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저면301 제주거저리 처음 만나는 거저리 종류이다.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그스름한 모양이다. 2020.5.28. 학교 이름은 제주거저리지만 이곳에서도 자주 관찰된다. 2020.6.3. 원주 호저면 2022.4.27. 학교 2023.8.20. 치악산휴양림 2020. 6. 16. 여덟혹먼지거미 2020.5.16. 원주 호저면 2020.5.24. 원주 호저면 건물 벽에 붙은 녀석을 제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찰해보니사냥한 것들의 껍질과 허물을 쌓아둔 것이 지속적으로 커지며 녀석의 모습도 다소 변한 것 같다.2020.6.6. 원주 호저면 2020. 6. 16. 그물등개미 시골집 마당에 녀석들이 대규모 이동 중이다.2020.5.16. 원주 호저면 2020. 6. 14. 고구마뿔나방 실을 내어 고구마 잎을 이렇게 붙여 놓았다.여기저기 고구마 잎이 접혀 있다.배설물의 모습고구마 잎을 온통 갉아먹었다.2020.6.4. 원주 호저면 2020.6.6. 원주 호저면 채집해 온 녀석이 드디어 우화했다.2020.6.17. 사육날개에 둥근 무늬 한 쌍이 보인다.2020.6.18. 사육번데기의 모습2020.6.23. 사육 2020.7.25. 원주 호저면 2020. 6. 6. 작약 2020.5.14. 원주 호저면 화단에 피어난 녀석이지만 참 화려하고 아름답다. 2022.5.19. 원주 호저면 2020. 5. 30. 앵도나무 2020.5.29. 원주 호저면 2020.6.3. 원주 호저면 2020. 5. 30. Eriocampa babai (백당나무밀잎벌) 올해도 시골집 불두화 잎 뒷면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 조금만 건드려도 하얀 밀랍이 떨어져 내린다. 작년에 제대로 보지 못했던 녀석들의 얼굴을 오늘에서야 제대로 기록한다. 2020.5.24. 원주 호저면 2020. 5. 26. 어리개미거미 시골집 화단 바닥에서 먹이활동 중인 녀석이다. 2020.5.16. 원주 호저면 2020.5.24. 원주 호저면 2020.6.2. 원주 2020. 5. 21. 어리민반날개긴노린재 바닷가 해안사구에서 빨빨거리던 녀석이다. 처음 만난다. 날개가 짧은 단시형의 모습 2020.4.25. 강릉 2020.5.14. 원주 호저면 날개가 긴 장시형의 모습 2020.5.16. 원주 호저면 2020. 4. 26. 다리무늬긴노린재 벽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2020.4.18. 원주 호저면 2020. 4. 24. 뾰족날개나방 비 부슬 내리는 날 화단 대추나무에 매달려 있던 녀석이다.2020.4.17. 원주 호저면 2020. 4. 24. 두흰마디아기깔따구 2020.4.13. 원주 호저면 2020. 4. 18. 등판꼬마긴노린재 하천가에서 수서곤충 촬영중인데 테이블로 날아와 기어다니던 녀석이다. 무지하게 작다. 2020.3.26. 원주 옥산리 2020.4.18. 원주 호저면 2020. 3. 29. 일본흰개미 2016.4.28. 학교 2020.5.14. 학교 2020.5.16. 원주 호저면 2020. 3. 16. 범동애등에 애벌레 논물 위에 떠있던 것을 발견했다. 2020.3.11. 원주 대덕리 2020.7.9. 원주 호저면 논 가장자리에 녀석들이 많이 보인다. 2020.7.25. 원주 호저면 2020. 3. 12. 땅별노린재 계곡 옆 묵정밭에 있는 큰 바위에서 이끼와 지의류를 관찰하다가 발견했다.따뜻한 날씨 때문인지 많은 개체들이 짝짓기 중이다.아마도 바위 틈새에서 월동한 듯 싶다.처음 만나는 녀석이라 집에 와 찾아보니안타깝게도 땅별노린재와 별노린재 중 하나인데아래 배면의 사진이 없어 둘 중 어느 녀석인지 동정이 불가하다.2020.2.27. 원주 금대리 결국 비가 그치고 다시 찾았다.마음이 급해 인위적으로 아래 배면을 기록하니 정체가 파악된다. 한참을 지켜보니 자연스레 아랫면이 보인다.나처럼 마음이 급했는지때로 세 녀석이 엉켜붙기도 한다.2020.2.29. 원주 금대리 이 녀석들은 꼭 이렇게 배를 찍어야 동정이 확실하다.2020.3.29. 원주 대덕리 텃밭 아욱에 녀석들이 바글거린다.배 아랫면을 보니 확실히 구분이 된다.20.. 2020. 2. 29. 독일붓꽃 2019.5.14. 원주 호저면 2020. 2. 4. 진홍색간버섯 간버섯에 비해 갓 아래 관공의 크기가 작고 조밀하다.2019.10.19. 원주 호저면 2020.9.20. 원주 주산리 2020. 1. 19. 고동털개미 시골집 화단의 참당귀에 꼬인 진딧물 종류와 이 녀석들을 관리중인 개미의 모습이다. 2019.7.1. 원주 호저면 2020. 1. 19. 새각시매미충 2014.7.30. 원주 호저면 알락맥각시매미충과 흡사하여 구분이 어렵다.2019.6.29. 원주 매호리 2020. 1. 18. 세욱갈고리나방 배 끝에 긴 꼬리가 있는 녀석이다.2019.7.3. 원주 호저면 2020. 1. 7. 뿔넓적노린재 2006.4.6. 학교독특한 생김이다.도감을 한참 들여다보고 간신히 이름을 찾았다.2006.4.15. 학교 2020.4.13. 원주 호저면 2020. 1. 7. 찔레애기잎말이나방 2019.6.14. 원주 호저면 2019. 12. 1. 게거미과 으아리꽃 아래에 숨어 사냥감을 기다리고 있다.2019.7.3. 원주 호저면 2019. 11. 17. 오가피나무이혹 올해는 시골집 뒤뜰의 오가피나무 상태가 영 아니다. 2019.6.23. 원주 호저면 2019. 10. 27. 겹해바라기 2005.7.24. 원주 해바라기보다 꽃은 작지만 전반적인 생김이 더 예쁘고 앙증맞다. 2019.8.2. 원주 호저면 2019. 10. 27. 왕지네 시골집 안에서 발견된 녀석이다.생각보다 크기가 크다.2019.10.4. 원주 호저면 2019. 10. 6. 이전 1 2 3 4 5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