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851 제비나비 Papilio bianor 갓 우화했는지날개의 비늘이 제대로인 녀석이다.펄 광택이 정말 예쁘다.2024.7.14. 정선 2024. 7. 23. 부전나비 Plebejus argyrognomon 암수 지분거리는데암컷이 날개를 펴고 계속 도망다닌다.짝짓기를 거부하는 모양새다.한 녀석의 날개 상태가 엉망이다.2024.7.20. 원주 2024.10.5. 원주 2024. 7. 23. 민가슴바구미 Carcilia strigicollis 처음 만난 녀석이다.가슴등판에 오돌토돌한 돌기가 많다.2024.7.20. 원주 2025.7.12. 횡성 2024. 7. 23. 구주개미벌 Mutilla mikado 가까이 보니몸에 털이 정말 많은 녀석이다. 날개가 없으니이 털들이 촉수가 되어주변 환경과 상황을 감지할 것이다.2024.7.13. 단양 2024. 7. 23. 개미뿔벌레 Anthelephila bramina coiffaiti 개미처럼 보였는데몸 전체가 검지 않아 다른 녀석임을 직감했다.식물 위를 뽈뽈거리며 잘 돌아다닌다.2024.7.21. 원주 2024. 7. 23. 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섬강 둑방길을 차로 천천히 지나는데 어라, 개개비 울음이다. 그런데 천변 달뿌리풀 군락이 아닌 둑방 옆 옥수수밭이다. 작년에도 이곳에서 울었었는데 이곳에서 번식할 가능성도 있겠다. 이 옥수수밭은 올해도 잡풀을 뽑지 않았다. 하천에서 그리 멀지 않고, 빽빽한 숲처럼 보인다. 2024.7.21. 원주 2024. 7. 21. 무늬뾰족날개나방 Thyatira batis batis 애벌레 열심히 잎을 먹고 있다. 마음 먹고 얼굴 모습을 기록했다. 2024.6.9. 원주 2024. 7. 21. 네점박이노린재 Homalogonia obtusa obtusa 알 개망초 잎이나 줄기에 붙인 알은이따금 보았지만꽃은 처음이다.꽃잎에 처음 알을 낳을 때는제대로 마름모꼴을 유지한 듯한데시간이 지나면서배열이 다소 흐트러진 것으로 보인다. 자세히 보면 알 수는 16개가 맞다.하나는 아래에 숨어 있다.2024.7.20. 원주 2024. 7. 21. 흑색무늬쐐기나방 Phrixolepia sericea 칡 잎에 작은 녀석이 붙어 있는데처음 보는 생김이다.습도가 높아 온몸은 땀범벅이지만그래도 기록을 위해 엉거주춤 자세를 취한다. 모기들 신났다. 2024.7.20. 원주 2024. 7. 21. 아기들덩굴초롱이끼 Plagiomnium acutum 계곡 옆 무리지어 자랐다.들덩굴초롱이끼와 육안으로 구별이 어려우나도감의 설명을 읽고길쭉한 잎의 모양으로 추정한다. 2024.7.14. 정선 2024. 7. 21. 밀잠자리 Orthetrum albistylum 밀잠자리 천국인 강변 지역이다.뭔가 큰 걸 들고 날아가는 녀석을 보고앉은 곳으로 조심스레 접근해제대로 촬영해 보니헉, 씹어 먹고 있는 건같은 밀잠자리이다.흔하게 보이는 녀석이라큰 관심을 두지 않았고더구나 먹이로 무얼 먹는지 전혀 관심 두지 않았는데이렇게 동종포식을 관찰하고 나니녀석의 먹이원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개체수가 많아 경쟁자를 제거하는 것일까?2024.7.20. 원주 이 장면을 찍기 위해어제 그 장소를 다시 찾았다.수컷이 암컷을 포식 중이다. 2024.7.21. 원주 2024. 7. 21. 칡때까치 Lanius tigrinus 녀석의 소리가주변에서 지속적으로 들린다.어미를 보니 입에 먹이를 물고 있다.아니나 다를까하천변 버드나무에 유조가 숨어 있다.2024.7.14. 정선 2025.7.5. 여주 2024. 7. 21. 다리무늬침노린재 Sphedanolestes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다리에 오렌지색 띠가 있는 녀석이다.원주에서는 보통 흰 띠만 보인다. 약충의 모습배도 오렌지색이다.2024.6.7. 진부 2024.6.9. 원주 2024. 7. 18. 배자바구미 Sternuchopsis (Mesalcidodes) trifidus 2008.6.21. 원주 정면에서 바라본 얼굴 모습이다.상대적으로 주둥이가 더 굵게 보인다.다리의 알통도 부각된다.2008.8.31. 원주 2011.6.30. 원주 몸통이 굵어짝짓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2011.7.5. 원주 2012.6.26. 원주 2025.6.22. 원주 2025.7.2. 원주 2024. 7. 18. 날개알락파리 Prosthiochaeta bifasciata 주황색 머리와 독특한 구기(입틀)날개의 검은 무늬가 특징적이라이름 찾기가 쉽다.주변에서 흔히 관찰된다. 2024.7.14. 정선 2025.6.8. 횡성 2024. 7. 18. 파리매 일종 번데기 탈피각 (Asilidae) 섬강 모래밭을 거닐다 발견했다.머리와 가슴 부분까지만 밖으로 나와있다.모래속에서 번데기로 있다가이 정도로 머리를 내밀고 우화한 듯하다.기록을 위해조심스레 끄집어냈다.2024.7.4. 원주 2024. 7. 15. 금줄풍뎅이 Mimela holosericea 속으로 숨으려 한다.오렌지색 아래쪽 모습털이 참 많다. 초록 광택이 멋지다.딱지날개에 줄무늬가 뚜렷하다. 2024.7.14. 정선 2024. 7. 15. 오색나비 Apatura ilia 주변을 떠나지 않고 어찌나 귀찮게 굴던지 어깨에 앉았다 팔에 앉았다 해서 손가락 신공으로 불러 결국 몇 장 기록해 주었다. 이번에는 갈 생각을 안 해서 좋은 일 한다는 뿌듯함으로 양분도 제공해 주었다. 녀석에게 제공한 양분은 내 땀이다. 녀석의 빨대가 내 손을 간지럽힌다. 기분이 좋다. 더구나 종 추가다. 2024.7.14. 정선 2024. 7. 15. 원앙 Aix galericulata 내린 비로 강변 자갈밭 일부가이렇게 물웅덩이로 변했다. 녀석들 신났다.가까이 차가 있는데도신경 쓰지 않는다. 2024.7.10. 원주 2024. 7. 15. 큰허리노린재 Molipteryx fuliginosa 이 녀석도이름 모를 새의 배설물을 찾아흡즙하고 있다. 2024.6.29. 정선 2024. 7. 11. 넓적배허리노린재 Homoeocerus (Tliponius) dilatatus 잎에 떨어진 새똥을 찾아흡즙하는 모습처음 관찰한다. 새똥도 쓸모가 있다. 2024.6.9. 원주 2024. 7. 11. 참모시밑들이 Panorpodes komaensis 주둥이가 짧다.날개에 검은 무늬가 있는 녀석이다.2024.6.29. 정선 옆에서 바라보니주둥이가 짧다.2024.7.14. 정선 2024. 7. 9. 강원높은산밑들이 Panorpa okamotona 2024.6.7. 진부 날개의 검은색 패턴이 익숙치 않다.아니나 다를까처음 만난 녀석이다. 2024.6.29. 정선 2024. 7. 9. 둥근점애기잎말이나방 Eudemopsis tokui 처음 보는 녀석이 쑥에 앉아 있다.한 장 기록하니이내 사라져 버린다.2024.6.29. 정선 2024. 7.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