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곤충1947 등검은메뚜기 Shirakiacris shirakii 아직 약충이긴 하지만 이름의 특징이 그대로 잘 드러난다. 2009.8.17. 원주 2011.7.16. 원주 가슴등판이 검다. 2011.8.21. 원주 겹눈의 세로줄이 인상적이다. 2011.10.5. 원주 2013.8.3. 원주 2013.8.9. 원주 2014.7.28. 원주 2016.7.27. 원주 2016.8.1. 원주 2016.8.14. 원주 2016.9.13. 원주 2016.10.8. 원주 짝짓기에 열중이라 가깝게 접근하여 촬영할 수 있었다. 2016.10.9. 원주 2016.9.13. 원주 2017.7.21. 원주 2017..8.2. 제천 팥중이와 더불어 흔하게 관찰되는 녀석이다. 2017.8.27. 원주 2017.9.2. 원주 2017.9.9. 원주 2017.9.16. 제천 2018.9.2. 원.. 2016. 8. 2. 두꺼비메뚜기 머리와 맞닿은 가슴등판 가운데에 2개의 톱니 같은 돌기가 보인다. 2010.10.14. 원주 무늬가 바위와 흡사하다. 위장이 뛰어난 녀석이다. 2016.7.28. 부론 거돈사지 2016.9.13. 원주 대덕리 처가 마당에서 뛰어다니던 녀석 2018.9.2. 원주 호저면 특유의 오돌토돌함이 이름을 쉽게 기억하게 한다. 2020.7.25. 원주 호저면 2021.8.5. 원주 대덕리 2016. 8. 2. 날베짱이 Sinochlora longifissa 2009.8.30. 원주 더듬이와 앞다리가 적황색이고, 날개 기부 옆면에 흰색과 검은색의 띠가 보인다. 2014.7.27. 원주 2017.8.26. 원주 2020.10.4. 원주 2016. 8. 1. 끝검은메뚜기 날개의 끝과 뒷다리 관절부분이 검다. 2015.8.11. 원주 2015.7.29. 원주 대덕리 2016.7.28. 원주 대덕리 2015.7.29. 원주 암컷의 모습 수컷처럼 날개끝은 검지 않으나 옆면에 검은색과 연초록의 띠가 공통적으로 보인다. 2016.7.27. 원주 대덕리 2018.9.2. 원주 2021.7.23. 원주 2016. 8. 1. 긴날개밑들이메뚜기 날개가 배끝을 넘어 길다.2012.7.7. 원주 2016. 8. 1. 꼽등이 Tachycines (Tachycines) coreanus 몸이 전반적으로 갈색이고검은 반점이 없어 꼽등이로 보았다.습기 있는 장소를 선호한다.2001년, 원주 2020.9.22. 학교 2016. 8. 1. 긴꼬리쌕쌔기 Conocephalus (Anisoptera) exemptus 쌕쌔기와 생김은 유사하나 암컷의 산란관이 몸 길이만큼 길게 나와 있다. 2010.10.12. 원주 약충의 모습 더듬이의 길이가 몸 길이에 비해 무척 길다. 2013.7.3. 원주 눈 뒤로 몸 측면에 갈색 가로줄이 있고, 눈 아래로 짧은 갈색 세로줄이 있다. 2016.7.6. 원주 더듬이 한 쪽이 잘리고 다소 힘이 빠진 듯한 녀석을 만났다. 2016.10.9. 원주 2017.7.8. 원주 2017.7.16. 원주 2017.8.1. 원주 2017.9.2. 원주 2017.9.3. 원주 2017.9.10. 제천 배끝으로 흘러나온 액체는 무엇일까? 한동안 매달려 있다. 2017.9.29. 원주 익숙한 녀석을 섬에서 만나니 반갑다. 2017.10.7. 서천 2018.7.7. 원주 2018.8.19. 제천 2018... 2016. 8. 1. 긴꼬리 Oecanthus longicauda 암컷의 산란관이 길게 나와 있어 이름 지어졌다. 녀석의 우는 소리도 특징적이다. 귀뚜라미과에 속해 있다. 풀 끝에 매달려 울고 있는 모습 2001년 원주 우연한 기회에 탈피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2006.9.9. 원주 2008.8.31. 원주 막 허물을 벗은 녀석의 모습이다. 몸과 날개가 투명하다. 2011.9.3. 원주 2011.9.4. 원주 2015.8.6. 원주 2015.8.14. 원주 2016.8.1. 원주 숲 깊은 곳이라 그런지 녀석들이 많이 관찰된다. 2017.8.18. 인제 2017.9.3. 원주 2018.8.8. 인제 2018.9.30. 인제 2019.8.9. 인제 2021.7.26. 원주 2021.8.6. 원주 2022.8.14. 원주 2016. 8. 1. 갈색여치 Paratlanticus ussuriensis 2008.9.21. 원주2011.7.21. 원주메뚜기목에 속한 녀석들을그동안 저장만 해 두었다가이번 기회에 도감을찬찬히 살피며 동정하였다.크기가 크고,배 아랫부분이 초록색이다.몸의 윗부분은 초록형과 갈색형이 있어다소 차이가 있다.2015.5.10. 원주 야간 등화 주변에 붙어 있던 녀석이다.생각보다 얌전하다.2018.7.28. 영월 2018.8.12. 고한 2019.6.22. 가평 2020.8.29. 고한 2022.5.22. 원주 2016. 8. 1. 검은다리실베짱이 Phaneroptera nigroantennata 2004.7.29. 원주 2005.7.1. 원주 2010.7.28. 원주 2008.7.28. 원주 약충의 모습 실베짱이 약충과 비슷하나 검은색 무늬가 몸에 많다. 여름철 여기저기 흔하게 보인다. 2016.7.28. 원주 2004.9.6. 원주 성충의 모습 이름처럼 검은색의 다리가 특징적인 녀석이다. 2008.8.31. 원주 2017.7.30. 제천 오랜만에 성충을 본다. 2017.8.18. 인제 울릉도에 지천인 섬바디에 앉은 녀석의 모습 2018.7.24. 울릉도 2018.9.2. 원주 2018.9.13. 학교 2018.9.29. 인제 천적에 공격을 당했는지 날개 반 정도가 손상되었다. 2018.9.30. 인제 늦은 시기에 만나서 그런지 몸이 성치 않다. 더듬이도 다 잘리고 뒷다리도 한쪽이 떨어져 있다... 2016. 7. 30. 청동풍뎅이 이름에 걸맞게 온 몸의 색이 청동빛이다. 2016.7.9. 원주 대덕리 몸의 광택이 너무 멋진 녀석이다. 2017.7.22. 원주 대덕리 2016. 7. 29. 녹색콩풍뎅이 Popillia quadriguttata 색과 무늬가 비슷한 경우가 많아 풍뎅이 종류의 구분도 만만치 않다. 이 녀석은 가슴등판이 녹색 광택을 보이며, 딱지날개는 갈색 광택을 보인다. 2016.7.9. 원주 2017.7.8. 원주 2017.7.16. 원주 2019.7.25. 제주 2019.7.30. 원주 2020.7.5. 원주 2016. 7. 29. 별박이세줄나비 Neptis pryeri \ 날개 윗면에 하얀 가로 줄무늬가 3개 있어서 세줄나비이다. 2009.8.10. 원주 날개 아랫면에 검은 점이 많이 있어서 '별박이'다. 산초나무에 여러 개체가 찾아와 흡밀하고 있다. 2011.8.15. 원주 2016.7.24. 원주 2016. 7. 27. 꼬마동애등에 2015.7.29. 원주 이름처럼 정말 작은 녀석이다. 초록 광택의 몸색이 예쁘다. 2016.7.9. 원주 대덕리 수컷의 모습2019.6.26. 학교암컷의 모습2019.7.9. 학교 2016. 7. 26. 황등에붙이 2015.8.22. 원주 대덕리 이름처럼 몸 전체가 황색 잔털로 덮여 있는 녀석이다. 겹눈은 연초록이다. 2016.7.24. 원주 대덕리 2016.8.1. 원주 대덕리 2017.8.16. 원주 대덕리 밭의 예초작업을 하다가 녀석에게 한 번 쏘이고 며칠 고생해 보니 존재가 새롭게 다가온다. 2023.8.8. 원주 2016. 7. 26. 알락하늘소 Anoplophora chinensis 딱지날개 위 어깨 부분에오돌토돌한 돌기가 관찰된다.2016.7.17. 원주 2016. 7. 26. 대모등에붙이 날개와 몸의 무늬도 무늬지만 초록 광택의 눈에 있는 검은 줄무늬가 인상적인 녀석이다. 2016.6.19. 원주 대덕리 모양이 튀는 녀석이라 기억이 잘 난다. 오랜만에 다시 만난다. 2022.6.16. 원주 2016. 7. 25. 어리모무늬매미충 Hishimonus hamatus 날개의 동그란 무늬가 인상적인 녀석이다.2014.8.8. 원주2020.8.16. 원주 2023.6.6. 원주 2023.8.9. 원주2023.9.17. 원주2024.6.23. 원주 2016. 7. 23. 지리산말매미충 Diodontophorus japonicus 짝짓기하는 모습으로 보이는데암수의 모양이 현저히 다르다.2006.5.31. 원주 2006.6.1. 원주지리산에서지리산말매미충을 만났다.이름을 제대로 찾은 느낌이다.그런데 학명을 찾아보니japonicus다.2024.6.1. 구례 2016. 7. 23. 투명날개단풍뾰족매미충 예전에 기록했던 녀석인데 이제야 이름을 불러주게 되었다. 2005.9.15. 원주 2020.6.19. 원주 2016. 7. 13. 홍단딱정벌레 Coptolabrus smaragdinus 시골집 뒤뜰에 녀석이 누워 있다.죽은 지 얼마 안된 녀석인지 아직은 겉모습이 온전하다.첫 만남이 죽은 녀석이라 아쉽기만 하다.2016.7.2. 원주 제초한 자리 바닥을 기어다니고 있다.온 몸에 붉은 광택이 번들거리는 녀석이라금방 눈에 들어온다. 민박집 마당으로 옮겨 놓으니여기저기 기어다녀 사진 찍기가 만만치 않다.녀석이 잠깐 멈춰 있는 순간에연사로 기록한다.2018.8.8. 인제 길이가 길고 남색 광택 나는 것이예사롭지 않은 녀석이다.나중에 홍단딱정벌레로 탈바꿈한다는 것이잘 상상되지 않는다.2018.10.16. 학교아종 구분까지는 잘 모르겠다.2019.8.9. 인제 2016. 7. 11. 작은애매미충 2013.7.3. 원주 이름처럼 무척 작은 녀석이다. 날개의 무늬가 독특하다. 2014.7.20. 원주 2016. 7. 10. 꼬리명주나비 Sericinus montela 2016.6.5. 원주 2016.6.6. 원주 날개 윗면의 색이 어두운 녀석이 암컷이다. 2016.6.12. 원주 산란 모습 2016.6.5. 원주 2016.6.11. 원주 2016.6.12. 원주 2016.6.7. 원주 2016.6.17. 원주 2016.6.11. 원주 산란된 알의 모습들 부화 시기가 임박해오면 색이 검게 보인다. 알에서 막 부화한 모습 알에서 나온지 얼마 되지 않은 애벌레의 모습 2016.6.12. 원주 2016.6.17. 원주 2016.6.25. 원주 애벌레들이 한 장소에 군집하여 먹이식물을 갉아먹고 있다. 2016.6.26. 원주 2016.6.29. 원주 2016.6.26. 원주 종령 애벌레의 모습 달맞이꽃 줄기를 타고 올라가 실로 몸을 고정했다. 2016.6.25. 원주 마른 달.. 2016. 7. 8. 능수버들머리매미충 역삼각형 모양의 작은방패판을 잘 들여다보면 재미있는 얼굴이 그려져 있다. 2016.3.6. 원주 대덕리야간 불빛에 날아온 녀석이다.2019.8.8-9. 인제 연가리 2016. 7. 2. 왕등줄실잠자리 Paracercion sieboldii 작은 연못 주위에 짝짓기 하는 녀석들이 많다. 2010.7.30. 원주 2016. 6. 30. 황등색실잠자리 블러그 이사를 몇 번 하는 동안에 누락이 되었는지 찾아보니 블러그에 이 녀석이 없다. 뒤늦게 이제서야 업로드한다. 2006.6.23. 원주 호저면 2016. 6. 30. 네줄박이장삼벌레 파리 같아 보이기도 하고 매미충 종류 같기도 한 녀석이다. 검색해 보니 처음 들어보는 장삼벌레과에 속한 녀석이다. 그나마 날개에 네 줄의 짙은 갈색 띠가 있어 눈에 잘 들어온다. 2013.7.7. 원주 2021.7.19. 원주 2016. 6. 30.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7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