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아무르하늘소붙이 Oedemera (Stenaxis) amurensis 전형적인 하늘소붙이의 생김을 지녔다.전반적으로 색이 탁해 그리 예뻐보이진 않는다.황갈색 가슴등판에 한 쌍의 검은 반점이 보인다.2017.8.8. 평창 2017. 8. 27. 북쪽맵시방패벌레 처음 발견했을 때는 노린재 종 추가로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 방패벌레류다. 검색을 해 보니 가장 근접한 녀석이 있어 일단 이름 붙인다. 2017.8.8. 진부 장전계곡 2017. 8. 23. 대성산실노린재 2006.5.26. 원주 2006.6.4. 원주 다리가 실처럼 가느다란 녀석으로 다리 관절 부분과 더듬이 중간의 굵은 마디가 특징적이다. 대성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 붙여졌으며, 우리나라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고유종이라고 한다. 2014.5.31. 원주 2022.6.9. 원주 2017. 8. 23. 애매부리 수컷의 모습 매부리류는 머리의 모습이 특징적이라 메뚜기목에서의 구분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정확하게 동정하려면 사진만으로는 왕매부리와 구별이 쉽지 않다. 산란관이 있는 암컷의 모습 2017.8.18. 인제 연가리 약충이지만 머리의 형태는 전형적인 매부리류로 보인다. 도감을 살펴보고 일단 애매부리로 동정한다. 2018.8.7. 인제 연가리 2017. 8. 23. 청동노린재 2005.9.11. 원주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들이다. 2017.8.18. 인제 연가리 2018.8.7. 인제 연가리 2017. 8. 22. 분홍다리노린재 이름처럼 다리색이 튀는 녀석이다. 보색 관계에 있는 초록색과 분홍색이 참 잘 조화를 이루었다. 2011.7.9. 치악산휴양림 2011.8.5. 철원 초록 광택에 분홍색이 잘 어울리는 녀석이다.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을 만났다. 2017.8.18. 인제 연가리 2018.8.7. 인제 연가리 거미줄에 걸려 죽은 녀석이다. 몸색이 변했다. 어깨가시의 형태와 광택으로 구분하였다. 2018.9.25. 원주 호저면 2019.8.8. 인제 연가리(야간불빛) 2017. 8. 22. 갈색날개매미충 Ricania sublimata 개체수가 눈에 띄게 증가한 녀석이다. 2017.7.30. 제천 2017.8.3. 제천 2018.8.10. 제천 2018.9.2. 원주 2019.6.26. 학교 2019.6.30. 원주 2019.7.11. 원주 올해 참 많이도 발생했다. 2019.7.20. 원주 2019.7.29. 원주 2019.8.4. 원주 2020.7.21. 원주 대추나무를 비롯해 나무 여기저기 산란을 해 놓았다. 녀석의 소행이라는 증거를 포착했다. 2017. 8. 22. 곤봉호리벌 Gasteruption thomasoni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인데 생김이 독특하다. 낮에 주변에서 녀석을 찾았다. 2017.8.18. 인제 2017. 8. 21. 보라금풍뎅이 Phelotrupes (Chromogeotrupes) auratus 사진으로만 보다가 실제로 만나니정말 색이 예쁜 녀석임을 느낀다.날이 흐림에도 이 정도 색감이니정말 좋은 빛을 받으면저 찬란한 광택을 어쩔 것인가?2017.8.17. 인제 자연 광택이 정말 멋진 녀석이다.2018..6.9. 영월 개체수가 많다.2018.9.30. 인제 2017. 8. 20. 점박이쌕쌔기 Conocephalus (Anisoptera) maculatus 몸 측면 날개 부분에 검은색의 반점 무늬가 특징적인 녀석이다.그래서 이름이 점박이이다. 처음에 긴꼬리쌕쌕기 약충으로 생각했는데,다시 보니 눈 아래의 짧은 갈색선과눈 뒤의 긴 갈색 줄이 없다.산란관이 갈색이라 녀석으로 동정한다.2017.7.30. 원주 2017.8.2. 원주옆에서 보니 암컷 산란관과날개 끝이 만난다. 2017.8.27. 원주 갈색형 개체도 여럿 보인다.이제는 특징이 눈에 잘 들어온다.2017.9.10. 제천 2017.9.17. 제천 2018.8.19. 제천 2021.8.4. 제천갈색형 암컷초록형 수컷초록형 암컷2021.9.20. 제천 2017. 8. 18. 줄홍색박각시 박각시 애벌레의 전형적인 형태에 보라색과 흰색이 섞인 사선의 줄무늬, 그리고 검은색과 혼합된 노란색 꼬리돌기, 머리 부분의 검은색 테두리가 특징적이다. 2011.8.15-16. 원주 이제서야 이름을 불러준다.2013.7.25. 원주 2017. 8. 16. 긴날개여치 Gampsocleis ussuriensis 여치라고 생각했는데자세히 살펴보니 날개의 길이가 이름처럼 배끝보다 더 길다.공동묘지에 많은 개체가 서식하고 있다.산란관이 있는 암컷의 모습2017.8.2-3. 제천 울음판이 있는 수컷의 모습노래하는 모습2017.9.10. 제천 2018.6.3. 제천 약충의 모습이라날개는 구별이 어렵지만갈색의 긴 산란관이금방 눈에 들어온다.2018.6.23. 원주 2018.8.19. 제천 2019.6.15. 원주 2021.7.3. 원주2021.8.4. 제천 2017. 8. 16. 사초독나방 2016.6.12. 원주 대덕리 2016.6.19. 원주 대덕리 습지생태공원의 갈대밭에 붙어 있던 녀석들이다. 애벌레의 모습이 사과독나방과 흡사하다. 2016.8.14. 원주 대덕리 암수의 색과 무늬가 다르고 흰색 암컷의 경우 황다리독나방과 비슷하다. 황다리독나방, 사과독나방 틈에서 검색을 하다가 곤충나라식물나라를 통해 숙제를 해결했다. 짝짓기 중이다. 2016.9.13. 원주 대덕리 2017.8.27. 원주 대덕리 2018.6.13. 홍천 잎을 갉아먹고 있는 중이다. 2018.9.2. 원주 대덕리2019.6.29. 원주 대덕리2019.6.30. 원주 간현리 2020.8.16. 원주 대덕리2020.8.23. 원주 대덕리 2020.9.9. 원주 대덕리 2017. 8. 11. 뾰족가지나방 검은색 줄무늬와 오렌지색이 있어 비교적 이름 불러주기가 쉬운 녀석이다. 2011.6.5. 원주 2017. 8. 11. 벼슬집명나방 Locastra muscosalis 나방애벌레도감을 찬찬히 보다 보니녀석들의 이름이 슬슬 나오기 시작한다.검은색 바탕에 흰색 반점,황색의 등줄무늬2008.9.12. 원주2008.9.16. 원주 2017. 8. 11. 배붉은흰불나방 Spilarctia subcarnea 떼로 모여서큰 잎 하나를 잎맥만 남기고 있다.이제야 녀석들의 이름을 찾았다.2013.8.8. 원주 2017. 8. 11. 남방쐐기나방 역시나 쐐기나방류는 잎 뒤에 숨어 있어야 제 위치다. 2016.9.13. 원주 대덕리 2018.9.2. 원주 호저면 2017. 8. 11. 갈색독나방 등쪽에 4개의 붉은 털 다발이 있고, 꼬리 쪽에 1개가 더 있다. 색과 무늬는 달라도 전형적인 독나방의 형태이다. 2011.7.21. 원주 2017. 8. 11. 권연벌레 Lasioderma serricorne 쓰레기통 주변에 또 녀석들이 날아다녀 이름이 뭐였더라 하고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다른 블로그와 업체 사이트에서 익숙한 내 사진을 발견했다. 퍼간 사진을 자기 컴에만 두고 보면 문제가 없을 터인데... 이걸 자기가 찍은 것처럼 출처를 오려내고 이야기를 붙여 다시 올린다. 심지어 해충방제 관련 사이트에서도 보인다. 출처도 안 밝히고, 허락도 받지 않고 클릭질 몇 번으로 다시 가공해서 자기 것으로 만든다. 장비와 기술과 노력의 댓가를 도둑질해 간다. 저작권법에 위배됨을 알았으면...... 2011.1.15. 원주 2017. 8. 11. 흰점쐐기나방 잎 뒤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 2017.8.3. 제천 고명동 2017. 8. 10. 홍날개 Pseudopyrochroa rufula 2016.4.18. 학교 뒤영벌-남가뢰-홍날개는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에 있다고 해야 할까? 이들의 생태는 흥미진진하기만 하다. 뒤영벌 둥지로 가기 위한 남가뢰 애벌레 들의 치열한 삶의 모습과 남가뢰에 붙어 '칸다리딘' 독액을 얻고자 하는 홍날개의 모습을 떠올리며 살아남기 위한 생명들의 전략을 생각하게 된다. 2017.4.15. 원주 2020.5.11. 학교 2017. 8. 10. 큰홍반디 천적의 공격을 받았는지 오른쪽 딱지날개에 손상이 있지만 열심히 먹이활동 중이다. 2015.8.15. 원주 이름처럼 홍반디 종류 중에서 다소 큰 녀석인가 보다. 가슴등판 중앙에 검은색 띠가 있다. 2017.8.1. 원주 2020.6.7. 제천 2021.7.23. 원주 2021.7.26. 원주 2017. 8. 10. 주홍홍반디 비슷한 녀석들이 많아 묵혀두었다가 이제야 동정을 한다. 2005.6.11. 청태산 2017. 8. 10. 두점박이좀잠자리 2011.8.21. 원주 날개끝에 검은 띠가 있어 깃동잠자리로 오해될 수도 있으나 얼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눈 밑에 검은색 점이 두 개 있어 쉽게 구별된다. 2017.8.7. 원주 대덕리 2020.8.16. 원주 대덕리 정면 얼굴에서 보았을 때 검은 점 두 개가 확실히 보인다. 2020.8.23. 원주 대덕리 2021.7.19. 원주 대덕리 2021.7.21. 원주 서원주역 2021.7.29. 원주 대덕리 2017. 8. 10. 사슴벌레 암컷의 모습 2013.7.21. 고성 수컷의 모습 암컷은 오래 전에 만났었지만, 수컷은 이제야 만난다. 머리 모양이 독특하여 다른 사슴벌레들과 쉽게 구별된다. 암수 모두 허벅지 부위에 연황색 무늬가 있다. 2017.8.7. 원주 2018.7.29. 치악산휴양림 2018.8.8. 인제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 2022.7.2. 제천 2023.6.10. 남원 2017. 8. 8. 금강산잎벌레 Pachybrachis (Pachybrachis) ochropygus 싸리나무는 아니고 그 옆에 있던 풀이었는데무슨 풀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전형적인 금강산잎벌레보다딱지날개의 검은색 무늬가 가늘기는 하지만북방좀통잎벌레와는 확연히 구분되어일단 금강산잎벌레로 동정한다.2016.7.9. 제천 2024.6.23. 원주 2017. 8. 7. 뒷검은푸른쐐기나방 Parasa sinica 애벌레 이렇게 잎 뒤에 숨어 있다.아무 생각 없이잘못 잎을 건드리면바로 저 가시털이 몸에 박혀벌에 쏘인 듯 아프다. 누르면 바로 터져버리는약한 몸이지만이렇게 독이 있는 가시털로자신을 방어한다.2017.8.3. 제천 2017. 8. 7.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