이는 녀석이다.우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하다.노란 딱지날개에 흰색 무늬가 살짝 보인다.2023.10.2. 원주 2023.10.3. 원주 2024.6.7. 정선 2023. 10. 14.
십일점박이무당벌레 Coccinella (Coccinella) ainu 우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녀석이다. 딱지날개의 검은색이 짙어지고 있다. 검은 점무늬가 모두 11개로 큰 점 5개, 작은 점 6개이다. 2023.10.2. 원주 2023. 10. 14.
끝무늬녹색먼지벌레 Chlaenius (Achlaenius) micans 2008.6.22. 원주 2011.8.13. 제천 끝무늬먼지벌레와 생김이 비슷하여 구별이 까다롭다. 딱지날개의 무늬 차이로 일단 추정한다. 2020.8.9. 서귀포 2023. 10. 14.
뿔벌레 일종 이 녀석도 무척이나 작다. 바닥의 모래 알갱이가 작은 돌처럼 보일 정도이다. 아직 비슷한 이미지도 찾지 못했다. 동정은 다시 숙제가 되었다. 2023.9.25. 원주 2023. 10. 11.
두무늬뿔벌레 Cordicollis baicalicus 딱지날개의 검은 무늬가 다소 다르다.변이일지 별개의 종일지 잘 모르겠다.2023.10.2-3. 원주 2024.7.4. 원주 2024.7.6. 원주2024.8.13. 원주 딱지날개의 황색 무늬가2개이다. 딱지날개의 황색 무늬가 4개인 녀석이다.일단 두무늬로 추정한다. 2024.9.24. 원주 2023. 10. 11.
고려먼지벌레 Nebria (Orientonebria) coreica 섬강 자갈밭에서 발견하였다. 알락방울벌레를 먹고 있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3.10.1. 원주 2023. 10. 11.
올챙이물날도래 Rhyacophila lata 자세히 들여다보면 개체마다 날개의 검은색 무늬가 미세하게 차이가 난다. 날개의 털빠짐 때문에 더 다르게 보인다. 섬강 지류인 계류에서는 가장 흔하게 관찰된 녀석들이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3.10.1. 원주 2023. 10. 10.
넓은호리병먼지벌레 Lachnocrepis prolixus 숨어 있지 않고 빨빨거리며 돌아다녔는지 온 몸이 이슬에 젖어 있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3.9.30. 원주 2023. 10. 9.
갈대매미충붙이 Paragygrus tamagawanus 강변 달뿌리풀 군락에 대량 발생했다.2023.5.13. 원주 2023.6.6. 원주 약충의 모습2023.10.2. 원주 강가 달뿌리풀 군락을 지날 때마다녀석들이 우수수 튀어다닌다.많다. 정말 많다.2023.10.3. 원주2023.10.15. 원주2024.6.23. 원주 2024.10.5. 원주 2023. 10. 9.
참딱부리긴노린재 Geocoris (Geocoris) pallidipennis 약충 돌밑에 숨어 있던 녀석이다. 얼굴을 보니 딱부리긴노린재 종류인데 약충이라 특징이 확실히 드러나지 않는다. 검색을 통해 비교하여 일단 동정한다. 2023.10.2. 원주 2023. 10. 9.
네점하루살이 Ecdyonurus levis 2022.6.1. 주천 흔하게 관찰되는 녀석이다. 야간 불빛에 많이 날아온다. 2022.6.4. 원주 2023. 10. 5.
꼬마선두리먼지벌레 Apristus striatus 섬강 자갈밭의 호박돌을 뒤집으니 녀석들이 바글바글하다. 개체수가 상당하다. 2023.10.2. 원주 2023.10.3. 원주 초점은 맞지 않았지만 맨 아래 뿔벌레과 Anthicus pilosus도 한 마리 보인다. 기온이 떨어지는 밤에는 돌 아래 더 많은 개체들이 모여 있다. 2023.10.15. 원주 2023.10.22. 원주 2023.11.10. 원주 2023. 10. 5.
강변먼지벌레 일종 섬강 자갈밭에서 돌 밑에 숨어 있던 녀석을 찾았다. 딱지날개 끝부분에 긴 오렌지색 무늬가 있다. 2023.10.1. 원주 2023.10.22. 원주 2023. 10. 5.
동애등에과 Chorisops속 유충 납작한 녀석이 잎 뒷면에 붙어 있다. 길쭉하게 튀어나온 아랫부분이 머리다. 파리목 동애등에과 Chorisops속에 속한 녀석이다. 도움을 받아 동정하였다. 2023.8.20. 원주 2023. 10. 5.
침개미 일종 정확한 동정은 어려우나 생김으로 보아 일단 침개미류로 동정한다. 2023.8.20. 원주 2023. 10. 4.
굵은뿔의병벌레 Intybia kishii 더듬이 2,3마디가 오렌지색이고 부풀어오르지 않았기에 암컷이다. 딱지날개의 오렌지색 띠무늬 형태가 위 아래로 각이 져 있다. 날개 밖으로 살짝 보이는 배도 오렌지색이다. 2023.10.2. 원주 2023.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