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71

수리부엉이 Bubo bubo 새해라고 얼굴 보여준다.시기로 보아포란 중인 암컷 주변에 머무는 듯하다.2025.1.22. 평창 2025. 1. 27.
청도요 Gallinago solitaria 물까마귀 서식지 조사 중예상치 못한 녀석을 만났다.길에서 쌍안경으로 하천을 내려다보던 중색이 이상하다 싶어 살펴보니이렇게 납작 엎드려 있다. 위치를 바꾸어 낙엽에 엎드려 있으면제 딴엔 안 보일 줄 생각했나 보다.멧도요 따라하기인가쌍안경 없이도 내 눈엔 명확히 잘 보이는데...이렇게 녀석의 서식지 한 곳 추가한다.2025.1.17. 영월 2025. 1. 17.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흐름 잔잔한 개울 제대로 찾았다.떼로 몰려와 목욕 중이다. 2025.1.17. 영월 2025. 1. 17.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수변에서 단체로 몰려 다니며먹이를 찾고 있다. 역시나 단풍잎돼지풀 줄기 속 애벌레가 목표인 듯하다. 2024.12.29. 원주 2025. 1. 17.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배가 많이 고팠나보다.둑방 옆 신나무에 앉아 두리번거리더니이내 씨앗을 부리에 물고 있다.2024.12.21. 원주 2024. 12. 26.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예전에는 원주천에서도 번식했었는데하천공사 후 모래톱과 자갈밭이 사라져이제는 섬강에서 주로 번식한다.그래도 겨울에는 이렇게원주천 보 주변에서 만날 수 있다.2024.12.15. 원주 2024. 12. 15.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둑방길 가까이에서 정지비행 중이다.눈 깜작할 사이에쥐 한 마리 거머쥐었다.쥐의 얼굴을 보니 삶, 참 잠깐이다. 이내 이렇게 먹이가 된다.2024.12.8. 원주 둔덕에 앉아 있는 녀석을 포착하고 보니발로 쥐 한 마리 움켜쥐었다.방해받기 싫었는지움켜쥐고 날아오른다. 멀리서 호젓하게 식사 중이다.2024.12.15. 원주 둑방 옆 아카시에 앉아 있던 녀석인데날샷을 확대해 보니다리가 세 개이다.주변의 쑥새나 멧새를 사냥한 듯하다.2024.12.21. 원주2025.1.11. 원주 2024. 12. 15.
삑삑도요 Tringa ochropus 흰목물떼새 한 마리도 함께 있다.하천 상류 보 주변에서열심히 먹이활동 중이다.2024.12.15. 원주 2024. 12. 15.
큰고니 Cygnus cygnus 10여 마리 잘 놀고 있다. 방해받지 않았는데도이렇게 재롱을 부린다. 2024.12.8. 원주 2024. 12. 15.
재두루미 Grus vipio 이렇게 내 쪽으로 날아오는 날도 있다.늘 만나던 왜가리가녀석들과 함께 하니정말 왜소하다.2024.11.10. 여주 2024. 12. 8.
물까치 Cyanopica cyanus 개울 옆 노박덩굴을 찾아와열심히 식사중인 모습덕분에 그림 나온다. 2024.11.14. 원주 2024. 12. 8.
꿩 Phasianus colchicus 차 앞에서 무단횡단을 하던 녀석이다.망설임 없이 당당하다.2024.10.9. 원주갑자기 툭 튀어나와항상 놀라게 하는 녀석덕분에 얼굴에 초점은 맞지 않았지만다채로운 깃 무늬를 제대로 관찰한다.  2024.11.30. 원주 2024. 12. 8.
중국먼지벌레 Nebria (Sadonebria) chinensis 다 고만고만하게 비슷한 녀석들이라내 실력으로는 동정이 어렵다.도움을 받고 검색을 해 보니겹눈 사이에 붉은 색 무늬가 있다고 한다.특징이 확실하다. 2024.10.5. 제천 2024. 11. 29.
장다리파리 일종 수변부에서 관찰했다.더듬이가 독특하다.전체적인 생김으로 보아일단 장다리파리 종류로 추정한다. 2024.9.8. 원주 2024. 11. 28.
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 2024.9.22. 원주 강변 단풍잎돼지풀에여럿 관찰된다.색과 무늬가 다채롭다.2024.9.24. 원주 2024. 11. 28.
회색긴파리매 Philodicus integer 강변 모래밭에서 관찰했다.개체수가 많다.2024.7.6. 원주 2024.7.20. 원주 2024. 11. 17.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송악 열매 주변에 많이 찾아왔다.이동 시기 섬의 송악과 보리밥나무 열매는훌륭한 먹이자원이다.솔새류뿐만 아니라각종 지빠귀들, 여새들 모여든다.2024.4.27. 어청도 2024. 11. 17.
애남가뢰 Meloe (Meloe) auriculatus 남가뢰와는 더듬이 모양이 다르다.좀남가뢰와 애남가뢰 구분에 어려움이 있다.일단 추정한다. 2024.10.20. 원주 2024. 11. 17.
소천영롱거미 Micaria dives 크기는 무척 작지만광택이 정말 예술인 녀석이다.개미거미 종류라 생각했다가수리거미과에 속한 녀석임을 알았다.2024.7.30. 원주 2024. 11. 17.
십자무늬긴노린재 Tropidothorax cruciger 이렇게 매개곤충을 통해식물은 꽃가루를 전달한다.약충의 모습2024.9.22. 원주 성충의 모습2024.10.12. 원주 2024. 11. 17.
에밀종버섯 일종 Galerina sp. 갈잎에밀종버섯 또는투명살끝에밀종버섯인데구분이 어렵다고 한다.도움을 받아 속까지 동정한다.2024.11.19. 원주 2024. 11. 17.
갓버섯 Lepiota clypeolaria 2024.10.19. 원주 2024. 11. 17.
못버섯 Chroogomphus rutilus 2024.10.19. 원주 2024. 11. 17.
갈색밋밋한비늘버섯 Pholiota lubrica 2024.10.19. 원주 2024. 1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