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긴다리범하늘소 Rhaphuma gracilipes 몸 크기에 비해 다리가 길쭉한 녀석이다.2024.6.1. 구례 2024. 6. 11.
장님말매미충 Malmaemichungia brachycephala 한국고유종으로홑눈이 퇴화되어 흔적만 있기에장님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노고단 오르는 길에 여럿 관찰된다.2024.6.1. 구례 2024. 6. 11.
납작먹좀벌과 Trissolcus vindicius 마름모 꼴의 16개 알이니네점박이노린재의 알인데작은 기생벌 한 마리 불쑥 찾아왔다.노린재 알에 주로 기생하는 녀석이다.검색을 통해 이름을 추정한다.2024.6.9. 원주 2024. 6. 10.
모시나비 Parnassius stubbendorfii 지느러미엉겅퀴 꽃에한 마리 찾아왔다.꿀 빠느라 정신이 없다.사람이 가까이 다가와도사향제비나비가 옆에 날아와도아랑곳하지 않는다.배가 많이 고팠나보다.2024.6.7. 평창 2024. 6. 9.
노랑줄어리병대벌레 Lycocerus nigrimembris 딱지날개에 황색 세로줄이 잘 보인다.2024.6.1. 구례 2024. 6. 9.
넉점각시하늘소 Pidonia (Omphalodera) puziloi 노고단 오르는 길에서 만났다.여기저기 많이 관찰된다. 2024.6.1. 구례 2024. 6. 9.
사향제비나비 Atrophaneura alcinous 강원도 산간지역에 지느러미엉겅퀴 지천이다.시커먼 녀석들이 찾아와 여기저기 흡밀한다.이렇게 많은 녀석들은 처음이다.주변 거미줄에서생을 마감한 녀석들도 보인다.흡밀 장소 바로 옆이다.삶과 죽음이 지척이다.2024.6.7. 평창 2024. 6. 9.
깔따구꽃하늘소 Strangalomorpha tenuis tenuis 여러 개체가 관찰된다.금속성 광택의 몸이 매력적이다.2024.6.1. 구례 2024. 6. 8.
어리광대거품벌레 Mesoptyelus nigrifrons 가만히 지켜보니식물 줄기에서 흡즙하고뒤로는 이렇게 물똥을 싼다.날도 더운데녀석의 물똥 한 번 포착해 보겠다고한동안 씨름한다. 2024.6.7. 평창 2024. 6. 8.
측범하늘소 Rhabdoclytus acutivittis acutivittis 이제서야 처음 만난다.딱지날개의 줄무늬가인상적인 녀석이다.2024.6.1. 구례 2024. 6. 5.
등나무고목바구미 Acicnemis palliata 늦은 밤 등나무 고목 일정 부위에 모여떼로 짝짓기하고 있다.아래의 암컷은 주둥이를 나무에 박고 있다. 2024.6.1. 구례 2024. 6. 5.
참길앞잡이 Cicindela (Cicindela) transbaicalica 수변부 모래밭에서녀석들의 짝짓기가 한창인 계절이다.빛 방향에 따라초록색에서 고동색으로녀석들의 몸색도 달라진다. 2024.5.14. 원주 2024. 5. 23.
왕검정뿔벌레 Stereopalpus gigas 강변 달뿌리풀 군락 여기저기녀석들이 많이 발생했다.개체수가 많다. 이 곳에서 다양한 뿔벌레류를 관찰한다.2024.5.11. 원주 2024. 5. 22.
거품벌레 Aphrophora pectiralis 강변 갯버들 여기저기흰 거품이 잔뜩이다.이 녀석이 거품의 주인이다.2024.5.12. 원주 2024. 5. 13.
산북방장님노린재 Capsus wagneri 강변 달뿌리풀 군락에서 발견했다.주변에 산북방장님노린재가 많으니녀석의 약충으로 추정된다.검색해봐도 자료가 없다.2024.5.11. 원주 2024.5.24. 원주 2024. 5. 12.
먹줄왕잠자리 Anax nigrofasciatus 섬강 옆 작은 둠벙에서깝작도요 유조를 관찰하다가운좋게 기록했다. 2024.5.12. 원주 2024. 5. 12.
잎벌 일종 애벌레(Tenthredinidae) 몸의 검은 줄 무늬가 인상적이다. 머리와 다리가 검다. 이렇게 경계하는 모습을 보인다. 2021.8.6. 원주 머리와 가슴을 치켜들고 위협을 한다. 잎벌 종류라는 것까지만 알겠다. 2021.8.10. 원주 2024. 4. 6.
긴수염비행기밤나방 Anuga multiplicans 애벌레 성충과는 딴판으로 고운 색을 지녔다. 겨우 이름을 찾았다. 2021.8.10. 원주 2024. 3. 8.
별박이세줄나비 Neptis pryeri 애벌레 매년 찾아가는 장소인데 애벌레부터 번데기까지 자주 관찰된다. 식초식물인 조팝나무가 많은 지역이다. 2021.8.12. 원주 2024. 3. 3.
배무늬콩알락파리 Rivellia cestoventris 배의 무늬에 다소 변이가 있어 보인다. 이 녀석은 검은색 줄무늬가 뚜렷하다. 2021.8.12. 원주 2024. 3. 3.
등갑파리 Celyphidae sp. 분명 파리인데 생김이 이상하다 싶었다. 그래서인지 이름은 어렵지 않게 찾았다. 2021.8.10. 원주 2024. 3. 3.
큰날개파리과 Sciasminettia sp. 큰날개파리과에 속한 녀석이다. 국내에는 Sciasminettia속에 노랑얼굴점박이큰날개파리, 점박이큰날개파리 이렇게 두 종이 있다는데 채집하여 생식기를 관찰하지 않고는 동정이 어렵다. 2021.8.7. 원주 2023.9.24. 원주 2024. 2. 28.
Scaphoideus yeongdongensis 처음 만나는 작은 녀석이다. 이름 찾기 쉽지 않지만찾았을 때의 기쁨이 있어 즐겁다.흰점박이황나매미충과약간 차이가 있는 듯하다.2021.7.29. 원주 2024. 1. 9.
설악거품벌레 Aphilaenus nigripectus 녀석의 이름을 찾느라 검색품을 많이 들였다. 매미충에서 찾았으니 그럴 수밖에... 결국 거품벌레 종류라는 것을 알았다. 연황색의 띠무늬가 특징적이다. 2022.5.26. 제천 2024. 1. 9.
밀잠자리 Orthetrum albistylum 도망가지 않고 주변을 계속 선회비행한다. 새 보다가 녀석의 비행 모습을 기록한다. 2021.8.7. 원주 2024. 1. 6.
홍비단노린재 Eurydema dominulus와 북쪽비단노린재 Eurydema gebleri gebleri 십자화과 식물을 가해하는 녀석들이다. 왼쪽의 진한 녀석이 홍비단노린재이고 오른쪽의 연한 녀석이 북쪽비단노린재이다. 서로 다른 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녀석들은 지금 분명 짝짓기 중이다. 녀석들의 짝짓기는 종의 개념을 뒤흔든다. 궁금한 것이 많아 논문을 폭풍검색한 결과 내용을 찾았다. 우리나라에는 홍비단노린재와 북쪽비단노린재 단 2종만 있으며 자연 상태에서 종간 교미가 일어나지만, 실험 결과 종간 교미에서 나온 알은 수정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제를 마친 후련한 마음 뿌듯한 마음이다. 2022.5.27. 학교 2024. 1. 3.
닮은큰침노린재 Oncocephalus simillimus 등화 시 바닥에 있던 녀석을 찾았다. 비율빈침노린재와 흡사하다. 앞가슴등판의 돌기와 앞날개의 검은 무늬 크기를 비교했다. 2022.6.4. 원주 2024.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