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왕팔랑나비 체육관 뒷편에 앉아 있던 녀석이다. 바로 위에 아카시가 많다. 2017.6.29. 학교 2019.6.16. 치악산휴양림 2020.6.7. 제천 봉양읍 2017. 7. 9. 홀쭉밀잠자리 Orthetrum lineostigma 처음 만난 밀잠자리 종류다. 중간밀잠자리와 비슷하나 몸의 형태가 이름처럼 가늘다. 2017.6.16. 학교 2017. 7. 9. 넓적비단벌레 Anthaxia (Haplanthaxia) proteus 왜당귀 꽃에 무척이나 작은 녀석들이 보인다.금색 광택이 예쁘다.2017.6.16. 학교 2016.6.17. 학교 2017. 7. 8. 알락귀뚜라미 2005.9.11. 원주 주변에서 자주, 많이 관찰되는 녀석이다. 2011.8.13. 원주 2020.9.22. 학교 2021.8.12. 원주 2017. 7. 8. 큰광대노린재 Poecilocoris splendidulus 회양목을 기주식물로 하는 녀석인데,지금껏 약충만 만났었다.드디어 오늘에야 제대로 된 성충을 만났다.몸색과 무늬가 제대로 빛을 발한다.2017.7.5. 학교 산소 옆에 심어놓은 회양목에녀석들이 바글거린다.성충은 보이지 않지만아주 어린 녀석부터 종령까지순서대로 보인다.2017.7.30. 제천 벌초 전까지는인위적인 손길이 닿지 않은 회양목이라녀석들이 바글거린다.2017.8.2. 제천 산소 둘레에 심어놓은 회양목에녀석들이 바글거린다.2019.8.1. 원주 2021.8.4. 제천 2024.8.9. 횡성 2017. 7. 6. 줄무늬감탕벌 Orancistrocerus drewseni drewseni 시골집 헛간 주변에녀석들이 바글거린다.접근해 살펴보니소수의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수컷들이 몰려들었다.한창 짝짓기 중인데도다른 수컷이 방해 작전을 펼친다.2017.6.18. 원주 옹굿나물에 찾아온 녀석2017.9.10. 제천 2019.6.6. 원주 뽕나무 수액을 먹으러 왔다갔다 한다.2019.7.5. 학교2020.6.6. 원주 2020.6.11. 학교뽕나무에 붙어 짝짓기 중이다.2020.6.23. 학교 2017. 6. 22. 다리무늬침노린재 Sphedanolestes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만나고 싶던 녀석의 알을 찾았다. 정말 케찹통처럼 생겼다. 알에서 빠져나오는 모습 연주홍 색이었다가 점차 검게 바뀌었다. 2017.6.12. 영월 2017. 6. 17. 가시측범잠자리 Trigomphus citimus 개망초 벌판에 녀석이 힘없이 매달려 있다. 날긴 하는데, 멀리 가진 않는다. 벌판 아래쪽에는 작은 연못이 있다. 2017.6.11. 영월 2022.5.29. 제천 2017. 6. 15. 대모잠자리 Libellula angelina 습지에 여러 마리가 관찰된다.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된 녀석이다.2017.5.20. 의왕 2017. 5. 25. 애남가뢰 Meloe (Meloe) auriculatus 수컷 더듬이의 모양이 독특하다.애남가뢰와 좀남가뢰의 구별점을 모르겠다.일단 애남가뢰로 추정한다.2016.10.12. 원주 2017. 5. 7. 무늬소주홍하늘소 Amarysius altajensis coreanus 둑방 길에서 날아다니던 녀석을 발견했다.2017.4.30. 영주 섬강변에서 만났다.주변에 신나무가 여럿 보인다.2023.5.13. 원주 2017. 5. 2. 참긴노린재 Lygaeus sjostedti 흰목물떼새 번식 모니터링 중 우연히 만났다.강가 자갈밭에서 짝짓기 중인 녀석들이다.2017.4.30. 영주 2021.7.19. 원주 2023.8.9. 원주 2024.7.4. 원주 2024.7.6. 원주 2017. 5. 2. 줄베짱이 Ducetia japonica 2005.9.21. 원주2011.7.29. 원주2011.10.5. 원주 날개 윗부분에갈색 또는 황백색의 줄무늬가 보인다.암것은 황백색의 줄무늬를 띤다.2012.9.22. 원주 약충의 모습몸 전체에 줄무늬가 보인다.2013.7.25. 원주 2013.10.9. 원주 2014.7.26. 원주 수컷의 모습2017.7.16. 원주 2017.7.30. 제천 2017.8.3. 원주 2017.9.2. 원주 잎 하나에 섬서구메뚜기와 함께 앉아 있다.2017.9.3. 원주 이렇게 위에서 내려다보니황백색의 줄이 선명하다.2017.9.16. 제천 약충의 모습2018.7.22. 원주 아직도 관찰된다.하지만 거의 움직임이 없는 녀석이다.건드려도 조금만 반응한다.2019.11.1. 학교2021.9.20. 제천 2022.8.14... 2017. 3. 8. 큰실베짱이 Elimaea (Elimaea) fallax 날개의 맥이 선명하게 나타난다.2005.8.27. 원주약충의 모습앞다리의 기부가 휘어 있다고 하여일단 큰실베짱이로 동정한다.2013.8.1. 원주 '큰'이라는 명칭이 붙어 있으니일단 크기는 동급 중 가장 큰 녀석일 테고더듬이의 흰 띠가 눈에 들어온다.2015.8.15. 원주2016.7.31. 원주 1000m 가까운 곳에서 녀석을 만났다.개체수가 많다.2017.8.8. 진부 숲이 아닌 집에서도 녀석을 만났다.2018.9.26. 원주 참취 꽃 위에 앉아 있던 녀석이다.2018.9.30. 인제 2021.9.23. 횡성 2024.9.7. 횡성2024.10.19. 원주 2017. 3. 1. 우리여치 Anatlanticus koreanus 암컷의 모습수컷의 모습갈색과 녹색이 섞인 몸에다리는 검은 반점이 있는 녹색을 띤다.2015.7.25. 원주 2017. 2. 11. 애여치 Eobiana engelhardti engelhardti 앞가슴등판과 날개가 초록빛이다.겹눈 뒤에 흰색의 줄무늬가 있다.2016.6.19. 원주 2017. 2. 11. 쌕쌔기 Conocephalus (Amurocephalus) chinensis 2011.7.28. 원주 긴꼬리쌕쌔기는 여러 번 관찰했는데, 생각보다 이 녀석은 자주 보지 못했다. 2011.10.9. 원주 2018.9.25. 원주 갯그령 군락에서 여러 마리를 만났다. 2018.10.8-9. 서천 2017. 2. 11. 배추좀나방 2006.5.30. 원주 2011.6.6. 원주 농사 짓는 분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해충이다. 2015.8.16. 원주 2020.7.7. 원주 호저면 2017. 1. 9. 좀날개여치 Atlanticus (Atlanticus) brunneri 갈색여치와 유사하나배 아랫부분에 초록색이 없고가슴등판이 다소 길쭉하다.2012.6.26. 원주 2019.8.4. 원주 2017. 1. 9. 잔날개여치 Chizuella bonneti 겹눈 뒤에 흰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고, 앞가슴등판 테두리에 흰색의 테두리가 보인다. 2005.8.15. 원주 2011.4.14. 원주 2011.6.5. 원주 2011.6.30. 원주 2011.9.4. 원주 2016.4.15. 원주 2016.7.26. 원주 2017.8.8. 평창 2018.8.7. 인제 2018.8.12. 고한 2019.6.8. 봉화 2019.8.3. 원주 2020.4.13. 원주 2020.8.9. 제주 2020.8.29. 고한 2017. 1. 9. 청날개애메뚜기 메뚜기류의 약충들은 동정이 쉽지 않다. 도감에 나온 사진과 비교하여 일단 동정하였다. 2012.6.10. 원주 메뚜기 종류 중에서 더듬이가 길어 특징적인 녀석이다. 등에 X자 무늬가 있으며 날개가 길고 검은색이라 눈에 잘 들어온다. 2015.8.14. 원주 날개색이 짙어 금방 눈에 들어오는 녀석이다. 사진 찍기는 만만치 않다. 녀석을 쫓아다니다가 바지에 진드기 여러 마리 달라붙었다.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8.8.8. 인제 연가리 2018.8.12. 함백산 2019.8.5. 함백산 2017. 1. 4. 원산밑들이메뚜기 Ognevia sergii 약충일 때 함께 모여 있다.2005.5.22. 원주2006.5.31. 원주약충의 모습군복과 같은 위장무늬를 지닌 녀석이다.2011.6.5. 원주앞날개의 윗면이 밝은 녹색을 띠고 있다.2011.7.21. 원주 2013.7.6. 원주 2014.6.29. 원주 2015.7.30. 원주 2015.8.14. 원주 여름철 숲속에 많이 보인다.2016.7.28. 원주 2017.8.8. 평창 2020.7.21. 원주 2023.8.20. 원주2024.8.9. 횡성 2017. 1. 4. 알락방울벌레 Dianemobius nigrofasciatus 산란관이 없는 수컷의 모습 2011.7.28. 원주 날개가 긴 장시형 암컷의 모습 긴 더듬이 아래에 작은 더듬이처럼 보이는 작은턱수염이 있는데 아랫부분이 흰색이고 끝이 검다. 2011.7.29. 원주 2014.7.20. 원주 뒷다리의 검은 띠무늬가 3개 보인다. 2016.7.24. 원주 2018.9.16. 원주 2018.9.19. 원주 2018.9.25. 원주 2018.9.26. 원주 2019.7.3. 원주 2021.9.3. 원주 2017. 1. 4. 노랑털기생파리 Tachina luteola 배에 털이 많이 보이는 녀석이다.2016.10.11. 원주 2024.10.12. 원주 2016. 12. 11. 소나무허리노린재 Leptoglossus occidentalis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건너온외래종이다.소나무류의 꽃이 지고 난 뒤어린 솔방울 등의 즙을 빨아먹어열매 형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녀석이라고 한다.세계적으로 확산 추세에 있으며2010년도에 우리나라에서도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는데수입산 원목 등을 통해 들어왔을 확률이 클 것 같다.창원, 부산, 인천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는데잣나무가 있는 학교 운동장에서도 보이는 것을 보니 전국적 확산이 멀지 않은 듯하다.2016.11.4. 학교아파트 외벽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뒤편에 리기다소나무가 있어서 그런지여러 마리 관찰된다.2018.11.3. 원주 체육관 뒷편에서기어다니던 녀석을 찾았다.2018.11.5. 학교 2018.11.13. 원주 2020.10.31. 원주 2021.10.29. 원주 2023.11.4. 학교 2016. 11. 4. 검은푸른쐐기나방 Parasa hilarula 애벌레 피자두 잎 뒷면에작고 노란 녀석들이 모여 있다.2015.9.14. 원주 개체수가 많다.2018.8.1. 영월 2023.8.19. 원주 2016. 10. 29. 노랑쐐기나방 Monema flavescens 2011.8.6. 원주 신나무 잎 뒤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어릴 적 여러 번 쏘인 경험이 있어쐐기나방과에 속한 녀석들만 봐도움찔하게 된다.2016.8.14. 원주 신나무에서 발견한 고치의 모습2016.10.11. 원주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은 녀석인지 이렇게 풀에 매달려 가만히 있다.2019.6.30. 원주 등화로 만난 녀석2022.7.2. 제천 2016. 10. 29.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