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가는실잠자리 Indolestes peregrinus 청실잠자리과에 속한 실잠자리 종류로몸색이 무척 예쁜 녀석이다.몸매도 길고 날렵하다.2011.7.4. 원주 짝짓기 모습2008.7.15. 원주 묵은실잠자리와 함께성체로 월동을 하는 녀석이다.겨울을 잘 보내고 봄을 맞이하였다.2016.3.28. 원주   지금까지 이 시기에 만난 녀석은몸색이 하늘빛인데이 녀석은 겨울형처럼 갈색이다.2019.7.22. 제주 2016. 4. 2.
묵은실잠자리 Sympecma paedisca 2006.7.24. 원주 2008.7.30. 원주 2011.6.3. 원주     전반적으로 갈색의 몸색을 지니고 있으며,겨울에 성체로 월동을 하는 녀석이다.흔한 편이나눈덮인 겨울에 월동하는 녀석을아직 관찰하지는 못했다.2015.8.6. 원주 2017.9.9. 원주 2017.9.10. 제천  강변 달뿌리풀 군락에서월동 장소를 찾고 있는 듯하다.2024.11.1. 원주 2016. 1. 5.
암끝검은표범나비 Argyreus hyperbius 앞날개 윗면 가장자리가 검고 흰 띠가 있다. 날개가 깨끗하다.날개 아랫면의 모습 암컷 2015.10.9. 서울 2015. 12. 6.
여덟무늬알락나방 수컷의 모습 검은 바탕의 날개에 노란 무늬가 각 4개씩 8개가 있다. 2006.6.23. 원주 암컷의 모습 2015.8.22. 영월 법흥사 2017.9.3. 원주 대덕리 2018.9.2. 원주 대덕리 2019.6.29. 원주 매호리 애벌레의 모습은 처음 관찰한다.나방애벌레 도감을 통해 정체를 파악했다.2019.8.1. 원주 주산리 2020.6.19. 원주 호저면 2015. 11. 29.
검정꽃무지 우화한지 얼마 되지 않은 녀석이라 아직은 색이 붉다. 머리 부분이 검어지기 시작했다. 같은 장소에서 색이 다른 두 녀석을 만나 제 이름을 붙여주지 못했었다. 수액이 흐르는 나무 아래 개미집 주변에서 녀석을 발견했다. 2015.7.28. 제천 2018.6.13. 홍천 미나리과 흰색 꽃에 검은 녀석이 붙어 있으니 눈에 확 들어온다. 2018.9.29-30. 인제 연가리 2015. 10. 10.
노랑가슴남생이잎벌레 Cassida pallidicollis 남생이잎벌레가 맞긴 한데,딱지날개의 검은색 무늬가생기다 만 것 같아한동안 이름을 붙여주기가 어려웠다.곤충나라식물나라 카페에서자료를 찾아보고 동정했다.몸색의 변이가 다소 있는 듯하다. 2015.7.30. 횡성  층층나무 수피에 붙어 있던 녀석을 발견했다.2016.4.15. 학교 2015. 10. 10.
희조꽃매미 2005.9.11. 홍천 꽃매미 종류인데 정확한 이름을 찾지 못해 오랫동안 컴퓨터 안에 있었다. 야간 불빛에 날아든 녀석을 발견했다. 2010.9.11. 원주 2015.8.14. 원주 2015. 10. 10.
멋쟁이알멸구 Caliscelis chinensis 습지의 달뿌리풀과 억새 군락에서작은 녀석을 발견했다.아무리 찾아봐도 자료가 없어보관만 해오던 중'곤충나라 식물나라'의 'Bioman'님이동정을 해 알려주셨다.막연히 매미목에 속한 매미충 종류이겠거니생각만 했었는데알멸구과라는 새로운 사실을 또 배우게 되었다.2015.7.29. 원주 수컷의 모습2017.7.8. 원주   2017.8.1. 원주   암컷의 모습주로 습지공원에서 만났다.2019.6.30. 원주 2015. 9. 8.
등검은실잠자리 Paracercion calamorum 이름 그대로 등에 짙은 회색분이 보인다. 수컷은 꼬리 끝부분에 하늘색 띠가 있다. 2007.9.16. 원주 2008.7.15. 원주 짝짓기 모습 수컷이 암컷의 목을 붙들고 산란을 돕고 있다. 2010.7.10. 원주 2011.7.16. 원주 2012.7.27. 원주 2015.7.29. 원주 2016.6.19. 원주 몸에 알을 진드기류를 붙이고 있다. 2016.6.26. 원주 2016.7.9. 원주 2017.7.8. 원주 2018.6.23. 원주 2018.7.6. 원주 2019.6.29. 원주 2019.6.30. 원주 2019.8.11. 원주 2020.8.23. 원주 대덕리 2020.6.28. 원주 2022.6.1. 영월 2015. 8. 31.
검정날개재니등에 녀석의 이름을 찾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파리목에 속한 등에 종류라는 건 짐작했는데 잘 검색이 되지 않아 금방 이름을 붙여주지 못했다. 2015.7.19. 원주 태장동 2015. 8. 25.
껍적침노린재 Velinus nodipes 화단 울타리에 시커먼 작은 녀석이 볼볼거린다.확대해보니 다리가 울퉁불퉁하다.   2015.8.22. 원주  잣나무 수피에 작은 녀석이 붙어 있다.2017.10.16. 원주  2018.11.13. 원주      이제서야 드디어 성충을 만났다.2019.6.26. 학교2023.11.4. 학교 2015. 8. 23.
마아키측범잠자리 Anisogomphus maacki 배의 끝부분이 넓적해서 눈에 잘 들어온다.계곡이나 물가 주변의 공터 바닥에 잘 앉는다.2015.8.14-15. 영월   2017.8.8. 진부     하루살이 종류를 사냥해 포식하고 있다.녀석이 먹는데 집중하느라가까이 기록할 수 있었다.2018.8.1. 영월 왼쪽 겹눈이 손상된 녀석이다.포장도로 가장자리에서 잘 날지 못한다.학명의 종소명을 국명으로 반영했다.  2024.6.29. 정선 2024.9.8. 원주 2015. 8. 23.
노란측범잠자리 Lamelligomphus ringens 수컷의 교미부속기가 정말 어마무시하다. 노란색의 띠가 눈에 잘 들어온다. 2010.7.30. 원주 2015.8.14. 영월 2015. 8. 22.
제주노린재 철원에서 녀석을 처음 만난 이후로 오랜만에 다시 재회했다. '제주'라는 이름을 다른 지역에서 만나니 그 느낌이 다소 생소하고 신기하다. 연둣빛이 참 매력적인 녀석이다. 2015.8.14. 영월 법흥사 야간 불빛에 꽤 여러 마리가 날아왔다. 2017.8.18. 인제 연가리 2018.8.7. 인제 연가리 2018.9.30. 인제 연가리 2015. 8. 20.
유리알락하늘소 Anoplophora glabripennis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활엽수 수피를 살피다가 녀석을 만났다.  위험을 느끼자바구미처럼 수피에서 떨어져 내렸다.  딱지날개의 위 어깨부분에오돌토돌한 돌기가 있느냐에 따라있으면 알락, 없으면 유리알락하늘소다. 다시 나무에 올려주니 잘 기어올라간다.2015.8.15. 영월 2015. 8. 16.
홍가슴풀색하늘소 Chloridolum (Chloridolum) sieversi 찾을 때는 그렇게도 안 보이더니대낮에 야영장 테이블로 날아왔다.주변 풀 숲에 올려두고 몇 장 기록하려 했더니이내 줄행랑이다. 2015.8.15. 영월 2015. 8. 16.
검은띠통바구미 Neomecyslobus (Nipponomerus) nigrofasciata 적갈색의 몸색에코주부인 녀석의 생김이 독특하다.2015.8.11. 홍천 2015. 8. 13.
화살하늘소 Uraecha bimaculata bimaculata 뽕나무 작은 가지에서 녀석을 찾았다.더듬이 정말 길다.2015.8.11. 홍천 2015. 8. 12.
흰모무늬곰보바구미 Pimelocerus elongatus 처음 발견 당시 몸을 온통 움추리고 있어녀석이 생명이라는 것도 몰랐다.어디가 앞뒤인 줄도 몰랐다.손가락으로 건드리니 움직임을 보인다.대단한 새똥 위장이다.2015.8.11. 홍천 2015. 8. 12.
거위벌레 Apoderus jekelii의 요람짓기 이름난 재단사답게제대로 잎을 가위질했다.    암수가 짝짓기를 하면서도요람을 만들고 있다.               직접 관찰해보니 잎을 말아올리는 재주가정말 뛰어나다.짝짓기 중간그냥 툭툭 건드리는 것 같더니만어느새 요람의 형태가 만들어졌다.결혼하고 자식 키울려면역시 집이 필수이다.2015.8.11. 홍천 2015. 8. 12.
미국선녀벌레 2014.7.27. 원주 온 몸에 하얀 가루가 보인다. 식물의 즙을 빨아먹고 사는 매미목에 속한 녀석들로 여기저기 너무 많이 보인다. 녀석들이 지나간 자리에는 시커멓게 변한 식물들의 모습과, 하얀 배설물 가루 등이 남아있어 지저분하다. 2015.7.28. 제천 2017.7.30. 제천 고명동 2017.8.2. 제천 고명동 약충의 모습2018.7.6. 원주 대덕리 2019.7.9. 학교 2018.7.22. 원주 대덕리 2018.8.19. 제천 고명동 2019.7.29. 원주 태장동 2019.8.1. 원주 주산리 2020.7.5. 원주 주산리 2020.7.25. 원주 호저면 2020.7.30. 원주 호저면 2015. 8. 9.
나나니 Ammophila infesta 2010.7.29. 원주 2010.10.15. 원주 가늘고 긴 허리와 배의 주황색 띠가 인상적인 녀석이다. 2015.7.19. 원주 산국에 찾아온 녀석이다. 2016.10.20. 원주 2019.6.8. 봉화 짝짓기 장면은 처음 관찰한다. 2019.8.13. 원주 사진 촬영에 순순히 응한다 했더니 두 날개 모두 떨어져 나간 녀석이다. 2023.10.15. 원주 2015. 7. 31.
분홍날개대벌레 대벌레 한 마리가 눈에 보인다. 더듬이가 길고 눈의 무늬가 특징적이다. 이 녀석들의 정확한 동정은 겉모습만으로는 어렵다고 한다. 긴날개대벌레와 거의 같다고 한다. 일단은 분홍날개로 정리해 둔다. 2015.7.30. 횡성군 2020.7.21. 치악산휴양림 2015. 7. 31.
물잠자리 Calopteryx japonica 여름 물가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검은 녀석이다. 암컷의 경우 날개에 흰 점이 있어 쉽게 구분되나, 수컷은 검은물잠자리와의 구분이 다소 어렵다. 날개의 전체적인 형태를 살펴봐야 한다. 2015.7.18. 원주 2015. 7. 28.
나비잠자리 그렇게 귀한 녀석은 아닌데 이제서야 관찰했다. 녀석들이 득실거리는 서식지를 발견했다. 이름에 걸맞게 아름다운 날개를 지닌 녀석이다. 2015.7.4. 원주 호저면 새벽이 아닌 한낮에 담으려하니 도통 거리를 주지 않는다. 새 담는 망원렌즈로 몇 장 기록했다. 2016.6.26. 원주 대덕리 2019.6.30. 원주 간현리 2015. 7. 28.
강변잎벌레 Chrysolina graminis auraria 초록색과 청색의 광택이멋진 녀석인데플래시를 사용하니색이 온통 보랏빛이다.광택이 아름다운 곤충들은역시 자연광에서 제 색이 표현된다.2014.7.30. 원주 2015. 7. 28.
호랑하늘소 Xylotrechus (Xyloclytus) chinensis 수액이 흐르는 뽕나무 수피에 말벌이 붙어 있다.자세히 살펴 보니 뭔가 좀 다르다.  갈색과 노란색의 무늬로말벌류의 모습을 의태한 듯 싶다.옆에서 바라보니 배의 무늬가 정말 비슷하다.가슴 옆 부분에 파리목의 특징인 '평균곤'(파리류들의 비행시무게 균형을 잡아주는 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날개 한 쌍이 퇴화하여비행술을 용이하게 해 주는 것)을의태한 무늬도 보인다.    녀석의 동작을 가만히 지켜보니나무 껍질 틈새에배끝을 찔러넣는 동작을 반복하고 있다.산란 동작일까?    모르는 사람들은 정말 말벌로 착각할 듯자연스러운 모방이다.  2015.7.21. 학교 4년만에 같은 장소에서 만난다.2019.7.5. 학교 2015.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