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월171 제비말매미충 Mileewa (Mileewa) dorsimaculata 무척이나 작은 녀석이다.날기 위해 날개를 편 순간을운 좋게 포착했다.2007년 2012.6.17. 영월 2013.6.15. 원주 2017.7.27. 평창 2024.8.9. 횡성 2024.8.15. 횡성 2012. 8. 18. 다리무늬침노린재 Sphedanolestes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냄새보다는 침으로 자신을 방어하고 공격한다. 손으로 함부로 만지다간 쏘이게 된다. 2007년 무당벌레 사냥에 성공해 체액을 빨아먹으려 하고 있다. 2008년 2011.6.19. 원주 짝짓기 모습 2011.7.5. 원주 2011.7.16. 원주 침노린재류 중 관찰 빈도가 높은 녀석 중의 하나이다. 2014.5.31. 원주 2015.7.19. 원주 2016.6.19. 원주 2016.7.10. 원주 2017.6.11. 영월 약충의 모습 2018.9.26. 원주 2019.6.8. 봉화 2019.6.16. 원주 2019.7.9. 학교 2019.7.23. 제주 다리에 오렌지색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지금까지 봐왔던 녀석들은 검은색과 흰색의 띠 무늬였는데 이 녀석은 오렌지 색으로 멋을 부렸다. 지역적 변이로 봐야하.. 2012. 7. 8. 거꾸로여덟팔나비 날개를 펴고 앉아 있는 모습을 잘 관찰하면 거꾸로 된 여덟 팔자 무늬가 보인다. 2011.7.21. 치악산휴양림 가까이서 먹이활동을 하는 착한 녀석을 만났다. 이곳엔 늘 이 녀석이 많다. 2017.7.25. 치악산휴양림 2017.8.8. 진부 장전계곡 벌등골나물에서 만났다. 2018.8.1. 영월 무릉도원면 2021.7.22. 치악산휴양림 2012. 7. 8. 혹바구미 Episomus turritus 바구미 중에서 덩치가 좀 큰 편에 속하는 녀석이다. 물론 왕바구미 만큼은 아니지만. 딱지날개 아래에 2개의 혹이 돌출되어 있다. 2012.6.17. 영월 위험을 느끼니 바로 아래로 떨어진다. 다시 주워서 칡 잎 위에 올려놓으니 죽은 척이다. 2019.7.13. 영월 예덕나무에서 만났다. 2020.8.8. 제주 2012. 7. 8.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아직 어린 녀석이지만 그 특징이 잘 드러난다. 2012.7.7. 영월 2015.9.19. 원주 언제 봐도 지느러미의 검은 무늬가 눈에 잘 들어온다. 2017.8.19. 원주 2020.11.7. 원주 2020.11.14. 원주 2020.11.21. 원주 2021.9.23. 원주 2012. 7. 7. 꺽지 Coreoperca herzi 육식성 어류로 짝짓기가 끝나면 산란된 알 주위를 철통같이 지킨다. 부성애가 뛰어난 녀석이다. 2012.7.7. 영월 지느러미를 제대로 펴 주었다. 2013.8.10. 원주 색이 짙고 옅은 황색의 얼룩반점이 있는 녀석이다.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변이가 있어 개체마다 차이가 드러난다. 2013.10.26. 원주 2019.8.31. 원주 2012. 7. 7. 삼하늘소 Thyestilla gebleri 날기 위해 날개를 펴는 순간을운좋게도 포착하였다.2006.7.21. 원주작지만 회색과 검은색의 조화가 멋지다. 정면에서 바라본 녀석의 얼굴2009.6.24. 원주 암자 경내에서 만난 녀석오랜만의 만남은 늘 그렇듯 반갑다.2012.6.16. 영월 예민하지 않은 개체라 크게 담을 수 있었다.2013.6.15. 원주 딱지날개에 검은색 줄무늬가 없는 녀석도 보인다.2014.6.8. 원주 정면에서 가까이 바라본 하늘소류의 얼굴은언제 봐도 특징적이고 멋지다.2015.7.29. 원주 녀석들의 짝짓기 장면을 훔쳐보았다.2016.6.6. 원주 2016.6.17. 원주 2017.7.8. 원주2017.7.8. 원주 한쪽 날개가 손상되어 있던 녀석이다.2018.7.6. 원주 2018.7.7. 원주 2012. 7. 7. 털보바구미 Enaptorhinus granulatus 2007년2011.6.5. 홍천 배의 끝부분과 뒷다리에 많은 털이 붙어있어털보라 불리는 듯하다.바구미류들은 위험을 감지하면몸을 웅크리고 바닥으로 그대로 떨어져자신을 숨기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녀석들이 알아채지 못하도록최대한 조심해서 촬영해야 성공할 수 있다.2012.6.10. 횡성2014.6.14. 영월 2016.6.4. 원주 여기저기 많이 관찰된다.2019.6.8. 봉화2019.7.13. 영월 2020.7.21. 원주 2021.7.22. 원주 2012. 7. 3. 두점애기비단나방 이름이 녀석의 특징을 잘 알려주고 있다. 짝짓기 중이라 근접할 수 있었다. 2011.8.21. 치악산휴양림 2019.6.29. 원주 매호리 2019.7.9. 학교 2019.7.13. 영월 도원리 2021.7.29. 원주 대덕리 2012. 7. 2. 남색초원하늘소 Agapanthia (Epoptes) amurensis 개망초 위에서 정보교환(?) 중인남색초원하늘소의 사랑 장면. 2007년 2011.6.18. 원주 늦가을 개망초에 산란하고 월동한 후,늦은 봄부터 출현한다.2012.6.10. 횡성 털이 북실북실한 녀석의 더듬이는언제 만나도 인상적이다.요즘 개망초 주변에 녀석들이 많다.2013.6.9. 원주 자연광에서 녀석들의 짝짓기를 기록했다.한결 더 자연스럽다.2016.6.6. 원주 2017.6.11. 영월 2012. 7. 2. 긴알락꽃하늘소 Leptura annularis annularis 마타리꽃이 여기저기 피어있는 곳에서우연히 발견하였다.아직 사진으로 담지 못한 녀석을발견했을 때의 기쁨이란.....등의 무늬로 비슷한 녀석들과 구분한다. 2007년2011.6.5. 홍천 벌채한 나무를 쌓아놓은 곳에서짝짓기에 여념이 없는 녀석을 발견했다.꽁지를 잘 관찰해 보면녀석들의 사랑의 비밀을 알 수 있다.2013.5.31. 학교 산수국 위에서 먹이활동 중인 녀석2014.6.29. 원주 여기저기 탈출공이 보이긴 하는데,이곳에서 나온 녀석인지는 잘 모르겠다.2016.6.5. 원주 산초나무에 앉아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2019.7.13. 영월 2012. 7. 1.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도감을 찾아보니 대농갱이나 눈동자개와 거의 흡사하다. 두번째수염의 길이, 가슴 지느러미의 톱니로 구분한다. 2012.6.16. 영월 이번에도 역시나 대농갱이와 혼동되었다. 수염의 길이와 굵기로 일단 눈동자개로 동정한다. 2015.9.19. 원주 2016.5.29. 영월 2017.6.10. 영월 2012. 6. 28.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흔히 깔딱메기라고 불리며 맑고 찬 산간계곡물에서 많이 보인다. 미꾸리용 어항에 삼겹살 등을 미끼로 하면 여러 마리가 포획되며 밤낚시로도 많이 잡힌다. 낮에는 바위나 돌틈에 숨어 있다가 주로 밤에 활동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메기보다는 날씬하고 긴 편이며 입 주변 수염은 두 쌍으로 눈 바로 앞에 난 수염은 굉장히 길다. 2012.6.16. 영월 2021.10.17. 삼척 2012. 6. 26. 큰넓적하늘소 Arhopalus rusticus rusticus 민통선 안에서는불빛에 날아오는 녀석들이 죄다 귀하다.^^기회가 된다면 곤충 만나러다시 가고픈 곳이나군부대 유격장이라언제 다시 갈 수 있을런지...2011.8.5. 철원 2011.8.13. 제천 학교 잣나무 수피 틈에서 발견한 녀석의 모습한 번 보고 나니 여러 곳에서 보인다.정말 아는 만큼 보인다.^^2012.6.262018.7.28. 영월 2012. 6. 23. 시가도귤빛부전나비 Japonica saepestriata 날개 바깥쪽의 검은 무늬가도시의 시가지 모습을 닮아서붙여진 이름이다.날개끝에 꼬리 비슷한 것은천적을 속여 자신의 몸을 보호하려는위장술의 하나이다. 2007년2011.6.30. 원주 예상 못한 장소에서 녀석의 아름다운 귤빛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란...언제 만나도 참 예쁜 몸빛과 무늬를 지녔다.2013.6.9. 원주 2018.8.1. 영월 2012. 6. 21. 녹색하늘소붙이 Chrysanthia geniculata integricollis 개망초와 비교해 보면녀석의 크기가 얼마나 작은지 짐작할 수 있다.아름다운 녹색의 금속광택을 지닌 녀석.하늘소 비슷하게 생겼다.2012.6.16. 영월 2018.6.9. 영월 2024.7.14. 정선 2012. 6. 20. 녹색네모하늘소 Eutetrapha metallescens 불빛에 날아든 녀석작은 크기이지만녹색의 광택이 너무나도 예쁘다.자연광에서 바라보면 환상적인데... 아깝게도 담지 못했다.2012.6.16. 영월 8년 만에 녀석을 다시 만났고드디어 자연광으로 기록했다.그래도 여전히 아쉬움은 남는다.눈으로 본 녀석의 색과 사진의 색이 아직 일치하지 않는 듯하다.2020.7.21. 원주 2023.6.10. 남원 2012. 6. 20. 박주가리 분홍빛 박주가리 꽃과 열매 2009 흰꽃이 피어난 박주가리 흔한 식물이지만 바람에 씨를 퍼뜨리는 모습은 가히 환상적이다. 늦가을부터 찬바람 씽씽 부는 한겨울까지 세찬 바람에 몸을 맡기고 정착을 위한 여행을 떠난다. 2014.1.12. 문막 요즘 무섭게 덩굴을 뻗어올리고 있다. 2014.8.28. 학교 2015.8.10. 학교 2015.8.14. 영월 법흥사 2012. 6. 18. 남생이무당벌레 Aiolocaria hexaspilota 무당벌레 종류 중 가장 큰 녀석이다. 손으로 잡으면 방어를 위해 피 같은 주황색의 액체를 뿜어내고, 죽은 척 하는 습성이 있다. 2005.7.10. 원주 2012.6.3. 원주 2017.6.11. 영월 아파트 외벽에 붙어 있던 녀석 2018.11.3. 원주 애벌레의 모습 2019.6.8. 봉화 2012. 6. 18. 애소금쟁이 Gerris (Gerris) latiabdominis 앞가슴등판에 U자 모양의 무늬가 있다.2006.7.21. 원주뒷다리가 가운데다리보다 짧다.2019.8.4. 원주2020.7.5. 원주2021.7.3. 원주 2024.8.11. 영월 2012. 6. 18.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열매의 향이 무척이나 강하며,노린재 등 곤충이 많이 몰려든다. 특히 에사키뿔노린재의 산란장소가 된다.기름을 짜 향미료로 쓴다.2015.8.14. 영월 까맣게 익은 씨앗의 모습2016.10.11. 원주 2017.8.7. 원주 2020.7.30. 원주 열매의 모습 2024.8.12. 원주 2012. 6. 14.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참으로 작고 앙증맞은 무당벌레...사진으로 담기에 쉽지 않다.벼와 비교해 보면무척이나 작은 녀석임을 알 수 있다. 2012.6.9. 영월 2012.7.25. 원주 등딱지의 무늬와 크기가 차이가 있다. 2013.8.20. 원주 2013.7.3. 원주 작은 녀석들이라기록하기 위해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딱지날개의 무늬와 색이 다양하여관찰할 때마다 신기하다. 2014.5.31. 원주 2014.7.13. 원주 2016.5.11. 학교2019.6.23. 원주 2019.6.29. 원주 2019.7.16. 학교2019.7.30. 원주 2024.8.13. 원주 2012. 6. 10.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위에서 꽃을 내려다보았을 때 꽃잎의 모양이 돌고도는 물레처럼 한 방향으로 돌아가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2013.7.6. 원주 2015.8.14. 영월 2018.7.29. 원주 2019.6.22. 가평 2020.8.29. 고한 2012. 6. 10. 가시거미 Gasteracantha kuhli 학교 뒷산에서우연히 발견한 거미이다.이름처럼 몸 여기저기가시가 돋아나 있는 독특한 녀석이다.2007년 2015.8.6. 원주 2016.7.9. 원주 2024.8.11. 영월 2012. 6. 8. 범부전나비 Rapala caerulea 2004.7.9. 원주 2011.7.6. 원주 2011.7.21. 원주 날개 아랫면에흰색 부분이 많은 것으로 보아봄형으로 보인다.2012.5.27. 원주 2013.6.29. 원주 2017.6.29. 학교벌등골나물에 앉아있는 녀석2018.7.29. 원주 2018.8.1. 영월 2020.4.23. 학교날개를 편 모습은 처음 관찰한다.2020.5.22. 학교 2012. 6. 5. 광대노린재 Poecilocoris lewisi 약충의 모습 흑색형 성충의 모습 2012.6.3. 원주 색이 무척 예쁘고 보기 드문 녀석이다. 녹색형 성충의 모습 2008년 횡성 밤에 예쁜 녀석을 찾았다. 같은 듯 하면서도 다른 두 녀석의 색이 너무 아름답다. 2014.6.15. 영월 2018.9.30. 인제 2019.6.8. 봉화 2020.6.1. 학교 2012. 6. 5. 붉나무 Rhus javanica 줄기를 보면 쉽게 찾아낼 수 있다.워낙에 독특한 모습이라 금방 구별할 수 있다.가을에 단풍이 들면이름 그대로 붉은 나무가 된다.잎의 벌레집으로도 유명하다.2007년2015.8.14. 영월 2024.8.5. 진부 2012. 6. 3.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