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큰노란테들장님노린재 Orthotylus interpositus 야간 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 앞날개 옆 가장자리의 노란색 테두리가 선명하다. 2022.6.4. 원주 2024. 1. 3.
두무늬장님노린재 Apolygus hilaris 비슷하게 생긴 몇 종이 있어도감을 읽으며하나하나 대입해보고 동정한다.더듬이를 확대해 색을 살피니답이 나온다.2021.8.7. 원주2024.7.31. 원주 2024. 1. 3.
매미나방 Lymantria dispar 일본잎갈나무에 바글거린다.벌목 후 심은 묘목에도 잔뜩 붙어있다.2020.6.7. 제천숲에 한창 산란 중이다.이 나무 저 나무 가리지 않는다.2020.6.27. 원주 자작나무 수피에 산란중이다. 2024.8.5. 진부 2024. 1. 3.
극동왕침노린재 Epidaus tuberosus 가슴등판의 검은 돌기가 눈에 잘 들어온다. 2021.7.22. 원주 2024. 1. 3.
톡토기 일종 수원무당버섯 갓 위에 작은 녀석이 있다. 2019.9.8. 학교 버섯에서 자주 관찰되는 녀석이다. 길쭉한 녀석들과 달리 통통한 체형이 앙증맞다. 2020.9.8. 원주 2023. 12. 30.
금강산밑들이 Panorpa kongosana 정상 부근에서 만난 녀석이다. 무늬 패턴이 독특하다. 2021.7.27. 함백산 2023. 12. 30.
밑들이 일종 강원도에서 만나던 녀석들과는 다른 느낌이다. 아직 이름을 찾지 못했다. 2023.6.10. 남원 2023. 12. 30.
실베짱이 Phaneroptera falcata 2023.10.15. 원주 새들 많은 곳에서 용케도 살아남았다. 2023.10.25. 원주 2023. 12. 26.
애벌레류 강변 호박돌 아래에 이렇게 모래 알갱이를 붙여 집을 만들었다. 녀석의 정체는 또 무엇일까? 2023.11.10. 원주 2023. 12. 26.
우수리어리애풀잠자리 Pseudomallada ussuriensis 머리의 검은 줄무늬 모양을 살핀다. 어리애풀잠자리의 경우 이 줄무늬가 가늘다. 도움을 받아 이름을 붙인다. 2013.9.28. 원주 2023. 12. 17.
닮은일본줄풀잠자리 Chrysoperla nigrocapitata 유충 풀잠자리목 곤충들을 직접 사육하며전 과정을 기록하시는 분이 있어이름을 달 수 있었다.녀석들은 진딧물류의 훌륭한 천적이다.2020.5.25. 학교2024.9.22. 원주 2023. 12. 17.
산뱀잠자리붙이 Hemerobius humulinus 동정이 어려워 폴더에만 있던 녀석인데 모처럼 발동이 걸려 자료를 검색했다. 갈색의 굵은 눈 선이 보이고 날개의 맥과 가시털이 독특하다. 2011.10.9. 원주 2023. 12. 17.
대륙흰줄바구미 Pleurocleonus sollicitus 강변 자갈밭에서 만난 녀석이다. 털이 많이 빠져 동정에 시간이 좀 걸렸다.2023.5.13. 원주  2024.5.14. 원주 2023. 12. 17.
반날개 일종 딱지날개가 고동색이라 쉽게 이름을 찾을 줄 알았다. 작고 짧달막한 녀석이다. 2023.10.2. 원주 2023. 12. 10.
올리브곰보바구미 Pimelocerus perforatus 오돌토돌한 표면에 검은 색의 무늬가 도드라진다. 무늬 패턴을 비교하여 이름을 찾았다. 2022.5.26. 제천 2023. 12. 10.
어리쌀바구미 Sitophilus zeamais 현미가 많이 포함된 쌀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2010.12.8. 원주 눈 부릅뜨고 오염된 쌀을 골라낸다. 이렇게 구멍을 뚫고 빠져나왔다. 아직 쌀 속에 들어있는 녀석들도 있다. 칼로 조심스레 쌀알을 자르니 이렇게 녀석이 기어나온다. 이전 포스팅의 오류가 수정이 되지 않아 다시 업로드한다. 2011.1.5. 원주 2020.5.24. 원주 2023. 12. 10.
어리애풀잠자리 Apertochrysa parabola 등에 잔뜩 짊어진 녀석이다.주변에 미국선녀벌레 약충들이 보이는데녀석들을 포식하고 남은 것들로 위장한 듯하다.2021.8.5. 원주 다행히 머리의 검은색 줄무늬가 보인다.줄무늬 굵기가 가늘다.2024.8.1. 횡성 2023. 12. 10.
에사키뿔노린재 Sastragala esakii 산간계곡의 새우이끼를 기록하다가 녀석을 발견했다. 이끼 사이에 숨어 움직이고 있다. 가장 늦은 관찰이다. 2023.12.9. 횡성 2023. 12. 10.
남생이잎벌레 일종 쑥잎에서 발견하였다. 청남생이잎벌레나 민남생이잎벌레 유충으로 추정되는데 확실한 동정은 어렵다. 자신의 배설물을 이렇게 등에 지고 위장한다. 2023.6.10. 남원 2023. 12. 9.
털날개나방 일종 (Pterophoridae) 가지고 있는 나방 도감을 뒤적이고인터넷 검색을 해봐도아직 녀석의 이름을 찾지 못했다.2012.6.23. 원주 2023. 12. 9.
좀먼지벌레 일종 Perileptus sp. 강변 자갈밭에서 만났다.꼬마강변먼지벌레(검은색)와 함께 관찰하였다.2023.10.22. 원주2024.9.24. 원주 2023. 12. 4.
습지방울벌레 일종 pteronemobius sp. 강변 자갈밭에서 만난 약충이다. 도감을 살펴봐도 이름을 알 수 없다. 도움을 받아 정체를 파악한다. 2023.10.22. 원주 2023. 12. 4.
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 변이가 다양한 녀석이라 도움을 받아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2023.10.25. 원주 2023. 12. 4.
망초털날개나방 날개에 삼각형의 짙은 무늬가 보이고 배마디 가운데에도 무늬가 있다. 2023.9.24. 원주 2023. 12. 2.
네무늬애방아벌레 Fleutiauxllus (Neomigiwa) quadrillum 2022.5.28. 원주2023.9.25. 원주 2023.10.2. 원주 2023.10.3. 원주 딱지날개에 네 개의 적갈색 무늬가 있다.애방아벌레라는 이름에 걸맞게 크기가 작다.강변 자갈밭에 여러 마리 관찰된다.2023.10.15. 원주 여전히 그 자리에 있다.강변 모래밭에서 녀석을 만났다. 2024.7.4. 원주2024.10.5. 원주 2023. 12. 2.
털파리류 애벌레(Bibionidae) 2-3일 무리지어 보이더니오늘은 이렇게 몇 마리만 남아 있다.다 어디로 숨었을까? 2023.10.25. 학교 2023. 12. 2.
매미충 일종 생김이 확연히 드러나는 녀석이라 쉽게 이름을 찾을 줄 알았다. 하지만 참고할만한 정보가 없다. 2023.6.10. 남원 2023.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