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곤충1947

참길앞잡이 Cicindela (Cicindela) transbaicalica 쫓아다니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한 녀석이다. 2010.4.5. 원주 낮게 포복하여 녀석들에게 조심스레 접근해야 그나마 근접한 촬영이 가능하다. 2011.5.5. 원주 역시나 촬영이 만만치 않은 녀석이다. 2020.4.25. 강릉 2017. 11. 18.
아이누길앞잡이 Cicindela (Cicindela) gemmata 딱지날개의 무늬가 참길앞잡이와 차이가 난다.2011.5.5. 원주 임도에 길앞잡이 바글거리는데이 녀석은 한두 마리만 보인다.딱지날개의 무늬를 보니 구면이다.2020.6.7. 제천 2022.5.22. 원주 2017. 11. 18.
꼬마길앞잡이 Cicindela (Eugrapha) elisae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이름처럼 크기가 무척 작다.2011.7.29. 제천 2017. 11. 16.
발톱메뚜기 섬의 해안에서 발견한 녀석이다. 워낙 생김이 비슷해 혼동되지만, 주변 환경을 감안하여 일단 이름 붙인다. 2017.10.7. 서천 유부도 갯벌과 만나는 모래사장에 개체수가 많다. 염생식물 사이를 뛰어다닌다. 2018.10.8-9. 서천 유부도 2019.9.28. 서천 유부도 2017. 10. 25.
흰수염방울벌레 온 몸이 검고 더듬이의 반이 하얗다. 처음 만났다. 암컷의 모습 2017.10.23. 학교 2021.9.20. 제천 고명동 2017. 10. 25.
얼룩대장노린재 Placosternum esakii 뽕나무 수피 이끼가 낀 곳에 녀석이 떡하니 붙어 있다. 위장이 뛰어나다. 크기도 무척이나 큰 녀석이다. 2017.10.23. 학교 2019.7.20. 원주 2017. 10. 23.
중국넓적나무좀 Lyctus sinensis 벌채목에서 찾은 작은 녀석이다. 2013.5.31. 학교 2017. 10. 12.
애호랑하루살이 주황색의 눈이 독특하다. 2013.8.3. 원주 2017. 10. 12.
어리호박벌 Xylocopa appendiculata circumvolans 2017.7.30. 제천 뚱뚱한 체형과 가슴의 노란 털, 검은 배, 다리의 검은 털 등 특징적인 모습이 잘 드러나기에 동정한다. 2017.9.2. 원주 활나물에 날아온 녀석의 모습 2018.9.2. 원주 2018.9.30. 인제 산소 옆 커다란 고삼에 녀석들이 웅웅거린다. 가만히 지켜보니 주둥이를 찔러넣어 꿀을 빤다. 2020.6.14. 원주 2017. 10. 11.
애호리병벌 진흙으로 작고 예쁜 집을 만들어 놓았다. 누구일까 궁금하여 검색해 보니 이 녀석이 제일 유력하다. 2017.9.16. 제천 고명동 호리병벌도 여러 종류다. 배의 노란 무늬로 동정했다. 2018.11.10. 원주 호저면 2020.8.16. 원주 대덕리 2020.8.22. 제천 봉양읍 2017. 10. 11.
애배벌 배에 노란 띠가 5개 있고, 흰 털로 온 몸이 덮여 있다. 더듬이가 무척 길다. 날개가 배끝보다 짧으니 배벌은 확실한데 정확한 동정이 어렵다. 일단 애배벌 수컷으로 추정해 본다. 2017.9.1. 원주 대덕리 2017. 10. 11.
산바퀴 Blattella nipponica 2016.7.5. 원주 약충의 모습이다.검은색 바탕의 몸에연갈색의 테두리 무늬가 있다.2017.9.16. 제천 2018.9.26. 원주 2023.11.4. 학교 2024.7.25. 원주 2017. 10. 6.
각시귀뚜라미 Turanogryllus eous 수컷의 모습머리 뒷부분에 세로줄 6개가 선명하다.2017.9.10. 제천 암컷의 모습날개가 매우 짧다. 그래서 날개만 보면 약충 같다.2017.9.16. 제천 2017. 10. 3.
큰조롱박먼지벌레 Scarites (Scarites) sulcatus 공원 수로에서 기어가던 녀석을 발견했다. 크기가 커서 처음에는 사슴벌레 종류라고 생각했다. 꺼내어 길 위에 내려놓으니 머리를 들고 방어자세를 취한다. 다시 건드리니 죽은 척이다. 흙이 좀 있는 곳에 가니 이렇게 금세 땅을 파고 들어가려 한다. 크기가 거의 4cm에 육박하는 녀석이었으니 당연히 큰조롱박먼지벌레로 생각된다. 해안가에서 주로 보이는 녀석이라는데 내륙 강가에 나타났다. 2017.10.2. 원주 2017. 10. 2.
왕눈이홍가슴등에잎벌 Arge macrops 야간등화에 날아온 녀석이다. 2019.8.8-9. 인제 2017. 10. 2.
무늬독나방 연주홍빛의 날개에 짙은 밤색 무늬가 있다. 2009.5.24. 원주 애벌레의 모습 2017.9.26. 학교 2018.8.7. 인제 연가리참마덩굴에 한 마리 기어간다.2020.7.25. 원주 호저면 2017. 10. 2.
콩박각시 Clanis bilineata 2011.7.29. 원주등나무 덩굴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온 몸을 웅크리고 잘 움직이지 않는다.2017.9.26. 학교등나무 덩굴 아래수로에서 발견한 녀석이다.초록의 굵고 긴 몸을 지니고 있어눈에 확 들어온다.2018.11.5. 학교2019.9.23. 학교 2017. 10. 2.
왕사마귀 Tenodera sinensis 녀석의 아랫면 촬영을 위해 다소 자극을 주었더니 화가 많이 났는지 몸을 꽃꽃이 세우고 자세를 취한다. 2017.9.29. 원주 2018.9.30. 인제 2019.9.8. 학교 알집의 모습 아래쪽이 잘린 듯한 형태를 지녔다. 2020.4.8. 학교 2022.8.14. 원주 2017. 10. 1.
어리꼬마상제머리매미충 Iassus psudoulmi 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무척이나 작은 녀석이다.2017.8.18. 인제 2018.7.28. 영월 2017. 10. 1.
가중나무껍질밤나방 개가죽나무에 여러 개체가 붙어 잎을 갉아먹고 있다. 떨어질 잎도 남겨두지 않을 듯 싶다. 노란색 몸에 검은색 줄이 있으며, 몸의 하얀 털이 가늘고 길다. 애벌레의 모습 2017.9.26. 학교 2017. 9. 28.
아스콜드긴수염나방 Nemophora askoldella 2017.8.8. 진부     조명 아래 벽에 붙어 있다.암수 더듬이도 독특하고 날개의 띠 무늬도 독특한 녀석이다. 2019.8.9. 인제 2017. 9. 24.
왕사마귀 Tenodera sinensis의 짝짓기 회양목에서 짝짓기 중이던 커플 사마귀류의 짝짓기를 처음 관찰한다. 수컷의 배끝이 휘어 암컷의 생식기와 결합되어 있다. 촬영이 신경 쓰였는지 이 자세로 계속 옮겨 다닌다. 2017.9.16. 제천 볕 좋은 돌 위에서 사랑을 나누는 녀석들이다. 2018.9.30. 인제 2017. 9. 20.
깨다시긴날개멸구 Pamendanga matsumurae 야간 불빛에 날아든 녀석이다.드디어 이름을 찾았다.날개 테두리에 빨간색의 무늬가 있다.2017.8.18. 인제 2019.8.9. 인제 2017. 9. 18.
끝빨간긴날개멸구 날개 테두리에 보랏빛의 굵은 줄이 보인다. 2005.8.7. 원주 가운데로 몰린 점 같은 검은 눈동자가 재미 있다. 2013.8.9. 원주 호저면 2020.8.9. 제주 교래자연휴양림 2017. 9. 18.
닮은변색장님노린재 2016.10.8. 원주 2017.8.16. 원주 대덕리 약충의 모습 곤충나라식물나라의 도움을 받아 동정했다. 2017.9.2. 원주 대덕리 2018.5.20. 원주 대덕리 2017. 9. 18.
배점무늬불나방 Spilosoma lubricipeda 짝짓기 중이라배쪽을 확인하지는 못했다.날개의 검은 점 배열이자료와 거의 같다.2017.9.2. 원주 2017. 9. 15.
열점박이별잎벌레 Lema (Lema) decempunctata 무당벌레와 비슷한데 몸의 크기가 훨씬 크고 더듬이에도 마디가 있다. 개머루 잎을 이렇게 만들었다. 2017.9.10. 제천 역시 개머루 잎에서 발견했다. 딱지날개의 검은 큰 점이 모두 10개다. 2018.8.1. 영월 2017. 9.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