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남방점긴날개멸구 Rhotana maculata 날개 끝의 검은색 네 점이 특징적이다. 이렇게 예쁜 멸구는 처음이다. 2023.8.26. 제천 2023. 9. 13. 좀뱀잠자리 일종(Sialidae) 작년 그 하천 그 자리에 여전히 있다. 알에서 우화하는 모습 금방 우화한 유충의 모습 이번엔 마음 먹고 준비해서 우화한 개체들이 바로 물에 들어가게끔 사육했다. 물 속에 있는 모습을 기록했다. 서식 환경의 모습 2023.6.3. 원주 2023. 9. 13. 호랑나비 Papilio xuthus 뒷 화단에 산초나무와 탱자나무가 있다 보니 녀석들은 원없이 관찰한다. 시멘트 담장을 선택한 번데기 기대했으나 결국 새들의 먹이로 사라졌다. 2023.8.27. 원주 시멘트 담장에 붙은 왕사마귀 알집과 거미줄 사이에 놓여 있다. 며칠 뒤에 가 보니 아니나 다를까 변색되어 쪼그라들어 있다. 금방 산란된 알 산초나무에 자리잡은 초록 번데기 2023.9.8. 원주 2023. 9. 13. 풀잠자리 일종 시골집 부엌 앞 화단 경계석인 콘크리트 블록에서 발견했다. 블록 벽에 붙어 나방류의 알을 야금야금 빼먹고 있다. 등에 지고 다니는 잔해는 번데기 껍데기, 개미 머리 등 다양하다. 몸 전체를 기록하기 위해 등에 지고 있던 것들을 제거했다. 2023.9.8. 원주 2023. 9. 11. 참길앞잡이 Cicindela (Cicindela) transbaicalica 햇살 강한 낮동안 하천 모래밭에서 그리 고생시키더니 늦은 밤 조명에서는 발앞까지 찾아온다. 덕분에 이렇게 얼굴 제대로 기록한다. 2023.9.10. 원주 2023.9.17. 원주 2023. 9. 11. 갈색날개매미충 Ricania sublimata 2023.8.15. 원주배 끝에 흰색이 보인다.대추나무 잔가지 여기저기산란해 놓았다. 장난 아니다.2023.9.8. 원주2024.7.20. 원주 2023. 9. 11. 극동등에잎벌 Arge similis 애벌레 시골집 화단의 연산홍을 보니 아니나 다를까 녀석들이 잔뜩 모여 식사중이다. 2023.9.8. 원주 2023. 9. 9. 소등에 일종 딱 봐도 소등에 종류인데 소등에, 왕소등에와 생김이 다르다. 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 2023.6.10. 남원 2023. 9. 9. 얼룩매미나방 Lymantria monacha 애벌레 크기가 무척 큰 털복숭이 녀석이다. 얼굴을 보고 동정하였다. 2023.8.19. 원주 2023. 9. 9. 장수허리노린재 Anoplocnemis dallasi 섬강 주변에 군락을 이룬 비수리(야관문)에 녀석들이 자주 보인다. '장수'라는 이름에 걸맞게 몸의 크기도 크고 뒷다리 넓적마디가 굵직하다. 날개가 동판 판화마냥 줄무늬로 음각되어 있다. 2023.8.27. 원주 2023. 9. 7. 꿀벌잡이노래기벌 Philanthus triangulum 도움을 받아 이름을 찾았다. 꿀벌 사냥에 특화된 녀석이라고 한다. 얼굴 정면의 마세라티 삼지창 무늬를 제대로 기록하지 못해 아쉽다. 2023.8.9. 원주 2023. 9. 6. 뒷검은재주나방 Cnethodonta grisescens 잎 뒷면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 갈색 바탕에 노란색 무늬가 눈에 잘 들어온다. 2023.6.11. 남원 2023. 9. 6. 조터좀파리매 Psilocephala sauteri 흰색의 파리매를 만났다. 지난 번에 보았던 개체는 온통 흰 털이었는데 이 녀석은 가슴등판과 배마디에 검은 무늬가 있다. 검색을 통해 이름을 추정한다. 2023.8.27. 원주 저녁 이슬을 머금은 녀석이다. 덕분에 얌전하여 다양한 기록이 가능했다. 2023.9.30. 원주 2023. 9. 5. 털보소바구미 Eucorynus crassicornis 크고 묵직해 보이는 더듬이를 가진 녀석이다. 게다가 흰털과 검은털이 대비되어 눈에 잘 들어온다. 2020.8.9. 제주 2023. 9. 5. 다리무늬각다귀붙이 일종 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 배마디와 다리의 갈색 무늬가 돋보인다. 2023.8.20. 치악산휴양림 2023. 9. 5. 사과독나방 Calliteara pseudabietis 애벌레 털색은 아직 전체적으로 흰색을 띠지만 검은색 띠와 노란 털뭉치, 그리고 배 끝부분에 붉은 털이 보인다. 2023.8.20. 원주 2023. 9. 5. 가문비곰보바구미 Hylobius (Callirus) pinastri 2020.7.21. 원주 2023. 9. 4. 검은줄긴날개멸구 Vekunta fuscolineata 위에서 내려다본 날개 테두리에짙은 줄무늬가 있어 일단 동정한다.앞가슴등판에도 있다는데이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2023.8.20. 원주2024.8.14. 원주 2023. 9. 4. 멋쟁이딱정벌레 Coptolabrus jankowskii jankowskii 야간 등화 중 바닥에서 녀석을 찾았다. 뭐 먹을 게 있을까 하고 왔다가 이렇게 모델을 한다. 2023.8.26. 제천 2023. 9. 1.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종도 다양하고 같은 종 내에서도 개체변이가 많은 녀석이다. 짝짓기 중인 두 녀석도 딱지날개의 무늬와 색이 다르다. 2023.8.27. 원주 2023. 9. 1. 사과곰보바구미 Pimelocerus exsculptus 시골집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 딱지날개의 파인 홈 무늬가 특징적이다. 2020.6.3. 원주 2023. 9. 1. 버들바구미 Cryptorhynchus lapathi 섬강 자갈밭 초지에서 만났다. 녀석 얼굴을 보느라 한참을 기다렸다. 2023.8.27. 원주 2023. 9. 1. 맵시애기물결자나방 Eupithecia absinthiata 야간 등화에 날아왔다. 조명 아래에서는 온통 금빛으로 보이던 작은 녀석이다. 배마디 중앙에 밝은 줄무늬가 보인다. 2023.8.26. 제천 2023. 9. 1. 흑점박이애기물결자나방 Eupithecia quadripunctata '한국나방도감'을 통해 비슷한 녀석을 찾았다. 배 부분이 적갈색을 띠고 있다. 2023.8.26. 제천 2023. 8. 30. 장수말벌 Vespa mandarinia 요즘 박주가리 꽃이 한창인데 의외의 녀석이 방문했다. 평소엔 쉽게 접근을 못하는데 꿀 빠느라 정신없는 녀석이라 용기 내어 들이대었다. 2023.8.27. 원주 2023. 8. 29. 말벌 Vespa crabro flavofasciata 참나무 그루터기 구멍으로 녀석들이 드나든다. 주변에서 곤충 찾다가 깜짝 놀랐다. 다행히 무사하다. 2023.8.15. 원주 2023. 8. 29. 검정거위벌레 Leptapoderus (Paraleptapoderus) carbonicolor 맨 눈으로 발견했을 때는 흔한 녀석이라 생각하고 기록 차원으로 촬영했다. 플래시를 터트리니 몸색이 투 톤이다. 새로운 녀석을 만났다. 2023.8.20. 원주 2023. 8. 2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