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산리61 도롱뇽 치악산 아래 농로 개울가 여기저기 많이 보인다. 2011.4.23. 원주 신림면 지인의 집 앞 개울에 부화한 녀석들 아가미가 있어 개구리 올챙이와 확연히 다르다. 2008.5.3. 주천 이 녀석만으로는 꼬리치레인지 다른 녀석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하지만 선명한 아가미의 모습은 녀석이 도롱뇽임을 말해준다.2013.6.16. 치악산국립공원 인근 과수원 샘물에 녀석들이 10여 마리 살고 있다.오랜만에 만나니 귀엽다. 2019.7.20. 원주 주산리 2019.8.1. 원주 주산리 2013. 3. 11. 쇠기러기 철원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이쁜 녀석들이다. 2007년 천수만 V자 형태로 대열을 갖춰 비행하는 모습 2009.12.20. 철원 흔한 녀석들이지만 무리지어 다니는 모습은 참 경이롭다. 2012. 공릉천 2012.12.16. 송지호 정말 오랜만의 탐조이다. 흔한 녀석들조차 만나니 반갑다. 2013.12.29. 공릉천 2016.12.3. 공릉천 2017.3.11. 파주 2017.12.2. 파주 공릉천 2020.2.22. 원주 무장리 2021.1.6. 원주 주산리 2021.1.14. 원주 주산리 2021.12.26. 여주 2023.1.9. 여주 2012. 9. 28. 둥글노린재 2011.7.5. 원주 호저면 앞가슴등판 앞쪽에 흑갈색 무늬가 2개이고 더듬이 4, 5 마디가 흑갈색이다. 2012.6.9. 원주 2014.7.20. 원주 태장동 풀밭 여기저기 짝짓기하는 모습이 많이 보인다.익모초에서 많이 보인다.2014.7.29. 원주 행구동 2014.8.7. 원주 행구동 2019.7.20. 원주 주산리 2020.8.23. 원주 대덕리 2012. 9. 11. 불짜게거미 다리에 꽃가루를 묻힌 꿀벌 사냥에 성공한 모습 등의 무늬가 외계인 모습과 닮았다. 도감을 보니 등의 무늬가 머리 부분을 제외하고 아랫부분이 '不'자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2007년 파리와 거미와의 먹이 다툼이라고 해야 할까? 살아남기 위한 먹이 다툼은 치열하다. 2012.6.9. 원주 호저면 2013.6.9. 원주 태장동 배갑의 색이 노란 녀석만 보다가 붉은 녀석을 만나니 다른 녀석 같아 보인다. 2016.5.22. 학교 2016.6.6. 원주 대덕리 주황색과 노란색 유형을 한 장소에서 다 만났다. 2017.6.11. 주천 2016.7.10. 원주 2018.8.19. 제천 고명동 2020.6.22. 원주 주산리 개미를 사냥했다. 2021.8.4. 제천 고명동 2012. 6. 29. 꽃게거미 건빵을 이고 다니는 게를 닮은 거미... 무늬가 참 인상적이다. 2007년 꽃게거미가 갈거미류를 사냥하였다. 2010.7.22. 호저면 개망초 위에 대기하고 있다가 날아온 파리류를 잡았다. 2012.6.9. 호저면 2013.6.15. 원주 각다귀 종류를 사냥한 녀석 2013.7.3. 원주 2014.5.31. 원주 2014.7.13. 원주 무늬가 조금 다른 녀석이다. 연두게거미류를 사냥한 듯 하다. 2014.7.26. 원주 2016.6.6. 원주 대덕리 2016.5.22. 제천각시꽃게거미와의 구분이 혼동된다.2020.7.5. 원주 주산리 2012. 6. 8. 백선 여름철 산 속에 피어있는 모습이다. 특이한 냄새가 난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는데,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천식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손으로 막 만지는 것은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 2007년 오랜만에 만났다. 2022.5.22. 원주 2022.5.28. 원주 주산리 2012. 6. 4. 뒤흰띠알락나방 등의 네모난 노란색 무늬가 인상적인 녀석 노린재나무가 식초식물이라 여러 마리가 우글댄다. 2012.5.27. 부곡 성충의 모습 2006.7.24. 원주2019.7.20. 원주 주산리 2012. 6. 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